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D : Medical Scientist/Medical Research(29)
-
CRISPR-Cas9 하고 난 이후의 Whole Genome Sequencing
요건 살짝 된... 5월에 Nature methods에 나온 논문입니다. 논문이라고 보기보다는 correspondence라고 봐야 하겠지만서도.. 데이터가 있으니 일단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다. 기술적으로 광풍(?)으로 봐야할 CRISPR-Cas9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의 gene-editing의 가장 큰 단점은 의도하지 않는 gene editing이겠지요. 나는 A라는 유전자를 교정하려는 시도를 했는데, A가 교정된 것까지는 좋지만, 공교롭게도 교정하고자 하는 A와 비슷하게 생긴 B라는 녀석까지 교정(?)이 되어버리는 것이 Off-target effect입니다. 아무리 specific한 기작을 이용한다고 해도, 이런 off target effect는 예상하기 힘든 방향으로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을 ..
2020.04.15 -
행운은 그렇게. Ovarian cancer에 이용되는 beta blocker!
또 하나의 serendipity drug 의 발견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글을 올립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소개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간략히 설명하면, 난소암에 걸린 환자 중 우연하게 고혈압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더니, 1세대 베타 블로커가 난소암 환자 생존에 아주 큰 영향을 주었다는 보고입니다. 여기서 이용한 1세대 베타 블로커는 NSSB(Non selective beta antagonists)인데요. 이게 난소암 환자들의 수명을 연장했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그리고 그 인과 관계를 마우스에서 일부 증명했구요, 실제로, 난소암은 암 중에서도 그 진행이 조용하면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발견 당시 대부분의 경우 치명적인, 즉 치사율이 상당히 높은 암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그룹의 치사율이..
2020.04.11 -
Human Neuron 만들기 from Human skin cell.
중국의 두 그룹에서 human skin cell을 이용해서 활동하는 Neuron을 만들었네요. 이 뉴스만 본다면, 새삼스러운 일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미 이런 형태의 실험들은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이죠. 이 논문에서 주의해서 봐야할 사실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이런 형태의 reprogramming을 chemical만을 이용해서 만들었다는 사실입니다. 두번째는, 아울러 또 주목해야할 포인트 중 하나는 Alzheimer’s patients sample을 이용해서 그의 회복을 꾀했다는 점입니다. 즉 translational research를 했다는 점이지요. 첫번째 사실에 대한 썰을 풀면... 기존의 Yamanaka 방법이랑 그 후속 논문들의 맹점은 바로, reprogram을 하는데 있어서, 바이러스..
2020.04.08 -
PCR과 같은 개념의 Mutagenic chain reaction. 새로운 유전학적 도구
아주 좋은 논문이네요. 유전학과 관련해서 아주 강력한 도구가 될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원샷 원킬(시간적으로 homo 를 만드는 것이 엄청나게 줄어듭니다)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맞춤형 아기 생산(?)에도 훨씬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무서운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우려되는 점은 off-target effect이겠죠. 자신이 타겟한 gene을 가이드할 녀석이 들어갔는데, 우연하게,의도와는 다르게 다른 유전자를 건드리는 가능성. 또는 세대를 거쳐가면서, 들어간 유전자가 아주 우연하게 mutation이 일어나면서 또 다른 유전자를 건드릴 가능성. 그리고 아주 우연히 그런 과정이 lethal gene을 건드리거나 random off-target effect가 생겨서 완전히 gene 여러개가 뭉터기로 ..
2020.04.07 -
중력파 그리고 의과학과 의학에 관한 이야기
중력파에 대한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지의 마법사입니다. 오늘은 연구비 쓰기가 조금 귀찮아 져서(원래 시험치기 전 100분 토론이 제일 재미있어요), 그냥 바이오가 아닌 물리 이야기를 조금 극적극적 거려볼까 합니다. 참고로, 제 글은 가급적이면 그림이 없어요. 그림이 있으면 보기는 좋은데, 왠지 모르게 포장하는 느낌이 들어서 저는 텍스트만 있는 글을 더 담백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그래요. 하지만 글을 쓸 때, 최대한 읽으시면 그냥 술술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게 쓰려고 노력했어요.( 아니면 제 노력의 부족입니다. 글이 어렵게 느껴지면, 독자가 잘못한 게 아니라, 글쓴이가 잘못한 거니깐, 더 노력할께요. ^^) 개인적으로 MIT에서 물리학으로 박사를 받은 (그것도 노벨상 지도 교수 밑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독..
2016.02.12 -
2014 JCR impact factor
올해도 어김없이 2014년 JCR impact factor가 발표되었습니다. 논문의 가치를 점수로 매기는 것에 대해서는 하고 싶은 말이 많기는 하지만, 막상 impact factor를 대체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가 없는 것도 사실이죠. 하나의 article당 실제 citation된 숫자를 가지고 계량화하자는 이야기도 있고, 각 카테고리별 퍼센테이지로 대체하자는 이야기들도 다 일리가 있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IF가 현재까지는 가장 합리적인 논문의 평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방법들도 일장 일단이 있어요. 그리고, 주식 시장 오르내리는 것 처럼 IF의 흥망성쇠를 보는 재미가 쏠쏠해서 ㅎㅎㅎ. 자, 그럼 굵직 굵직하게 각 논문들의 올해 IF를 살펴보십시다. IF 3대장은 여전하군요. 사실 이 논문들..
201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