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텨 아일랜드의 거의 마지막 부분 장면이죠. 영화를 보신 분이라면 저 대사가 얼마나 의미심장한 것인지 와 닿으실겁니다. 영화를 안 보신 분을 위해 간단한 줄거리를 말씀드리면, 정신병을 앓고 있는 범죄자들을 구속하고 있는 섬이 있습니다. 교도소이자 정신병원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는 섬인거죠. 그런데 이 섬에서 어떤 여자 환자가 행방불명되는 사건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연기하는 연방수사관이 이 섬에 조사차원으로 방문하면서 영화가 시작합니다. 영화가 진행되면서 이 섬이 단순히 정신병 범죄자를 수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 위협적인 인물을 가둬놓고 전두엽 절제술을 시행해 폐인으로 만들어 관리하고 있는 듯한 정황들이 드러납니다. 이 이후의 줄거리는 스포일러에 해당되니 영화를 직접 보시길 권합니다. 마틴 스콜시지가 만들어 낸 장면에 디카프리오의 훌륭한 연기가 잘 어우러진 영화입니다.

위 영화의 배경은 1950년대 미국인데요.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정신병 또는 신경병을 치료한다는 목적으로 두뇌의 일부를 절제하는 경우가 실제로 많았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간질(지금은 뇌전증으로 이름이 바뀐)을 치료하기 위해 측두엽, 해마 등을 절제하는 수술적 치료인데요. 이 치료법은 아직도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전기적 발작이 시작되는 부분을 전극으로 찾아 내어 그 부분만 잘라내지만, 1950년같은 옛날에는 앞뒤 잴거 없이 그냥 해마나 측두엽 전체를 제거했습니다.

(출처:wikipedia, 이렇게 해마처럼 생겼다고 해서 해마라고 이름 붙여진 그 곳)

그런 시절에 아주 심한 뇌전증을 앓았던 환자가 있었습니다. 1926년에 태어난 Henry Molaison이라는 사람인데요. H.M.이라는 이니셜로 더 유명하죠. 예 맞습니다. 양쪽 해마를 절제해서 단기기억상실증을 앓게 된 사람이죠. 여기서 영화 메멘토를 떠올리시는 분도 많으실겁니다. 메멘토의 주인공처럼 새로운 정보나 인물을 장기기억으로 저장하지 못 하고 금방 잊어버리는 증상을 앓게 된거죠. 1953년에 해마절제술을 시행했다고 하는데 그 보다 예전 기억은 잘 기억하고 있었던 반면, 1953년 이후에 일어난 일들은 거의 기억하지 못 했다고 합니다. 단, 절차기억(자전거타기, 수영하기 등등)은 남아있는 상태일 뿐만 아니라, 새로 배울 수도 있었다고 합니다. H.M.의 케이스가 과학계에 보고되자 많은 사람들이 기억에 관한 연구를 하기위해 H.M.을 테스트했고, 심리학 신경과학 역사에 잊혀질 수 없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H.M.의 케이스는 이후 동물 실험을 하는 연구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쳐서 쥐나 토끼의 해마 기능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중 한 명이 이번에 노벨상을 받은 O'keefe였죠. 

(출처: http://robertchaen.com/2014/10/08/6970/, 흰수염이 멋있으심)(출처: http://berkelab.org/BerkeLab/Techniques.html, 신경세포의 전기적 신호기록을 위해 머리에 전극을 설치해놓은 쥐의 모습입니다.)

O'keefe 교수는 당시 위의 오른쪽 사람처럼 쥐가 살아 있는 상태에서 해마에 전극을 꽂아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하며 신호를 기록했는데요. 쥐의 해마는 사람의 해마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있기도 했고, H.M.에 대한 보고도 있었으니 열심히 실험하고 연구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그 결과 O'keefe 교수는 해마가 뇌의 인지적 지도에 해당되는 부위라는 가설을 뒷받침할 만한 연구결과를 내놓게 됩니다. 그게 바로 이번 노벨상 업적이기도 한 장소세포, place cell의 발견입니다.

쉽게 말해 장소세포는 어떤 환경에 개체가 노출되었을때, 주변 환경에 대한 cue나 정보를 인식해서 어느 특정 부분에서만 활성화되는 세포라는 것이죠. 쥐로 치면 

(출처: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0014488676900558, Place units in the hippocampus of the freely moving rat, O'keefe, 1976, Experimental Neurology)

 위와 같은 실험실 환경에서 가운데 보이는 T자형 미로을 왔다갔다 할때 특정 위치에서 활성화되는 세포라는 거죠. 우리 사람으로 치면, 집에서 거실 쇼파에 있을때 활성화되는 세포, 화장실 변기에 앉아 있을때 활성화되는 세포가 해마에 포진해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그 유명한 런던 택시 운전사에 관한 연구를 보면 복잡한 런던이 골목을 이리저리 누비고 다니는 택시 운전사의 해마가 일반인보다 크다고 되어 있죠. 그런곳에서 네비게이션도 없던 시절부터 오랜시절 운전해오신 베테랑들에게는 장소세포가 많이 필요했나봅니다.

해마는 단순히 장소만 기억하는 역할만 담당하지 않습니다. 저 위에서 언급했던 H.M.의 경우, 메멘토의 경우처럼 타인에 대한 기억도 저장하게 되는데요. 그와 관련한 멋진 연구가 여기 있습니다.

(출처: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35/n7045/full/nature03687.html, Invariant visual representation by single neurons in the human brain, 2005, Nature)

진단 및 치료목적으로 해마와 그 인접부위에 전극을 삽입한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입니다. 이 환자의 경우 제니퍼 애니스톤이라는 특정인물에만 반응하는 세포가 있었는데요. 동명이인이나 다른 여성 사진에는 반응하지 않았고, 웃프게도 브래드피트와 애니스톤이 함께 있는 사진에도 반응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ㅡ,.ㅡ; 

물론 이렇게 발견된 현상은 단순히 세포에 사람얼굴이나 특정장소가 저장된다기 보다는 여러 신경 세포의 활동의 조합, 즉 패턴의 형태가 기억을 표상할 것으로 믿어지고 있습니다. 결국 장소세포 또는 할머니세포,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라는 것은 결국 그 패턴을 이루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수많은 신경세포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죠. 

그렇게 생각을 하고 해마와 그 인접부위에 관해 더 실험, 연구를 하다가 발견된 것이 격자세포, Grid cell입니다. 결혼해서 같이 살면서 연구도 같이 하시는 Moser부부가 발견했죠. 격자세포란

(출처: 문명 홈페이지 캡처, 문명하셨습니다의 그 문명5)

저 게임 상의 유닛처럼, 격자를 하나씩 이동할때 마다 활성화되는 세포를 말합니다. 이 격자세포는 해마로 정보를 보낸다고 알려진 Entorhinal cortex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출처: http://www.ucl.ac.uk/news/news-articles/1001/10012001)(출처: Buzsáki, György, and Edvard I. Moser. "Memory, navigation and theta rhythm in the hippocampal-entorhinal system." Nature neuroscience 16.2 (2013): 130-138.)

실제로 격자세포를 실험적으로 기록하면 위의 왼쪽 그림처럼 됩니다. 쥐가 쥐장안을 자유롭게 돌아 다닌  흔적이 검은색 실선입니다. 그리고 그 실선 위에 기록하고 있는 세포가 활성되었을때 빨간 점을 찍으면 저런 육각형의 격자 모양이 생기는 거죠. 이렇게 기록한 결과에서 위치에 따른 신경세포의 활성화되는 빈도를 색깔(높을 수록 빨간색, 낮을수록 파란색)로 표현한 것이 오른쪽의 상단 그림입니다. 이 그림을 보면 Entorhinal cortex라는 피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격자세포가 기록되는 거리 간격이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orsal은 등쪽을 의미하는데, 이 곳의 격자세포들은 훨씬 촘촘한 간격에서 활성화되죠. Ventral이라고 되어 있는 배쪽의 격자세포는 조금 더 넉넉한 공간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세포마다 기록되는 육각형 격자의 각도가 달라지면서 공간 상의 X,Y위치를 훨씬 자세하고 촘촘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 격자공간에 대한 좌표를 처리해서 해마로 보내면 해마의 장소세포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이렇듯 해마와 그 인접부위는 기억과 관련되어, 신경과학이나 심리학 분야에서는 아주 핫한 곳이었습니다. 그런 부위에서 우리의 기억을 표상하는 두뇌의 기전을 신경세포 수준에서 발견하고 증명한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에 관한 연구는 이번 노벨상 수상에 전혀 손색이 없는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었네요. 이번 수상자를 예측한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초기 연구가 1971년도에 시작되었으니 더 그렇기도 하겠지요. 참고로, 노벨상 수상 시점과 연구 시점에서 가장 큰 간극이 있는 상이 바로 생리의학상이죠. 초기 발견부터 그 의미가 다시금 재해석되는데 많은 시일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에 반해 물리나 화학은 바로 이론을 실용화시키는 것이 생물보다는 훨씬 더 쉽게 가능하죠.


올해 수상자는 John O´Keefe May-Britt Moser and Edvard I. Moser 입니다. 참고로 후자 두분은 부부죠. 자세히 보시면 알겠지만, 비율이 1/2 : 1/4,1/4 입니다. 보통은 1/3 인 경우가 많은데, 연구의 중요성과 시기로 인해서 이런 비율이 등장한 것 같아 보입니다. 



positioning system in the brain 에 기여한 바로 수상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조만간 저희 팀블로그 필진 중 한 분이 설명드릴 것 같습니다. ^^


간략하게 설명드리면, 뇌에서 어떻게 정보가 기억되고, 그 정보의 기억 장소가 특정한 곳에 지정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 기억과 관련하여 브레인이 작동되는 원리를 밝힌 셈인데, 혹시 궁금하신 분들은 요기를 클릭하시면, 언론을 대상으로 한 정보가 있습니다. 물론, 영어입니다. ^^


조금 더 자세하게 읽어보시고 싶으신 분들은, 노벨상 위원회에서 작성한 설명 글을 읽어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The Brain's Navigational Place and Grid Cell System.


이건 조금 더 세분화되어 있어서, 관련 분야에 연구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조금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영어겠죠. ^^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데, 우리 나라 과학계는 이 수상에 목을 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하지만, 개인적으로 노벨상과는 큰 관련이 없는 중개 연구를 하는 입장을 떠나서라도, 노벨상에 너무 목 맬 필요는 없다는 생각도 해 봅니다. 노벨상을 받기 위해서 과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즐겁게 하다보니깐 노벨상과 같은 큰 상을 받게 되는 것 아닐까 합니다. 절대 노벨상을 폄훼하는 것은 아닙니다. ^^


노벨상을 아직 받지 못했지만, 아니면 받지 못했던 연구들 중에서도 아주 멋진 연구들이 많습니다. 일례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도 엄밀히 따지면, 노벨상을 받지는 못했죠. 그렇다고 해서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못 받은 것은 아니지만요. 광전 효과로 1921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죠. 하지만, 과학적 사실은 상대성 이론에게 노벨상을 수여한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고 해서 그 이론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고, 그 중요성이 덜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핵심입니다. 그리고 전 아인슈타인이 노벨상만을 받기 위해서 물리 연구를 했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네요. 학문을 즐기다 보니깐 그렇게 된 게 아닐까요?


물론, 노벨상을 받게 되면, 그 연구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되고, 관련 분야가 조금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는 긍정적 측면도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에게도 영광이고, 국가적으로도 영광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의 본질은 노벨상과 같은 외적 업적에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너무 노벨상 노벨상 그러는 세태는 조금 지양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때로는 자신이 하고 있는 "소소한" 연구가 개인에게는 더 없이 큰 행복을 줄 수 있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MDPhD.kr의 Main editor "오지의 마법사"입니다. 가끔 이메일로 필진들에 대한 문의글이 가끔 오기도 합니다. 개별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대부분 운영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분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기회가 없기도 합니다.

 


본 블로그의 운영 취지가 "다양한 연구를 하는 의과학자들의 교류 활성화" "의과학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시행착오를 줄이자"는 것이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각기 다른 필진들에 대한 소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간략한 프로필 소개는 요기 링크에 있습니다만 ^^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자 합니다. 


그래서 연속적으로 필진들에 대한 소개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순서는 다분히 랜덤입니다. ^^ 사실 제가 필진들 대부분과 개인적인 친목을 도모하고 있기에, 질문 역시 제가 아는 선에서, 나름 맞춤형(?)으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 제가 4-5개의 질문을 하고, 답변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아무쪼록 필진들에 대한 충분한 소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에는 지난번 

케로로SW 선생님집착맨(김용희) 선생님

 

에 이어, 세번째 필진 소개입니다

 

김현제

현소속: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박정규 교수님 실험실 


학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2007)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 교실 석사(2011)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박사 과정


한 마디 소개: 

만나면 좋은 친구


특이 사항:

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thing like this would happen (Bernard Shaw)

 

 

1. 의대를 졸업하고 나서, 임상 수련 하고  이후에 기초 의학이라는 학문을 선택한 이유.

 

 서른이 넘은 지금 저의 20 후반의 삶을 돌아보며 가장 아쉬웠던 것이  치열하게 살지 못했음 이었습니다.


고등학교 다니면서 어려운 수학문제를 하루 종일 혹은 며칠간 생각하다가 마음속 깊은 곳에서 드디어 답을 알게 되었을 때의  스스로에 대한 높은 자존감은  어떤 환희보다 뜨거웠습니다. 예과  2년을 놀고, 본과  다시 공부를 하면서 기초의학을 공부하는 과정에는 중학교, 고등학교  가끔 느끼던 그러한 즐거움이 있었습니다


학문을 즐길  있었던 이죠. 하지만, 임상의학은  달랐습니다.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  줄줄이 외우고, 수술의 indication  numbering 해가며 외울 , 그리고 이해 없이 외우기만 했던  모든 지식들이 시험 1주일 후에는 풀풀히 흩어져 가는 것을 보면서 저는 제가 스스로 "어제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었다라고 느낄  없었습니다


 기초의학에 대한 낭만 가지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적어도 기초의학이라는 분야는  한몸을 과학이라는 거대한 물결 아무런 무기 없이 내던지고 스스로 고민하며 진정한 지식을 창조해 나갈  있는 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기초의학으로 다시 돌아올  있었던 것은 전문연구요원이라는 제도로 인해, 어차피 군의관으로 3년을  바에야 공부를 하면서 5년을 지내는것이  나을 것이라는 현실적인 판단도 있었고, 기초연구연수의 제도(서울대학교 의과학과 운영) 인해 경제적으로 레지던트와 비슷한 보상도 어느정도 주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2. 기초 의학을 하면서 느끼는 "기초"에서 필요한 사항이나 자질  - 학생들이  분야를 선택한다면.


기초의학자로서의 자질은 제가 답할 사항은 아닌  같습니다. 제가 아직  연구를 시작한 초보 대학원생이니까요. 다만, 의대 졸업  6년간 이분야에 있었던 절친한 친구인 김용희군의 말(MDPhD.kr 블로그 필진 중 한명입니다. 집착맨 선생님입니다. ^^) 을 대신 전하면 "성실"   같습니다. 


모든 일에 "성실"이라는 가치는 최고의 가치이지만, 특히 research fileld 에서 "성실"  더욱더 필요한 덕목입니다. 저는 2년차가 되어서야 어렴풋이 느낄까 말까 하고 있지만,김용희군의 말이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3. 임상에서 기초 커리어 전환(물론 전환이라고 표현하기는 뭐하다만 ^^) 하면서 현재 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간략한 설명.


저는 의과대학시절부터 면역학 재미있었습니다. 피부과에서 training  받았지만, 계속 면역학에 대한 꿈을 지울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국내에 피부 면역학을 하는 group  많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제가해보고 싶었습니다


작년 1년간은 pipet 잡는 연습부터 시작했으니 자연대학 학부 4학년, 석사 1년차와 별반 다르지 않은 삶을 살았죠. 1년간 제가 배운건 .. 내맘대로 안되는 구나.. 였습니다. 그래서 더욱더 성실함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저희 교수님은 immune tolerance, transplantational immunology, xenotransplantation field  계신 분이라 이와 관련된 공부를 하고, 공부하면서 가진 지식들을 통해 skin immunology  해보는 것이 저의 꿈입니다. 김용희군과 같은 lab  있으니 김용희군의 profile  보셔도   같습니다.



4. 임상을 경험한 사람으로서,"기초 의학"이라는 학문 가진 매력이나장점혹은 공부하면서 느낀 .


인턴을 하고 피부과 레지던트를 하면서 임상의로 성장하는 과정에서도 다른 사람의 눈에는 대학병원에서 일하는  레지던트였을지 모르지만저는  스스로 정말 어제 보다 내가 오늘  "의학이라는 분야"피부과" 라는 분야에 대해  알고 있는가 하는것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지울  없었습니다그리고 training 받아보면 생각보다 우리가 임상에서 밑고 있는 많은 지식들이 그렇게 탄탄한 논리적 기반을 가지고 있지는 하다는 것을 깨닫게  때도 있습니다. (minor 과들이 더욱 그러한  같습니다.) 또한 내가 지금 병원에서 이렇게 고생하면서 training 받고 있는 것이 누구를 위함인가.. 라는 고민이 들기도 합니다


임상은  과로 나뉘어지면서 사실 inner circle  생기고  안에서의 경쟁입니다대한민국의 피부과 의사는 매년 80 정도 생깁니다 문의 번호가 20XX 번입니다.(2012.3월 현재대한민국에 2000명의 피부과 의사가 그들 사이에서만 경쟁 합니다개원을 해도 마찬가지이고, 학문을 해도마찬가지입니다매우 "안전" 하죠경제적으로도 안전하고 학문적으로도 안전합니다


하지만 기초의학은 그런게 없죠물론 구체적인 분야로 들어가면 비슷한 주제로 연구하는 집단이  세계에  group 없을 수는 있지만그런 집단이 연구를 하는 "방법론 대개 비슷합니다또한 그런 연구를  받는 "방식 비슷합니다구체적인 주제만 다를 뿐이지 사실  분야는 open competition 입니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점이 저에게는 매력적이었고 진정한 학을 공부할  있겠다는 기대가 있었습니다그리고  의학 연구는 임상 연구보다 수준이  높습니다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임상 논문과 기초 의학 논문을 대비하여 읽어 보면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리라 저는 생각합니다. 임상 논문은 대개 case report, case seri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같이 현상을 reading 하고 결론을 통계적으로 처리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씁니다하지만 매우 powerful 하죠어떤 신약의 통계적 유의성 RCT  통해 증명되면바로 적용할  있으니까


하지만 "?"  약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대한  대부분 주지 못합니다하지만초의학분야의 논문은 현상을 발견하고 나서도 "?"  근본적인 의문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mechanism)  세련된 방법으로 증명해야 합니다임상논문은 쉽지만 많이 읽다 보면 재미가 없고초논문은 어렵지만 읽으면 읽을 수록 재미가 있습니다. 저는  어려운 문제를 풀고 싶었습니다


안녕하세요. MDPhD.kr의 Main editor "오지의 마법사"입니다. 가끔 이메일로 필진들에 대한 문의글이 가끔 오기도 합니다. 개별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대부분 운영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분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기회가 없기도 합니다.


본 블로그의 운영 취지가 "다양한 연구를 하는 의과학자들의 교류 활성화" "의과학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시행착오를 줄이자"는 것이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각기 다른 필진들에 대한 소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간략한 프로필 소개는 요기 링크에 있습니다만 ^^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자 합니다. 


그래서 연속적으로 필진들에 대한 소개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순서는 다분히 랜덤입니다. ^^ 사실 제가 필진들 대부분과 개인적인 친목을 도모하고 있기에, 질문 역시 제가 아는 선에서, 나름 맞춤형(?)으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 제가 4-5개의 질문을 하고, 답변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아무쪼록 필진들에 대한 충분한 소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에는 지난번 케로로SW 선생님에 이어, 두번째 필진 소개입니다. 


집착맨 (김용희) 


현소속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학교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석박사 통합과정


한 마디 소개 : 

이식면역학 분야를 주로 공부하고 있으며 면역관용(immunological tolerance)을 유도하여 장기이식에 대한 거부반응을  막는 목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의대를 졸업하자 마자 바로, 기초의학인 미생물학을 선택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는데, 특별한 계기가 있었나요? 

- 특별한 계기까지는 없지만, 기초의학을 선택한 이유는 있습니다. 본과 1학년 때 생리학, 면역학 등 기초의학 과목들을 배우면서 매우 즐거웠어요. 과학은 결국 '인간'을 목표로 하게되므로, "의학이야말로 모든 최첨단 과학이 가장 먼저 적용되는 종합과학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의대에 오길 정말 잘했다고 생각했죠. 


반면에 3,4학년 때 병원실습을 돌며 접한 임상의학에 대해서는 '학문'으로서는 실망스러웠어요. 임상의학에서 강조하는 'evidence-based medicine'이라는 것이 A질환을 가진 환자 1000명에게 B라는 약만 썼을 때보다 B와 C라는 약을 썼을 때 성적이 더 좋았다는 evidence이고, A질환 환자에게는 B와 C를 사용하는 정형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한다는 것을 외우는 공부가 재미는 없었어요. 그래서 제가 더 재밌어했던 기초의학을 전공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2. 면역학을 주로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면역학이라는 학문이 가진 매력이나 장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1학년 때 배운 여러 기초의학 과목들 중 면역학이 가장 재밌었어요. 그래서 영문교과서를 정말 재밌게 쭉 읽었고, 마치 한 편의 소설처럼 하나로 연결되는 story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 매력적이었어요. 그래서 그 때 '면역반응의 이야기식 정리'도 신나게 썼지요. 


(면역반응의 이야기 상, 하 편 참고하실 분들은 링크 타고 들어가서 읽어 보세요. ^^)


3. 지금껏 연구해 오면서, 연구를 진행하는데 가장 필요한 자질이나, 역량은 어떤 것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 처음에는 연구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번뜩이는 창의적인 idea'라고 생각했는데, 연구를 여러해 할수록 생각이 점차 바뀌게되었습니다. 연구자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 '꾸준함과 인내심'인것 같습니다. 실험이란 것이 생각대로 절대 되지 않고, 한 번 해서 나오는 결과보다는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며 수정보완을 해야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들이 많은 것 같아서요.  


4. 현재 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 저는 이식면역학을 연구하고 있는데요, 주로 췌도이식을 통해서 면역관용 현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식 시에 다른 개체의 장기에 대해서 거부반응이 일어나게 되므로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거부반응을 막고 있는데요, 면역억제제는 개체의 면역력을 전반적으로 낮추므로 치명적인 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공여자의 장기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일 것입니다. 이러한 항원-특이적인 면역억제를 '면역관용'이라고 합니다.


 저는 면역관용을 설명하는 여러가지 기전 중 하나인 'regulatory T cell'에 대해서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상이  집착맨(김용희) 선생님의 이야기였습니다. ^^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로 질문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MDPhD.kr의 Main editor "오지의 마법사"입니다. 가끔 이메일로 필진들에 대한 문의글이 가끔 오기도 합니다. 개별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대부분 운영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분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기회가 없기도 합니다.


본 블로그의 운영 취지가 "다양한 연구를 하는 의과학자들의 교류 활성화""의과학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시행착오를 줄이자"는 것이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각기 다른 필진들에 대한 소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간략한 프로필 소개는 요기 링크에 있습니다만 ^^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자 합니다. 


그래서 연속적으로 필진들에 대한 소개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순서는 다분히 랜덤입니다. ^^ 사실 제가 필진들 대부분과 개인적인 친목을 도모하고 있기에, 질문 역시 제가 아는 선에서, 나름 맞춤형(?)으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 제가 4-5개의 질문을 하고, 답변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아무쪼록 필진들에 대한 충분한 소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Kerorosw (케로로SW)


현소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부산백병원 임상약리학과


학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실 석박사 통합과정


한 마디 소개: 약물유전체학 전공


특이 사항:

약물 관련 분야 연구자로 거듭나기 위해서 in vitro, in vivo, in silico를 모두 경험하고 있습니다.



1. 의대를 졸업하고 나서, 대부분이 임상을 진학하는데 반해, 선생님께서는 기초 의학을 선택하셨고,약리학이라는 학문을 선택하셨는데, 그 이유는 뭔가요?.


저의 경우에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선배들이 의과대학 졸업 이후 약리학교실 진출해 있었습니다. 그래서 진로 결정시 선배들과의 면담 과정에서도, 다른 분야 보다 약리학에 대해서 많이 듣게 되었고, 또한 저희 학교의 약리학 교실이 연구를 활발히 하는 것으로 학생들에게도 알려져 있어서 진로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빨리 연구를 진행하고 싶은 마음에 졸업 이후 병원 인턴을 하지 않았는데,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 생각해 인턴 경험의 여부는 연구 자체에는 아주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기 때문에 본인들이 스스로 결정해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인턴제도의 폐지가 논의되고 있지요...



2. 약리학자로서, "약리"라는 학문이 가진 매력이나, 장점, 또는 공부하시면서 느낀 을 알려 주세요.


약리학은 약물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다루기 때문에, 임상 과 혹은 타 기초 의학 교실과의 연구와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보통의 과에서는 연구 주제가 자기 과에서 다루는 질병에 초점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모든 임상 과의 대부분 질환에서 치료 전략으로 약물 적용되기 때문에, 약리학과의 연구 범위는 특정 약에 대한 기전 연구가 수도 있으며 내가 관심 있는 약물이 사용되는 임상 과와의 공동 연구도 얼마든지 진행할 있습니다. 신약 개발 또한 약리학의 분야로서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의학에서 질병과 약물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 범위를 약리학 안에서 아우를 있습니다.



3. 임상 약리학으로 커리어 전환을 하면서, 현재 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간략한 설명해 주세요.


기초 약리를 5년간 수련하고, 임상 약리를 새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의학을 전공하고 기초 약리를 공부하는 내내 크게 느꼈던 점은, 약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기초 약리와 임상 약리를 함께 적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전부터 임상 약리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가지고 있었습니다. 


기초 약리학에서 약리 분야 연구의 in vitro, 임상 약리학에서 약리 분야 연구의 in vivo in silico 담당하고 있다고 크게 있습니다.


임상 약리학에서는 신약의 임상 시험만을 담당한다고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임상 시험을 통한 약물의 in vivo study, TDM(therapeutic drug monitoring,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 통한 임상 진료 서비스 in vivo 약물 작용의 in silico modeling 적용의 확인, 그리고 in vitro 연구 결과를 in vivo에 적용하는 SimCYP 등 많은 세부 분야가 존재하며, 연구 수행 시에도 약동학(pharmacokinetics), 약력학(pharmacodynamics), 약물유전체학(pharmacogenomics), 계량약리학(pharmacometrics) 들 조합을 통해서 나만의 학문 분야를 개척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임상 약리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in vitro 기초 약리학적 지식이 더해져야 합니다.



4. 임상 약리학이나 기초 약리학에서 필요한 사항이나 자질 - 학생들이 분야를 선택한다면 어떤 부분을 강조하고 싶으세요.


임상 기초 약리에서는 현재 다양한 분야의 전공을 가진 사람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의학, 간호학, 약학, 화학, 생물학, 생명공학, 통계학 등이 대표적으로 약리 분야에서 종사할 도움이 되는 학부 전공입니다. 하지만 외에도 병원 경영, 제약 공학 관련 분야를 공부한 연구원들도 약리에서 각자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에서 설명 했듯이, 약리는 많은 임상 분야에 발을 걸치고 있기 때문에 약리 전공 대학원 졸업 대학과 병원, 국공립 연구소, 그리고 제약 회사까지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합니다.



이상이 Kerorosw (케로로SW) 선생님의 이야기였습니다. ^^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로 질문하시면 됩니다. ^^

Elaine Fuchs 라는 과학자가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여자 과학자입니다. 노벨상을 제외하고는 이룰 수 있는 모든 것을 받은 과학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실제로 그녀는 생화학자로 시작해서, 현재는 피부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상피세포)와 관련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분야 특성상, 노벨상을 받기는 쉽지 않아 보이지만, 대단한 과학자인 것만큼은 사실입니다.


현재 Rockfeller University와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HHMI)에 소속되어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각주:1]

Rockefeller University. 

우리나라에는 록펠러 대학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로크펠러 대학이라 불리죠 ^^ 미묘한 차이입니다만 ^^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하워드 휴즈가 만든 의료재단이죠. 

아이러니하게도 살아 생전 돈을 아주 많이 번 두 사람(록펠러, 휴즈)이 
의료 기부, 발전에 제일 많은 이바지를 했죠. 

Fuchs를 소개하려면 Reverse Genetics라는 분야를 언급해야할 것 같습니다. 사실상 분야라고 이야기하기에는 정론화된 학문 분야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문으로 승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충분한 툴로는 이용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GeneticsCentral Dogma에 근거하고 있습니다.(예외도 있긴합니다.) DNA에서 유래된 것을 중심으로 RNA, Protein, Cell, 개체로 확장되어 가는 변화 양상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맞추어져 있죠. 물론 현재는 모든 부분들이 서로 얽혀 있고, Epigenetics(후생유전학) 같은 부분들이 끼여 있기 때문에,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전통적인 genetics에서는 DNA의 변화에서 유래한 phenotype의 변화를 중요시 하였죠.

그 부분에서 E.Fuchs는 만약 Protein만 변화된다면, 개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에 대해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죠. 그 연구들이 확장되고, Transgenic mouse(TG)와 Knockout mouse(KO)와 같은 genetic tool들과 결합되면서 Fuchs의 연구는 꽃을 피우게 된 것이죠.

간단히 Reverse Genetics를 말하면, target된 DNA가 조작(첨가)된 개체(결국은 Protein이 변하겠죠)에서 변화되는 양상을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사실상 Genetics나 일반적인 동물유전학과 큰 차이는 없지만, 다만 Protein에 조금 더 중점을 두었다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실제로 Elaine Fuchs의 경우 탁월한 연구 성과로 2009년도에는 미국 National Medal of Science를 받기도 했었죠. 




그녀의 연구 성과를 보면 감탄이 나올 따름입니다. 




연구 내용에 대한 이야기는 차치하더라도, 출판된 논문만 본다면 소위 말하는과학계의 Grand slam (Cell, Nature, Science)을 몇 번이나 했는지 모릅니다. 더군다나 그 부분이 주류 과학에서 조금은 동떨어진 피부과학 분야인 것을 감안한다면, 그녀가 가진 툴이 얼마나 powerful한지를 조금이나마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것 입니다.

이 글을 포스트하게 된 이유는 그녀가 최근에 한 인터뷰에서 한 말 때문입니다.

(http://worldsciencefestival.com/blog/elaine_fuchs_theres_no_comfortable_route_for_a_scientist)



특히 마지막에 한 말이 뇌리 속에 박혀서 빠질 생각을 하지 않네요.

It's not simply how smart you are that makes you a good scientist.
(단순히 니가 똑똑한 것이 "너를" 좋은 과학자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
It's how passionate you are about the questions that you ask.

(좋은 과학자를 만드는 것은 바로, 얼마나 니가 궁금해 하는 질문에 대해 열정을 가졌냐는 것이다.)

There is no comfortable route for a scientist, you want to learn to get comfortable with being uncomfortable.
(과학자에게는 쉽고 편한 길이란 것은 없다. 다만, 불편한 것에 대해서 편해질 방법을 배우길 원해야 한다.)


정말 맞는 말인 것 같습니다. 항상 하기 싫고, 반복되는 작업의 연속이긴 하지만, 자꾸 하다보면 편해지는 상황이 오게 되니깐요. ^^

반복된 작업 ^^ 즐기세요~~~~~ ^^


  1. (HHMI는 영화 에비에이터에 나온 주인공이 만든 의료 재단입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주인공으로 열연했죠 ^^) [본문으로]



Vivien Theodore Thomas. 토마스 비비안

영화 Something the lord made에 나오는 주인공 중 한 명이죠. 다른 주인공인 알프레드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이전 포스트 알프레드 블라락 이야기를 보시죠 ^^


그는 정식 의사는 아니었습니다.

결국 그는 존스 홉킨스 의대에서 명예 박사를 받습니다. 물론 그는 영화에서 알려진 것처럼 의학 박사를 받은 것이 아니고, 법학박사(Honorary Doctor of Laws)를 받고, Dr(Doctor)로 불리게 됩니다.그렇지만 그의 업적은 의학에 대부분 포진되어 있죠.

그는 1930년에 닥터 Alfred Blalock을 밴더빌트에서 만나면서 의학과 인연을 맺게 됩니다. 원래는 대학학을 간 후에 의과대학(정확히 이야기 하면 의전원이죠-미국시스템)을 진학할 예정이였으나, 미국이 대공황에 빠짐과 동시에, 가장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Dr.ALfred Blalock과 같이 일을 하게 됩니다.

당시만 해도 shock은 혈액내에 있는 Toxin에 의해서 생겨난다는 이론이 팽배했었죠. 외상을 입으면, 그 toxin이 activation되어서 결국 죽음으로 이른다는... 현재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이론이 팽배했던 시절이였습니다. (자세한 쇼크에 대해서 아시고 싶으신 분은 링크로)

이 이론에 닥터 블라록은 의문을 품었고, 비비안과 함께 "혈액의 부족이 결국 Shock를 만들어 내고, 그 것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라는 가설을 실험적으로 증명합니다.

당연히 이 때 비비안 토마스는 shock 동물 모델을 만들고, 실험적인 일들을 대부분 수행하게 됩니다. 사실상 토마스가 한 일은 현재의 개념으로 본다면 postdoc - 박사후 과정 혹은 senior researcher(선임 연구원)이 하는 수준이였죠.

Shock에 대한 치료법 개발로 Dr.Blalock은 존스홉킨스로 옮기게 되고, 비비안 역시 블라록의 권유로 자리를 옮기게 됩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존스홉킨스 일대는 인종 차별이 심했고, 흑인에게는 단순 노동만 시켰던지라, 비비안 역시 janitor(현재로 본다면 병원 청소부)로서 대우를 받게 됩니다. 물론 하는 일은 포닥급이였지만요.

그들을 더 유명하게 해 준 사건은 바로 Tetralogy of Fallot (blue baby syndrome)-팔롯사징의 외과적 치료입니다.당시 이 질환에 대해서는 치료법이 거의 없고 부모로서는 애가 죽어가는 과정을 지켜볼 수 밖에 없었던.. 어찌보면 아주 의사를 좌절시키는 질환 중 하나였습니다. 그 때, 비비안과 닥터 블라록이 동물 모델을 만들어 처음으로 사람에게 시도한 것이지요.

이 때 시도한 환자 이름은 Eileen Saxon. 18달밖에 되지 않은 소녀였습니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이루어 졌고, 의료법 상 의사가 아닌 비비안은, 블라록이 수술할 때 옆에서 지켜보면서 수술을 도왔다고 합니다. 

집도는 하지 않고. 지시를 했는 것처럼 영화에서는 나오지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보조자로서 수술 참관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동물은 구조적으로 많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비비안이 기여한 것은 맞지만, 수술적인 부분을 하나하나 지시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

재미있는 일화 중 하나는, 이 때 TOF를 치료하기 위해 만든 동물 모델 중 shunt 수술을 받은 Anna라고 불리는 개 초상화가 존스 홉킨스 벽에 걸려 있다는 사실이지요. 존스 홉킨스 의대에 걸린 유일한 동물 사진이라고 하네요.

비비안의 선구자적인 면모는 흉부외과 의학 기구 개발로 이어집니다. 당시 동물 수술을 하면서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은 비비안은 수술에 필요한 도구를 직접 만들어 내죠. 당시만 해도 흉부외과라는 분야가 없었기에(비비안과 블라록 이후 현재 개념의 흉부외과가 생겨납니다) 당연히 기구도 없었겠죠. 비비안은 다양한 기구들을 만들어 내고, 직접 이용하기도 합니다.

위키에 언급된 바에 따르면, 블라록이 수술한 3개의 케이스 18개월짜리 여아, 11세 여아, 그리고 6살 남자 아이에 대한 수술 보고가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에 실리게 되지만, 비비안에 대한 언급은 없죠. 수술의 기본적인 실험 모델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수술 자체나 임상 경과 결과 보고라는 논문 내용만 봤을 때는 분명히 비비안에 대한 언급을 할 필요가 없긴 합니다. 비비안 측으로는 분명히 억울할 수도 있지만, 수술 집도를 포함해 다른 임상적인 부분에는 비비안의 기여가 적거나 거의 없으니깐요. 다만, 실험적 모델 단독으로 논문을 제시했었더라면 비비안이 주가 되었을 것이라 생각하고, 현재의 저자 개념으로 본다면 공동저자로 들어가거나, 최소한 acknowledgement 에는 들어가야 했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비비안의 술기 능력은 가히 뛰어났다고 합니다. 거의 수처 라인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수술이 완벽에 가까웠습니다. 닥터 블라록은 그런 것을 보고 "이건 신이 만든 것 같군"이라고 이야기 했답니다. 영화에서도 나오죠. 그래서 결국 제목으로 선택되었지만요. (섬딩 더 로드 메이드 - Something the lord made) [각주:1]

물론 그도 정규 교육을 받아서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시간적인 면에서 너무 큰 난관이 있어서 그렇게 하지 못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계속 외과 일을 했고, 닥터 블라록이 암으로 죽은 이후에도 15년 동안이나 외과에서 일을 합니다. 결국 그는 외과 수련지도자로서 faculty 포지션을 받아서 외과 의사들을 양성하죠.

(비비안이 쓴 자서전)


그리고 결국 1968년도에는 그에게 교육받은 외과 의사 제자들에 의해서 초상화로 헌정되고, 닥터 블라록 옆에 자리하게 됩니다. 최고의 영광을 받게 된 것이지요.

스 홉킨스 의대에서는 매년 본과1학년 학생을 네그룹으로 나누어서 가르치는데 그 중 한 그룹의 이름이 비비안 토마스라고 합니다. 의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모범이 되는 faculty라는 아주 영예로운 업무를 받은 것이지요.

이런 것을 보면서 의학자가 된 사람들이 도전정신을 가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겠지요. 세계 최고의 의과대학이라는 존스 홉킨스 의대의 도전 정신사람에서도 나오지만, 그걸 만들어 내고, 칭찬하는 시스템에서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Journal of Surgical Case Reports라는 저널은 그 해 Best Report에게 토마스 상을 준다고 하는군요. 외과학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친지 알 수가 있겠죠?

비비안 토마스는 정식 의사는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의 선구자로서 흉부외과를 개척했다는 점에서 아무도 이론을 달지 않습니다. 그가 가진 의학에 대한 열정. 그리고 인종을 넘어선 실험 정신은 존경받아 마땅하고, 현재 미국을 넘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존경 받고 있습니다.

우리도 그런 정신을 가지 의학자, 의과학자가 많이 나오길 기대하면서 글을 마칩니다.



  1. 여담이지만 제목이 조금 어렵거나 일반적이지 않아서 한국 내에서 큰 흥행을 못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제목만 잘 만들었다면 정말 대박일텐데, 영어 제목은 정말 멋지거든요.근데 한글로 번역도 안하고 그대로 적은 것은 정말 치명적인 실수라 생각합니다. [본문으로]

영화 something the lord made 에 나온 두 주인공이죠.

Dr. Alfred Blalock and Dr. Vivien Thomas

편의상 알프레드와 비비안이라고 칭하고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Cardiac surgery pioneers Alfred Blalock and Vivien Thomas


이번 포스트에서는 알프레드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들의 연구 업적, 그리고 그들의 일생에 대해서 이야기할까 싶습니다. 

Dr. Alfred Blalock. 그는 존스홉킨스 의대에서 학위를 받고 수련을 받습니다. 재미있는 사실 중에 하나는 알프레드가 내과학의 전설(?)로 알려진 해리슨과 아주 친한 친구였다는 사실입니다.테니스 복식조로 Nashville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Harrison이죠 ^^ 책을 펴면 제일 앞에 나오는 ^^)



 (해리슨은 내과학에서 세실과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는 교과서 이름 중 하나죠. 거의 매년 업데이트되고 내과학 교과서로 명성과 공신력이 대단하죠.)

Edi poses a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Edi poses a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by ragesoss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홉킨스에서 수련을 마치고 벤더빌트 대학으로 자리를 옮겨서 본격적인 의학 연구에 돌입합니다. 이 때 주로 연구한 것은 Shock에 대한 것이지요. 예전에 쇼크에 대해서 포스트를 했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혈액이 적은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쇼크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치료가 수혈이나 수액 보충이라는 사실은 너무나도 당연한 상식입니다만, 당시 1930년도만 해도 외상으로 인한 출혈성 쇼크에 대해 마땅한 치료가 없었죠. 쇼크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한 사람이 바로 알프레드였던 것이죠.

영화에도 잠시 언급이 되지만, 외상이나 출혈로 인해서 혈압이 낮아졌을 때, 도대체 뭘 해야 하는지 의학적으로 처음 밝힌 것이 그였죠.(정확히 따지자면, 처음 밝혔다기 보다는 치료적 방법론 설정이 더 정확한 표현일껍니다)

 당시 수혈이 외상성 쇼크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동물(개)모델을 이용해서 처음 보여 주었고, 그 연구는 후에 2차 세계 대전에서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었습니다. 당연히 전쟁 중에는 외상으로 인해 출혈성 쇼크를 나타내는 환자가 많았고, 그 환자들을 수혈함으로써 살릴 수 있었던 것이죠.

안타깝게도 그는 밴더빌트 대학에 있는 동안 결핵에 걸리게 되고, 죽음 직전까지 간 경험도 있었습니다. 이런 죽음에 가까운 경험이 결국 그를 더욱 더 의학에 매진하게 하였겠죠.

1941년 그는 비로소 존스 홉킨스 의대로 초청받아 오게 됩니다. 거기서 그는 다양한 외과 기술을 이용해서 순환기 계열 질환을 치료하게 됩니다. 당연히 비비안도 같이 와서 다양한 실험을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

ToF.AVSD
ToF.AVSD by HeartBabyHome 저작자 표시비영리


Tetralogy of Fallot (팔롯사징-TOF)이라는 선천성 심기형을 치료하기 위해서 세계 최초로 심장에 칼을 댑니다. (실제로 심장에 칼을 대는 것은 아니고, 그 주변부에 일늘 subclavian artery와 pulmonary artery를 연결하죠) 여하튼 선천성 심질환인 TOF를 "수술"로서 극복하게 되는 것이지요.  현재는 이 수술(Blalock-Thomas-Taussig shunt)는 더이상 이용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당시에는 획기적인 수술이였죠.

이 수술을 기점으로, 흉부 외과라는 과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즉 심질환을 내과적 치료가 아닌 외과적 수술로 극복하는 개념이 드디어 시작된 것이지요. 현대 흉부외과의 효시인 셈이지요.


이 수술로 1954년도에 임상 의학 부분으로 라스커 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안타깝게도 토마스 비비안은 빠져 있죠.
 



그리고 현재 존스 홉킨스 병원에는 그의 이름을 딴, Alfred Blalock Clinical Science Building도 있죠. 그리고 존스 홉킨스 의대에서는 Helen B. Taussig-Alfred Blalock Research Prize로 명명된 상도 있죠.

한 분야에 대해서 효시라는 타이틀을 얻는 것은 정말 명예로운 일인 것만큼은 사실이죠. 그리고 알프레드는 흉부외과의 선구자로, 의학자로서 그 명성이 아주 대단했습니다. 당시 존스 홉킨스로 몰려온 선천성 심장질환 소아 환자가 아주 많았습니다. 이는 결국 "세계 최고의 의대가 어느 곳이냐" 하는 논쟁에서 존스 홉킨스 의대가 하버드 의대를 한발짝 앞서 나간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한가지의 임상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실 대단히 많은 실험적 증거가 필요하고, 당시 심장질환의 외과적 접근 역시 당연히 실험적 근거에 기반해서 수행되었습니다. 물론 현재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실험에서 수행되었지만, 당시에도 동물 실험과 같은 근거는 필수적이였습니다. 

그리고 그 수술 역시 상당한 리스크가 있는 무모한 도전일 수도 있지만, 결국은 성공하였습니다. 집도의 개인의 실험적 근거 확신, 그리고 근거가 있는 도전에 대해서 관대한 교육적 문화, 의학과 환자 치료에 대한 열정을 가진 다양한 사람이 결국은 한계를 극복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알프레드는 실제로 조금은 shy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에 대한 열정과 남다른 시야로 현대 흉부 외과학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의과학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임상의학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근거 없는 경험이 아니라, 확실한 근거를 가진 과학으로 임상을 다룬 알프레드.

"당신의 열정이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였습니다."

Alfred Blalock M.D.

(1899.4.5 - 1964.9.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