사실상 쓸데없는 연구를 하다 보면, 그 중에, 아주 놀랄만한 발견이 있고, 설사 그 발견을 그 당시에는 몰랐더라도, 재미 삼아 연구하다 보면, 누군가가 그 재미를 확장시키기도 합니다.

 

참고로, 유전학으로 아주 유명한 멘델조차도, 당시에 그 유전학 논문이 그리 큰 파급을 가지고 올 줄은 전혀 예상 못했을 것입니다. 단지, 콩이 무언가 독특한 룰을 따르네... 그 룰을 한 번 파 보면 재미있겠다~ 정도 였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무료한 수도원 생활을 보내기 위한 하나의 취미 생활이였지 않았을까요?(실제 이 논문을 내기 위해서 7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거 연구해서 뭐하게? 라는 질문보다, 이거 하면 재미있을까? 를 생각하는 과학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발췌 ----------------------------------------------

과학을 통한 부의 창조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간단히 이해할 수 있는 예를 들어보고자 한다.

아주 예전에 Nature 저널에 실린 논문 중의 하나인데 기억이 잘 안나지만, 랩저널클럽에서 '모두들 이거 연구해서 뭐하게?'였던 것 같다.

 

내용은 기억하기로, 메뚜기의 날개쪽 근육의 운동을 관장하는 특정 유전자의 역할? 같다. 이 유전자를 망가뜨리면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운동이 잘 안되어 배에 있는 숨구멍과의 조합이 안맞아 메뚜기 소리가 이상해진다는 것이다. 이는 메뚜기의 짝짓기를 위한 구애소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게 왜 돈이 될 수 있나면? 이 유전자의 단백질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농약 개발의 시발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메뚜기떼에 의해 엄청난 피해를 입는 미국이나 호주의 경우, 메뚜기가 특정 시간동안 짝짓기를 못하게 하면 개체수를 급격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근데 역으로 회사에서 메뚜기 제거약을 창조적으로 개발해봐?하면 이런 걸로 아이디어 낼 수 있을까? '메뚜기 소리를 다르게 하려고 근육세포조절 단백질을 찾고자 합니다.'하면 땅에서 이런 결과가 하늘에서 뚝 떨어질 것 같은가?

그래서, 한 곳에 몰아주는 연구가 아닌 다양한 연구가 풍성하게 되도록 제도와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