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에 대한 이야기(17)
-
신진에서 중견으로 (1)
지난번 ‘신진 교수 시절의 바쁨’에 대한 글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신진에서 중견으로 넘어가는 교수가 왜 바쁜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큰 틀에서 신진 교수는 초보이면서 새롭게 배워야 일들이 많아서 어려움이 있습니다.제가 본 대부분의 교수님들은 기본적으로 당연하다 싶은 것들에 대해서도본인이 직접 처리하지 않은 일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확인을 하는 경향이 있고, '의심'이 아니더라도 조금 더 철두철미하게 정보 측면에서 접근하는 경험이 많이 쌓여 있습니다.그런 이유 때문에, 신진 시절의 정보에 대해 공부할 때도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 같습니다.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이렇게 꼼꼼하게 정보를 습득하는 스타일이, 연구나 다른 부분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생소함을 주로 느끼는 신진에서..
2025.09.09 -
신진교수는 왜 바쁜가? (3)
지난 시간에 이어서, 신진교수는 왜 바쁜가?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교내 행정 업무학교의 다양한 행정 업무들도 이제 나를 몰아치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자면, 회의 참석 요청입니다.신입 교원일 때는 구경 삼아 참여하거나 서기 역할로 참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렇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면서 (학교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만) 의무적으로 생기는 것들도 있고, 의무가 아니더라도 직접 참석해야 하는 회의들이 늘어나기도 합니다.신입 교원으로서 타 교수님께 연구비 프로젝트가 있을 때 서기를 하거나 자료 취합 등 다양한 형태의 연구 프로세스 또는 행정적인 일들을 겪게 됩니다.이런 상황에서 가까운 선배 교수님이 나를 생각해 주는 마음으로 자주 데리고 다닌다면, 좋은 점과 안 좋은 점 두 가지 모두를 경험하게 됩..
2025.09.05 -
신진교수는 왜 바쁜가? (2)
신진 교수 시절의 바쁨교육을 시작하면서 겪는 시간적, 심리적 부담감신진 시절의 제일 어려운 부분 중 하나는 모든 환경을 스스로 구축해야 한다는 점입니다.통상적으로 신진을 대략 5년 정도라고 보는데요. 처음 부임할 때 적은 나이에 임용된 사람이 있을 것이고,나이가 들어서 임용된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나이가 들어서 임용된 사람이라면 아무래도 더 경험이 있지만, 대부분 교원으로 시작하면 많은 일들이 거의 처음 해보는 일들입니다.예컨대, 기본적으로는 ‘수업 준비’가 있겠죠.물론 학교마다 수업 시간을 줄이는 경우도 있고 늘리는 경우도 있습니다만,통상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한 학기에 대략 9학점 정도 수업을 합니다.9학점은 통상적으로 세 과목인데, 1년 차일 때는 운이 좋다면 자기가 잘하는 과목이 두 과목 정도..
2025.09.03 -
신진교수는 왜 바쁜가? (1)
왜 교수는 바쁜가?어린 시절, '교수님' 이라는 직업은 어딘가 여유롭고 한가한 직업으로 보였습니다.교실에서 강의를 하시고, 연구실에서 연구하시는 모습이 전부인 줄 알았죠.하지만 대학에 들어가고, 교수님들을 가까이에서 지켜볼 기회가 생기면서 그들의 바쁨에 대해 조금씩 깨닫게 되었습니다. 특히 대학원 시절, 교수님들은 항상 바빠 보였지만 그 바쁨의 정체는 여전히 잘 알 수 없었습니다.교수님이 바쁘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그 바쁨이 구체적으로 무엇에서 비롯되는지, 왜 그렇게 바빠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조금 더 야망이 있어서 연구를 잘하거나, 랩 규모가 비교적 큰 랩으로 가면 갈수록 상대적으로 교수님을 보기는 더 어려워집니다. " 영화에 나오는 교수는 여유가 넘치는데, 우리가 ..
2025.09.01 -
임상 안하는 "딴짓하는" 의사들에 대한 이야기들
의사는 모두가 "임상"을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만, 그 길이 아닌, 의료, 의학, 질병 예방 등 다양한 길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서 메디게이트는 "딴 짓하는 의사들"이라는 시리즈의 글을 쓰기도 하였습니다. http://www.medigatenews.com/news/1098473896 MEDI:GATE NEWS : [딴짓하는 의사들1] 의료기기 구본철 급여시장에 한계를 느낀 많은 의사가 비급여시장으로 눈을 돌리더니, 급기야 임상이 아닌 영역까지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이전까진 본인의 취향에 따른 '취사선택형 비임상의'가 주로 마이너의 길을 택했다면, 최근엔 힘들고 빡센 정글의 대안으로 선택하는 '생계형 비임상의'가 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준비 없이 찔러보고 인터뷰까지 응해 통과..
2020.05.07 -
(글소개) 의사. 인턴의 삶. 그리고 얻을 수 있는 것들.
의사가 되고난 이후, 처음 임상을 접할 때, 대부분 인턴이라는 일로 시작하죠. 인턴 경험은, 연구자를 되는 것과는 상관없어 보이지만, 때로는, 평생을 기억할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하기도 합니다. MDPhD.kr의 필진 중 한 명이었던 분이, 자신의 인턴 경험을 공유합니다. 글을 클릭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원본 글로 이동합니다. "의사가 되면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것들."
2020.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