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할까 말까? 업데이트에 대한 이야기 - 경험들


NAS는 쓰면 쓸수록 아주 좋은 기기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이론적으로 하드웨어 성능만 된다면, 리눅스 서버가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일들을 할 수가 있죠.


그런데 리눅스 서버와는 달리 그 간편성에 우위가 없다면, 당연히 사람들은 리눅스용 컴을 사서 자신이 세팅하려고 할 껍니다.


실제로 하드웨어 사양만 따지고 본다면  NAS는 아주 비싼 기기 중 하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넷북보다도 더 비싼 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AS를 구입하는 이유는 바로 NAS가 가지고 있는 편의성 때문이겠지요.


그리고 그 편이성은 바로 NAS를 구동하고 있는 User interface 혹은 NAS OS (정확히 말하면 OS는 리눅스이지만, 웹상 admin에서 볼 수 있는 OS를 편의상 NAS OS라 부르도록 하겠습니다)에 많이 좌우됩니다. 


실제로 제가 이용하고 있는 NAS인 synology의 경우에도 DSM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로 운영되고 있는데, 여러번 업데이트 해본 결과 그 안정성이 아주 뛰어났습니다. 


안정성이라고 하면 별 거 없는데, 제일 중요한 것은 업데이트를 했을 때 하드 손실이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점이겠죠.


업데이트 할 때 마다 자료를 백업한다면 편의성에 있어서 빵점일 겁니다. 


사실 초창기 NAS 때는 이런 일들이 생각보다 많았던 것 같더군요. 예전 세팅 때 업데이트 할 때 자료가 다 날라갔다는 분도 심심찮게 보였으니깐요. 시놀로지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저의 경우에는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업데이트라는 것이 사실 모두다 좋은 것 같아 보이긴 하지만, 실제로 기기와 잘 맞아야 좋은 것이라는 나름의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기기와 잘 맞다는 것은 추상적인 "궁합" 같은 개념이 아니라 아래와 같은 사항입니다.


1. 내가 가진 하드웨어 성능에 최적화된 업데이트


이건 아주 중요합니다. 저사양 펜티엄 III 노트북에 아무리 최신이라고 해도 윈도우 7을 깔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제가 경험한 예를 하나 들면, 현재 제가 쓰는 아이패드는 초창기 발매날 처음 구입한 것인데, 최신 iOS 업데이트를 하니깐 도저히 느려서 못쓰겠더군요.  (추후 개선이 되긴 하더군요.)


OS 자체에서 멀티태스킹을 기본으로 깔다보니깐, 심각한 딜레이가 있더군요. 요새 "느리게 살자"를 삶의 모토로 하고자 하는데, 아주 적합한 훈련(?)이 되고 있습니다. 


 NAS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일단 최신 업데이트가 나오면, 그 업데이트에서 최소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필요는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기종이 업데이트 가능하다고 무턱대고 업데이트 하다 보면, 오히려 프로그램상 딜레이가 되거나, 오히려 불편한 점이 늘어나는 경우도 분명히 있습니다. 


그러니 하드웨어 성능을 꼭 고려한 업데이트가 중요합니다.


2.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가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인지 확인


실제로 업데이트는 이전 서비스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있지만, NAS 특성상 새로운 서비스를 런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이 때 제 경험상 대부분의 서비스는 자신이 이용하지 않는 서비스인 경우가 많습니다. 없어도 필요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있다고 해도, 그걸 세팅하고 시간을 보내는 비용과 그 결과 얻는 편익을 비교해 봤을 때, 비용이 훨씬 큰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 경우에는 한참 세팅을 하고 즐기는데, 일주일도 못가서 시들해 버리는 서비스가 아주 가끔 있었습니다.


NAS는 어찌 보면 생활 습관과 잘 접목이 되어야 하기에 그런 것 같습니다. 


3. NAS 업데이트 후에 소요될 시간이 넉넉한지


이거 아주 중요한 것입니다. 저도 여러번 시행착오를 겪다가 보니깐 얻게된 깨달음입니다.


NAS를 업데이트하면, 아무리 편하게 , 안정성 높게 업데이트 한다고 해도,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안 생기면 정말 좋겠지만, NAS 특성상 공유기와 외부적인 네트워크 상황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소소한 문제부터 시작해 큰 문제들이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최근의 제 경험을 예를 들면, DSM 4.0으로 업데이트할 때, 아무 문제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DS audio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가 안되는 것이였습니다. 


무슨 문제인가 싶어서 진짜 오만가지 삽질을 다 해보았습니다. 


나름 몆년간의 경험상 NAS에 어느정도 자신이 있었기에, 임의 포트 변경, 프로토콜 변경, 다시 다 삭제, 리눅스로, 맥으로, 윈도우로.접근해보고, 하드도 교체해 다시 폴더 만들어 보고 레이드도 다시 만들어보고... 다시는 하고 싶지 않은... 할 수 있는 조치는 다 해보았는데, 안되더군요.


정말 한 2주 정도 일과를 마치고 밤에 해결하려고 시름했는 것 같습니다. 네이버 커뮤니티에는 문제글만 있고 답은 없고, 외국커뮤니티도 비슷한 경우더군요. 


그러던 어느 날,  업데이트 내용을 자세히 읽는데 혹시나 방화벽 때문에? 라는 생각이 불현듯 스쳐 지나가더군요. 3.0-3,1 에서는 큰 세팅한 적이 없었는데 4.0부터는 자동으로 세팅되는 것 같더군요. 아니면 제가 그냥 지나쳐서 yes 눌렀거나..


여하튼 방화벽을 풀어버리니깐, 순식간에 모든 것이 해결이 되더군요. 허탈하더군요. 물론 다시금 방황벽을 다시 세팅해서 안정성을 높이긴 했지만...


답을 알면 아주 소소한 해결법인데, 모르는 상황에서는 미쳐버리는 것이지요. 


그 덕에 직장 일의 업무 진도가 한동안 못 나갔었죠. 공동 연구 자료를 다음 클라우드로 옮기고, 세팅을 조정하고...  여하튼 간이 중요하더군요.


그러니깐, 업데이트 전에는 만약을 위해서 꼭 자신의 여가 시간이 확보되는지를 생각하셔야 됩니다. 


요 세가지 정도만 따져 줘도 업데이트를 준비하는 마음 가짐은 충분한 것 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 더 실무적인 수준의 조언을 하자면,



1. 업데이트 전에는 꼭 관련 커뮤니티에서 도전자의 수기를 읽어 볼 것. 


- 이미 보고된 문제 혹은 자신이 겪은 문제가 해결된 업데이트인지 확인할 것 

- 세상에는 정말 멋진 도전자들이 많습니다. 굳이 내 전문 분야가 아닌 부분에서 최고의 얼리어댑터가 되어서 내 소중한 시간을 뺏길 필요는 없습니다. 경험상 그 편익이 생각보다 크지 않았습니다.


2. 마이너 업데이트인 경우 불편한 것이 없다면 하지 말 것. Ex)3.1 -->3.12, 3.14, 3.2 등


- 사실상 마이너는 마이너일 뿐이기 때문에, 굳이 업데이트를 해서 시간을 뺏길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제 경험상 "없다" 라고 단정지을 수 있습니다. 

- 물론 언급한 대로 자신의 NAS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해결될 가능성이 있는 업데이트라면 그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있을 것입니다. 편익이 클테니깐요.


3. 메이저 업데이트인 경우 관련 후기가 많이 나온 뒤에 할 것 Ex) 3.0 --> 4.0 등


- 메이저 업데이트는 사실상 많이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많습니다.

- 자신이 NAS 초보자라면, 그 문제를 자신이 해결할 수 있는 능력보다는 타인이 그 문제 해결 방법을 가르쳐 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급적 문제 해결 DB가 많이 쌓인 후에 업데이트 하길 권장합니다.

- 현재 잘 쓰고 있는데, 업데이트해서 문제 생기면 다시 돌아가는 것도 쉽지 않고, 해결 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후회를 하게 됩니다.


이상이 업데이트에 대한 제 지론입니다.


참고를 하셔서 업데이트하기 전 후에 큰 만족이 있으시길 바라면서 글을 마칩니다.


포트 포워딩 두번째 이야기


포트 포워딩하는 일반적인 규칙에 관해 시놀로지(synology)에 맞춰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포트 규칙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제 공유기는 포트 포워딩을 15개만 제공하더군요. (일반적으로 60개 정도까지는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제가 쓰는 포트 중심으로 간략히 설정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제 기준에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지만, 똑같이 적용하셔도 됩니다. ^^


5000 :  Admin 관련 포트입니다.

5001 : Admin HTTPS


이  것은 전체 접속을 위한 포트로 DS portal system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bc.com:5000 이렇게 들어가든지, 아니면  123.456.789.3:5000 이렇게 연결이 되겠죠. 


물론 abc.com 으로 쳐서 들어가도 전체 포털이 나올 수도 있지만, 이 건 어디까지나 "나올수도" 이기 때문에 포트를 열어 두었습니다.


그리고 


70 : file station main

7000 :  file station accesory


개별 접속을 통해서 file station 을 접근하기 위해 열어둔 포트입니다.


6690 : cloud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Cloud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는 것인데, 구간을 잡아 두셔도 됩니다.


1723 : VPN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저는 VPN을 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잡는데, 이용하기 때문에 열어두었는데, 일반적으로 열어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548 : Mac용 afp를 위한 포트입니다. 


맥을 쓰시지 않으시는 분은 굳이 열어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111: linux file을 위한 포트입니다.


이 역시 리눅스를 쓰지 않는 분은 굳이 열어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2121 : ftp를 위한 포트입니다.

55536-55539 : FTP 여분


ftp는 기본적으로 21번 포트를 쓰는데, 제 경우에 막혀 있어서 임시로 2121 포트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확장할 필요가 있을때 55536-39까지를 여분으로 열어 두었습니다.


8080, 7080,443 : photo


이 것 역시 시놀로지에서는 photo 서비스를 80 포트를 기본으로 하는데, 저의 경우는 막아둔 상황이라서 8080을 임시로 열어 두었습니다. 그 외에 것은 혹시나 있을 예외 상황을 위해 열어 두었습니다.


5005-5006 :  WebDAV


웹 서비스를 위해서 전반적으로 열어두면 다른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교통정리가 잘 되는 듯 하여 열어 두었습니다. 다른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WebDAV를 활성화 시켜 두어야 하기 때문에 열어 두었습니다.


이렇게 총 15개를 열어 두었고, 경우에 따라서 닫거나 제거 후 다시 열 수도 있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큰 문제 없이 쓰고 있었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 이렇게 열어 두었네요.


5000 :  Admin 관련 포트입니다.

5001 : Admin HTTPS

70 : file station main

7000 :  file station accesory

6690 : cloud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1723 : VPN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548 : Mac용 afp를 위한 포트입니다.

 111: linux file을 위한 포트입니다.

2121 : ftp를 위한 포트입니다.

55536-55539 : FTP 여분

8080, 7080,443 : photo

5005-5006 :  WebDAV


포트 포워딩의 개념은 NAS를 제공하는 공유기 입장에서 아주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설정은 생각보다 번거롭기 때문에,  uPNP라는 방법으로 내가 설정은 하지 않아도 NAS와 공유기가 알아서 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uPNP는 "일괄 자동처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방에 설정을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주 간편합니다.


저의 경우는 uPNP를 설정해 줬음에도 불구하고, 공유기에 포트가 열리지 않더군요. 아마도 NAS에서 그 공유기를 인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소위말하는 듣보잡 공유기.... 라고...


여하튼 포트 포워딩은 NAS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기에서 한다는 것을 명심하시고.


포트 포워딩왜 하냐하면, 서비스에 다다르는 문을 열어두기 위해서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문이 없으면 대부분 찾아가질 못하니깐(간혹 포트가 다 열려 있어서 되는 한방에 되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야 하는 공유기가 대부분입니다.) 꼭 해야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iptime 같은 경우에는 설정 방법과 인터페이스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서 큰 무리없이 설정 가능하구요(따라하기식 글들도 많습니다) 


만약 자신의 공유기가 저처럼 독특한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해서 포트 포워딩하는 방법을 찾아서 가기만 하면됩니다.(일반적으로 그 공유기 ip 주소를 치면 들어가 집니다만....)


그리고 위에 적힌 숫자(포트)는 제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 아님(대체로 일반적인 규칙을 지키고자 노력했습니다)을 꼭 아시길 바랍니다.


간혹 가다가 보면 자신이 외우기 쉽게 1 - 파일, 2, 포토 3.클라우드 등으로 설정하시는 분이 정말 간혹 가다가 있는데,


이 분은 아주 고수거나, 아님 삽질하거나 둘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각 포트마다 경험적으로 자주 쓰는 룰 같은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포트 넘버는 비록 조금은 복잡하게 보이긴 하지만, 대부분 NAS에서 중복을 막기 위해서 서비스 마다 고유넘버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변동 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리눅스나 애플 시스템에서도 기본적으로 548이나 111을 기본으로 쓰기 때문에, 자신의 임의대로 변경한다면, 


NAS도 변경하고, 공유기 포트 포워딩 번호도 변경하고, 자신의 맥, 리눅스 컴 접속시에도 포트를 변경해야지 이론적으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일단 정해진 포트를 이용하면, 공유기만 세팅하면 되기 때문에 훨씬 간단하죠. 그리고 그 포트를 꼭 외울 필요도 없게 되는 것이죠.



이해를 돕기 위해 FTP를 설명하면, FTP는 기본으로 21번 포트를 많이 쓰는데, 저같은 경우에는 들어갈 때 마다 21 포트가 막혀 있어서 2121로 따로 들어가 주어야 하는 것이죠.


살짝 번거롭긴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니깐, 그정도는 감수해야죠.



저 같은 경우에는 사실 NAS를 처음 세팅하면서 시간을 제일 많이 잡아 먹었던 부분이 바로 포트 관련 부분이였습니다. 


제가 잘 몰랐기도 하고, 개념도 모르고, 시키는 대로 하다 보니깐 잘 될 때도 있고, 안 될 때도 있었죠. 소위 말하는 맨땅에 헤딩 수준이였죠.


그런데, 어느 순간 포트를 이해하니깐, 해결이 쉽더군요. 우회하면 되고, 안되면 열어 주면 되고 하니깐. 비교적 많은 것들이 해결이 되고


업그레이드 할 때마다 새로 추가된 서비스 포트만 열어 주면 되니깐, 아주 쉽더군요. 



물론 NAS 설정은 자신이 혼자 다 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시간이 많이 뺏기고, 삽질도 많이 하게 되죠. 


그렇지만 하나 하나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되고, 되게 되었을 때의 기쁨은 정말 생각보다 큽니다. 


저의 경우에는 포트 문제가 가장 큰 기쁨을 주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알고 나면 별 거 아니고, 제일 쉬운 부분인데 말이죠. ^^


여하튼 제 글은 이렇게 저렇게 해라는 따라하기 식의 글은 아니지만, 따라하기 식의 글 이전, 혹은 하고 나서 마음 편하게 이해를 하기 위한 글이니 


NAS 설정하시는 분께 특히나 예전의 저처럼 네트워크에 거의 초보이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 NAS 구입 및 선택


요새 주변에서 NAS 하나 살려고 하는데, 어느 걸 사면 좋겠냐 고 물어보시는 분이 종종 있습니다. 


동호회분 중 나이 드신 형님들께서 야 NAS 그거 하나 사려고 하는데 뭘 사야 하냐? 삼성 꺼 있냐? LG로 사면 되냐?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그 때 마다 NAS를 구입할 때 목적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씀드립니다.


도대체 왜 NAS를 구입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답이 있다면 사실 NAS를 사지 않더라도 해결할 수 있는 길이 많기 때문입니다.



가령 사진 동호회 파일 올리려고 한다고 하면, 전 NAS보다 카페나 호스팅 업체를 추천합니다. 


음악도 들을 수 있고... 뭐 동영상도 볼 수 있다고 하던데... 라고 하면 멜론이나 벅스를 추천하고,  IPTV를 추천합니다. 


백업도 하고 자료도 다운 받고 하려고 하지... 라고 하면 웹하드 계정 하나 구입하고, 외장하드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홈페이지도 하나 만들고, 사진 공유하는 블로그도 하나 만들고 싶어서.. 라고 하면 티스토리나 블로그 서비스를 권장합니다. 


야 그럼 NAS 사고 싶은데, 이거 사면 다 할 수 있잖아 라고 말하시면....  네.. 그렇긴 하지만, 세팅하는게 쉽지 않습니다고 말씀드립니다.


차라리 제 NAS에서 하나 열어드릴께요. 라고 말씀 드립니다.


사실 여러번 말씀드리긴 하지만, 모든 서비스가 NAS에서 가능은 하지만, 그 서비스를 구동하고, 유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점은 확실히 알고 구입하셨으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뭐든 저지르면 일은 되는 법입니다. 


그리고 한 번 사고자 마음을 먹으면 결국 사게 되는 것이 사람의 마음인 것을 알기에...  이왕지사 구입할 때 어떤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NAS를 추천하라고 한다면,  Synology를 추천합니다. 다른 메이커도 많이 있긴 하지만, 그에 대항할 수 있는 NAS라면 Qnap 정도가 있긴 한데, 제가 잘 안 다루어 봐서 정확하게 추천할 수는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4년 정도 Synology를 살펴보면서 느낀 점과 잠깐 써본 다른 NAS와 비교해보면 Synology는 이런 장점이 있습니다.



1. 서비스 편이성이라는 측면에서 매년 업그레이드 되고,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보완이 잘 되고 있다. 


이건 상당히 중요합니다. 초반기 DSM 1.0 (DSM은 시놀로지에서 쓰는 NAS 운영체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에서 부터 최근에 나온 DSM 4.1 beta까지의 변화를 보면, 사용자를 고려하는 점이 아주 많이 느껴집니다.


특히 사용자가 하나하나씩 설치를 하면서 겪을 불편함을 업그레이드 때 마다 개선 발전시키는 모습을 보면 정말 믿음직스럽다고 느껴 집니다.


예 를 들면, 오디오 스테이션의 경우 초창기에는 정말 사용하기 불편했는데(파일 정렬, 웹 기반 번거로움, 노래 설정 등) 현재는 DS Audio로 사용자 편의를 아주 많이 고려해서 업그레이드되어 거의 클릭 몆 번으로 해결 가능한 수준에 올랐습니다.


이 런 면에서 다른 NAS는 솔직히 따라가기가 버겁습니다. 3rd party(앱스토어사 안드로이드 마켓처럼)가 활발하게 나올 수 없는 NAS 시장을 생각해 볼 때(물론 이는 현재 상황이 그렇다는 것이지, 나중에는 변할 수 있고, 변화되는 모습이 DSM 4.0 부터 보이더군요) 번들 형태로 어떤 업그레이드가 기본적으로 가능하냐는 NAS의 활용도 측면에서 아주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 유저가 아주 많다. 


이것 역시 아주 중요합니다.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어떤 NAS나 비슷한데 반해, 그 시행착오의 수와 해결방법의 DB는 유저에 비례해 증가합니다. 


조금 다른 예이긴 하지만, 저같은 경우는 공유기가 SK에서 제공한 무선 공유기에 NAS를 연결시켰는데, 해결책에 관한 글이 거의 전무했습니다. 포트를 막아둬서 안된다는 말 뿐이였고, 질문 글이 있어도 답변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에 반해 iptime 공유기의 경우, 정말 많은 글이 있어서 (캡쳐까지 있는 아주 자상한 문제해결 글) 비교적 용이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근데 결국 해결은 했긴 합니다만, 하루 정도의 시간이 걸렸죠.  iptime이라면 한 시간 정도면 충분했을 것을... 그 때 차라리 iptime을 구입할까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오늘 해결 못하면 사자라고 결심했는데, 마법처럼 그날 11시 50분쯤에 해결되었습니다만, 심각히 다른 공유기 구입을 고려했었죠. 그리고 결국 샀습니다. 2012년도에...


여하튼 유저가 많으면 많을수록 문제를 겪은 사람이 많을 가능성이 많고, 해결되었을 가능성이 큰 DB가 많이 존재합니다. 


앞 서 언급했지만, 소수의 제품을 사면 문제가 생겨도 해결은 되겠죠. 따지고 보면 리눅스라는 시스템에서 시작되는 것일테니깐요. 그런데, 내 문제 해결을 위해서 리눅스 터널을 배워야 하고, 그 배운 개념을 이용해 트러블 슈팅을 해야만 한다면.... 결코 반가운 일은 아니겠지요. 


결국 유저가 많다는 것은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아주 큰 이득을 가지고 옵니다.



3. 여러 OS와 다양한 사용국가에 대한 안정성


이 부분은 어떤 사람에게는 안 중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자신이 윈도우만 쓰고 있다면 전혀 고려 대상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만, 저에게는 아주 중요한 사항 중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이건 다양한 사람들에게 내 정보를 공유한다는 측면에서도 아주 중요한 것 중에 하나입니다. 그 사람이 리눅스를 쓸 수도 있고, 맥을 쓸 수도 있으니깐요


"아 왜 윈도우 안 쓰세요?" 라고 되물을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 사람의 소중한 선택이니깐요. 


그런 입장에서 본다면 시놀로지는 아주 좋은 선택이였습니다. 


아울러 한국어 지원과  그 사용으로 인해 전혀 불편함이 없는 안정성 역시 아주 작지만 중요한 요소이지요.


4. 백업의 안정성, 하드웨어적인 호환성 및 연동성


이 건 대부분의 NAS가 가진 주특징이고, NAS라면 절대로 양보하지 않아야 하는 기능이겠지요. 


이런 안정성은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야 제대로 구축되더라는 것은, 어찌 보면 제 개인적인 소신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분명히 시놀로지도 하드가 충돌한다든지 하는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였기 때문에, 완벽하다고는 말을 못하겠습니다.


다만, 이런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그 안에서 준비해 놓았느냐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참고로 시놀로지의 경우 하드 디스크 충돌시 읽는 기능은 살려 두더군요.


여하튼 나름의 안정성을 고수하기 위해 분명히 시놀로지는 시행착오를 겪었고, 한국내 서비스 파트너도 잘 설정한 편이라 생각합니다.



그 외에도 다른 장점도 있지만, 그건 시놀로지 만의 기능이라기 보다는 NAS 전반에 대한 이득이기 때문에, 딱히 장점이라 내세우기가 힘듭니다.


그에 따르는 단점도 분명히 있겠지요.


돈입니다. 다른 나스 보다 그리고 다른 리눅스 서버 보다 하드웨어적인 측면만 따지면 완전한 폭리(?) 수준입니다. 물론 칩과 하드 용량만 생각한다면 그렇겠지요.


그리고 동급의 저렴한 NAS보다 조금은 더 비쌉니다. 


그러나 써보니 비싼 값을 하더군요. 한치의 후회도 없습니다.


물건이란 것이 한 번 살 때는 비싸니 싸니 고려하지만, 일단 사놓고 나면 저는 가격을 까먹는 아주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어서... 그 비용에 대한 생각은 안 하게 됩니다.


그리고 리눅스 컴을 다루면서 하나하나 설치했을 번거로움과 삽질을 생각하면.... 어휴~ 정말 싼 가격이죠.


^^ 


뭐 쓰다 보니 Synology 찬양자 같군요. 맞습니다. 아직까지는 업그레이드 한다면 Synology를 재구입할 예정입니다. ^^ 


주변사람에게 NAS를 산다면 Synology를 권장하고 싶습니다.


물론 그 이전에 NAS 구입을 말리긴 하겠지만요.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