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생각들(43)
-
과학자 여러분, 살림살이 좀 나아지셨나요? (기초 연구비의 Epigenetics)
과학자 여러분들! 살림살이 좀 나아지셨나요? 기초 연구비와 관련해서, 정말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가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 이것도 보고 저것도 보고, 참가하기도 했는데요.... 이번에 이것저것 기초 연구비 관련 스터디와 공청회에 가본 결과, 기본적으로 연구비는 국가에서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또는 예산을 잡아 놓았다고 봅니다. 이는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다만, 그것을 어떻게 쓰느냐의 문제인데... 생각보다 많은 실무 과학자(?)들의 불평이 많아서 미래부가 놀란 것 같습니다. 생명 현상 중에, Epigenetic change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부모에게 물려 받은 DNA의 유전 정보는 쉽게 바뀌지 않지만, 개체가 접한 환경 인자에 따라서, DNA는 methylation이라든지..
2020.09.29 -
과연 노벨상은 연구 시작 3년만에 나올까? 헛소리 마시라!
참.... 정말 요새 너무 비판만 하는 것 같은데요... 2013년도에 시작한 프로젝트를 3년뒤에 평가하는 시스템. 멋지네요. 이름부터 잘못 지었고, 이름을 그렇게 지었으면, 노벨 과학상 프로젝트 답게, 장기적인 안목에서 평가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 생의학 분야에서 제일 빨리 노벨상을 수상한 것이 콘버그 아저씨로, 1957년도 논문으로 1959년에 노벨상을 수상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따지고 보면, 이것도 오초아 아저씨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인데... 우리나라 노벨 과학상도 저런 초스피드를 요구하나요? 뚝하면, 3년안에 뚝딱... 뭘 이야기하고 싶은지. 뭘 지적하고 싶은지 충분히 알겠는데요... 근데, 매년 국정감사다 뭐다 하면서, 지적질하는 것보다는, 정말 장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고, ..
2020.09.21 -
스웨덴 한림원의 대인배 정신. 노벨상 수상자를 대하는 철학
사람들은 밥 딜런이 수상을 받을 것인가 말것인가, 혹은 시상식에 올 것인가 말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저는 이를 대하는 스웨덴 한림원의 자세를 칭찬하고 싶습니다. "딜런과 가장 가까운 공동 제작자에게 전화와 이메일로 연락했고 친절한 답변을 받았다"며 "현재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다니우스 사무총장은 딜런의 참석 여부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 나타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가 원치 않는다면 오지 않겠지만, 어떤 경우에도 (시상식은) 큰 축제가 될 것이고, 영예는 그의 것"이라고 덧붙였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일까요? 사전에 행사를 하기 이전부터, VIP가 오느냐 마느냐, 그리고 오지 않았다면 혹은 오지 않는다면 상을 주지 않거나, 상을 받지 않으면 VIP가 참석하..
2020.09.20 -
겹쳐진 종이에서 글자를 맞추는 연구. (부제:이런 연구들이 창의성을 높인다!)
이런 쓸데 없어 보이는 연구들이 과학을 발전시킵니다. 이번 연구는, 겹쳐진 종이들에서, 첫장과 뒷장(총 9장에서)에 어떤 글자가 있는지 알아맞추는 그런 연구가 되겠습니다. 잉여스럽죠. 그냥 펴보면 알 수 있을텐데 말이죠. 하지만, 이런 연구들은 결국, 의료나 고고학 등에서 Non-invasive, 비침습적인 관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초 연구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런 이유조차 없어도, 연구 자체가 쿨합니다. 재미있는 쿨내가 진동합니다. 이런 연구를 해야합니다. 쓸데 없어 보이는 연구. 잉여스럽고, 그거 뭐에다 쓰나? 싶은 그런 연구요. 그렇지만 잉여스러운 연구도 수준 높은 퀄리티로 해야 합니다. 농담이 아닙니다. 허접떼기로 해보니 되더라가 아니라, 이런 저런 논리를 가지고 실험해 보..
2020.09.09 -
제약산업의 독점권과 의료 윤리.
제약업은, 업의 본질상, 하나의 약 개발에 많은 자원이 투여되고, 리스크도 아주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라에서 특허권이라는 미명아래, 그 약에 대한 독점권을 그 약을 만든 회사에 부여하죠. 일례로 "비아그라"라는 약 하나로, 세계적인 기업이 된 화이자(물론 그 전에도 잘나가는 회사였습니다만, 비아그라도 단숨에 라이징 스타가 되었죠)를 보면, 약 하나가 제약 기업의 흥행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20년 동안, 이 약은 화이자 한 곳에서만 팔 수 있었으니, 얼마나 대단한 효자(?) 종목입니까? 그리고 환자들의 만족도도 아주 커요. 윈윈이죠 전통적으로, 새로운 약이 등장하면, 그 약의 혁신성과 치료 효과와는 별개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제약 업체에게 독점권을 줍니다. 물론 전시 상황..
2020.09.03 -
우주인 이소연, 꼭 비난받을 만한 일일까?
https://news.joins.com/article/20366649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미국서 대학교수로 임용 한국의 첫 우주인 이소연(38)씨가 미국에서 대학교수로 임용됐다.25일(현지시간) 미국 지역 인터넷매체 조이시애틀에 따르면 이소연씨가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지역에 있는 피어스 칼리지의 겸임교수(adjunct professor)임용돼 가을학기부터 강단에 선다.보도에 따르면 UC버클리에서 경영학석사(MBA) 과정을 마친 이씨는 박 news.joins.com 많은 사람들이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를 비난하거나 지적합니다. 물론 충분히 공감가는 이야기이고 저 역시도 아쉽지만, 이 사안을 조금 다르게 보고자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람을 비난하기보다는 이런 상황을 만든 시스템을 개선시..
202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