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something the lord made 에 나온 두 주인공이죠.

Dr. Alfred Blalock and Dr. Vivien Thomas

편의상 알프레드와 비비안이라고 칭하고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Cardiac surgery pioneers Alfred Blalock and Vivien Thomas


이번 포스트에서는 알프레드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들의 연구 업적, 그리고 그들의 일생에 대해서 이야기할까 싶습니다. 

Dr. Alfred Blalock. 그는 존스홉킨스 의대에서 학위를 받고 수련을 받습니다. 재미있는 사실 중에 하나는 알프레드가 내과학의 전설(?)로 알려진 해리슨과 아주 친한 친구였다는 사실입니다.테니스 복식조로 Nashville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Harrison이죠 ^^ 책을 펴면 제일 앞에 나오는 ^^)



 (해리슨은 내과학에서 세실과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는 교과서 이름 중 하나죠. 거의 매년 업데이트되고 내과학 교과서로 명성과 공신력이 대단하죠.)

Edi poses a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Edi poses a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by ragesoss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홉킨스에서 수련을 마치고 벤더빌트 대학으로 자리를 옮겨서 본격적인 의학 연구에 돌입합니다. 이 때 주로 연구한 것은 Shock에 대한 것이지요. 예전에 쇼크에 대해서 포스트를 했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혈액이 적은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쇼크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치료가 수혈이나 수액 보충이라는 사실은 너무나도 당연한 상식입니다만, 당시 1930년도만 해도 외상으로 인한 출혈성 쇼크에 대해 마땅한 치료가 없었죠. 쇼크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한 사람이 바로 알프레드였던 것이죠.

영화에도 잠시 언급이 되지만, 외상이나 출혈로 인해서 혈압이 낮아졌을 때, 도대체 뭘 해야 하는지 의학적으로 처음 밝힌 것이 그였죠.(정확히 따지자면, 처음 밝혔다기 보다는 치료적 방법론 설정이 더 정확한 표현일껍니다)

 당시 수혈이 외상성 쇼크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동물(개)모델을 이용해서 처음 보여 주었고, 그 연구는 후에 2차 세계 대전에서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었습니다. 당연히 전쟁 중에는 외상으로 인해 출혈성 쇼크를 나타내는 환자가 많았고, 그 환자들을 수혈함으로써 살릴 수 있었던 것이죠.

안타깝게도 그는 밴더빌트 대학에 있는 동안 결핵에 걸리게 되고, 죽음 직전까지 간 경험도 있었습니다. 이런 죽음에 가까운 경험이 결국 그를 더욱 더 의학에 매진하게 하였겠죠.

1941년 그는 비로소 존스 홉킨스 의대로 초청받아 오게 됩니다. 거기서 그는 다양한 외과 기술을 이용해서 순환기 계열 질환을 치료하게 됩니다. 당연히 비비안도 같이 와서 다양한 실험을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

ToF.AVSD
ToF.AVSD by HeartBabyHome 저작자 표시비영리


Tetralogy of Fallot (팔롯사징-TOF)이라는 선천성 심기형을 치료하기 위해서 세계 최초로 심장에 칼을 댑니다. (실제로 심장에 칼을 대는 것은 아니고, 그 주변부에 일늘 subclavian artery와 pulmonary artery를 연결하죠) 여하튼 선천성 심질환인 TOF를 "수술"로서 극복하게 되는 것이지요.  현재는 이 수술(Blalock-Thomas-Taussig shunt)는 더이상 이용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당시에는 획기적인 수술이였죠.

이 수술을 기점으로, 흉부 외과라는 과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즉 심질환을 내과적 치료가 아닌 외과적 수술로 극복하는 개념이 드디어 시작된 것이지요. 현대 흉부외과의 효시인 셈이지요.


이 수술로 1954년도에 임상 의학 부분으로 라스커 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안타깝게도 토마스 비비안은 빠져 있죠.
 



그리고 현재 존스 홉킨스 병원에는 그의 이름을 딴, Alfred Blalock Clinical Science Building도 있죠. 그리고 존스 홉킨스 의대에서는 Helen B. Taussig-Alfred Blalock Research Prize로 명명된 상도 있죠.

한 분야에 대해서 효시라는 타이틀을 얻는 것은 정말 명예로운 일인 것만큼은 사실이죠. 그리고 알프레드는 흉부외과의 선구자로, 의학자로서 그 명성이 아주 대단했습니다. 당시 존스 홉킨스로 몰려온 선천성 심장질환 소아 환자가 아주 많았습니다. 이는 결국 "세계 최고의 의대가 어느 곳이냐" 하는 논쟁에서 존스 홉킨스 의대가 하버드 의대를 한발짝 앞서 나간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한가지의 임상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실 대단히 많은 실험적 증거가 필요하고, 당시 심장질환의 외과적 접근 역시 당연히 실험적 근거에 기반해서 수행되었습니다. 물론 현재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실험에서 수행되었지만, 당시에도 동물 실험과 같은 근거는 필수적이였습니다. 

그리고 그 수술 역시 상당한 리스크가 있는 무모한 도전일 수도 있지만, 결국은 성공하였습니다. 집도의 개인의 실험적 근거 확신, 그리고 근거가 있는 도전에 대해서 관대한 교육적 문화, 의학과 환자 치료에 대한 열정을 가진 다양한 사람이 결국은 한계를 극복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알프레드는 실제로 조금은 shy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에 대한 열정과 남다른 시야로 현대 흉부 외과학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의과학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임상의학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근거 없는 경험이 아니라, 확실한 근거를 가진 과학으로 임상을 다룬 알프레드.

"당신의 열정이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였습니다."

Alfred Blalock M.D.

(1899.4.5 - 1964.9.15)


의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해오면서, 정작 의과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포스트를 쓴 적이 없더군요. 


어찌보면 의과학이라는 분야에 대해서, 사람들이 당연하게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더군요. ^^  일반인들도 생각보다 많이 들어오고 있다는 점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의과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글을 써 볼까 합니다.

의과학은 크게 의학과 과학이 합쳐진 분야입니다. 사실 의학이라고 해도 크게 다른 점은 없습니다. 다만 최근에 생명과학 분야에서 나온 다양한 실험적 테크닉이 의학과 접목되면서 확장된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영어로 의학은 Medicine. 의과학은 Medical Science입니다. 생명과학은 biology 혹은 biological science로 불리죠.

즉 의과학은 생명과학, 생명공학 중에서 의학 즉 인체와 연계된 모든 학문을 다룬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Alternative Splicing of Drosophila Tra
Alternative Splicing of Drosophila Tra by Allen Gathman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현재도 대부분 그러하지만, 예전에는 의학자라고 하면 대부분 의사이면서 연구를 하는 사람을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과학이라는 틀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인체를 다룬다'는 의학 분야 특수성이 있는 관계로 "의학" 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분자 의학과 생명공학의 발달이 진행되면서 의학도 서서히 그 분야 학문을 받아 들이기 시작합니다. 생명 그 자체에서 인체로의 기술 접합이 시작된 것이지요. 그렇게 학문이 융합되면서 서서히 기존 의학으로 포괄하기 힘들고, 발전된 분야. 그리고 의사가 아닌 과학자의 영역이 확대되어 가면서 의과학이라는 분야가 나타나게 됩니다. 

실제로 따지고 보면 의과학이나 의학이나 같은 분야를 다루고는 있지만, 단어 자체가 주는 어감은 조금 다릅니다. "의학"은 일반인이 느끼기에 의사가 주도하는 듯한 느낌을 주지만, "의과학"의 경우 과학자가 다룬다는 느낌을 줍니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이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에 따라 좌우되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제 주변 사람들은 그런 경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의과학은 "사람의 질병이나 질병 치료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모든 분야의 학문"입니다. 의공학, 생화학 등 모든 분야를 포함하게 되겠지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체"라는 부분입니다. 

인체를 다루고 다분히 "인체에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순수한 생명과학이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12년 노벨상을 수상한 존거든이 1962년에 제시한 핵치환 기술 자체는 개구리에서 발견되었지만, 2007년도에 야마나카가 포유류인 마우스에서 보여 주었죠. 그리고 결과적으로 사람에게 적용가능한 기술로 변화되었고, 조만간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진행될 예정이죠. 

이런 틀에서 본다면, 존 거든도, 야마나카도, 인체에 적용하는 임상 의사 등 인체의 질병을 치료에 공헌한 모든 사람이 의과학자인 셈입니다. 

물론 존거든의 경우에는 기술 자체가 가진 발견이 생물학자에 더 근접한 것이 사실이지만, 제 기준에서는 그 기술 자체가 인체에 적용 가능하다면 의과학자라는 것이지요. 이 의견에 동의하시는 분도 있을 수 있고, 아니신 분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어떤 기술이든 "사람"에게  적용가능한 기술의 발견이라면 의과학의 테두리를 벗어나기 힘들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의과학은 의사 주도라기 보다는 과학자 주도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의사가 과학자라는 것은 이론이 있을 수 있지만, 의사가 아닌 과학자는 분명히 실재하죠. 그리고 그런 과학자, 혹은 생명공학자들이 의과학 발전을 더 풍성하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사람은 존거든의 예에서 보셨 듯 의과학이라는 테두리에서는 절대 주변인이 아니죠. 의학의 테두리에서는 주변인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의과학이라는 틀에서는 오히려 주인공이죠.

야마나카의 경우에도 MDPhD이긴 하지만, 의사인 의과학자라고 보면 더 정확하겠죠. 

이렇듯 의과학은 의사만 종사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과학자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하고, 실제로 제 주변을 보면 정말 멋진 의과학자들이 많습니다. 

그렇게 본다면 임상 의학 역시 의과학의 테두리 안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임상 의학은 대부분 의사가 주도하긴 하지만, 데이터의 관찰과 통계적인 처리, 약효나 새로운 수술법의 증명 등이 다분히 과학적입니다. 그리고 그 근거 역시 굉장히 견고합니다. 

사실 의과학의 테두리를 정하는 것을 내편, 네편을 가르는 행위로 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의과학이라는 분야를 너무 의사쪽으로 치우쳐서 보시는 분들이 많아서 이 글을 포스팅합니다. 실제로 의과학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모든 분야의 과학자들이 유기적으로 시너지를 내서 오늘날에 이르렀고, 미국, 유럽, 아시아, 그리고 현재 한국 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이 분야 발달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의과학의 발전을 위해서 저 역시 노력할 것입니다.

아울러 글을 읽으시는 본인이 의과학 분야 연구자라면, 의과학자라는 사실에 뿌듯해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누군가가 당당히 직업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의과학자입니다" 라고 대답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의과학은 어떤 분야인가요? ^^

NA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할까 말까? 업데이트에 대한 이야기 - 경험들


NAS는 쓰면 쓸수록 아주 좋은 기기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이론적으로 하드웨어 성능만 된다면, 리눅스 서버가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일들을 할 수가 있죠.


그런데 리눅스 서버와는 달리 그 간편성에 우위가 없다면, 당연히 사람들은 리눅스용 컴을 사서 자신이 세팅하려고 할 껍니다.


실제로 하드웨어 사양만 따지고 본다면  NAS는 아주 비싼 기기 중 하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넷북보다도 더 비싼 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AS를 구입하는 이유는 바로 NAS가 가지고 있는 편의성 때문이겠지요.


그리고 그 편이성은 바로 NAS를 구동하고 있는 User interface 혹은 NAS OS (정확히 말하면 OS는 리눅스이지만, 웹상 admin에서 볼 수 있는 OS를 편의상 NAS OS라 부르도록 하겠습니다)에 많이 좌우됩니다. 


실제로 제가 이용하고 있는 NAS인 synology의 경우에도 DSM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로 운영되고 있는데, 여러번 업데이트 해본 결과 그 안정성이 아주 뛰어났습니다. 


안정성이라고 하면 별 거 없는데, 제일 중요한 것은 업데이트를 했을 때 하드 손실이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점이겠죠.


업데이트 할 때 마다 자료를 백업한다면 편의성에 있어서 빵점일 겁니다. 


사실 초창기 NAS 때는 이런 일들이 생각보다 많았던 것 같더군요. 예전 세팅 때 업데이트 할 때 자료가 다 날라갔다는 분도 심심찮게 보였으니깐요. 시놀로지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저의 경우에는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업데이트라는 것이 사실 모두다 좋은 것 같아 보이긴 하지만, 실제로 기기와 잘 맞아야 좋은 것이라는 나름의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기기와 잘 맞다는 것은 추상적인 "궁합" 같은 개념이 아니라 아래와 같은 사항입니다.


1. 내가 가진 하드웨어 성능에 최적화된 업데이트


이건 아주 중요합니다. 저사양 펜티엄 III 노트북에 아무리 최신이라고 해도 윈도우 7을 깔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제가 경험한 예를 하나 들면, 현재 제가 쓰는 아이패드는 초창기 발매날 처음 구입한 것인데, 최신 iOS 업데이트를 하니깐 도저히 느려서 못쓰겠더군요.  (추후 개선이 되긴 하더군요.)


OS 자체에서 멀티태스킹을 기본으로 깔다보니깐, 심각한 딜레이가 있더군요. 요새 "느리게 살자"를 삶의 모토로 하고자 하는데, 아주 적합한 훈련(?)이 되고 있습니다. 


 NAS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일단 최신 업데이트가 나오면, 그 업데이트에서 최소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필요는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기종이 업데이트 가능하다고 무턱대고 업데이트 하다 보면, 오히려 프로그램상 딜레이가 되거나, 오히려 불편한 점이 늘어나는 경우도 분명히 있습니다. 


그러니 하드웨어 성능을 꼭 고려한 업데이트가 중요합니다.


2.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가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인지 확인


실제로 업데이트는 이전 서비스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있지만, NAS 특성상 새로운 서비스를 런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이 때 제 경험상 대부분의 서비스는 자신이 이용하지 않는 서비스인 경우가 많습니다. 없어도 필요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있다고 해도, 그걸 세팅하고 시간을 보내는 비용과 그 결과 얻는 편익을 비교해 봤을 때, 비용이 훨씬 큰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 경우에는 한참 세팅을 하고 즐기는데, 일주일도 못가서 시들해 버리는 서비스가 아주 가끔 있었습니다.


NAS는 어찌 보면 생활 습관과 잘 접목이 되어야 하기에 그런 것 같습니다. 


3. NAS 업데이트 후에 소요될 시간이 넉넉한지


이거 아주 중요한 것입니다. 저도 여러번 시행착오를 겪다가 보니깐 얻게된 깨달음입니다.


NAS를 업데이트하면, 아무리 편하게 , 안정성 높게 업데이트 한다고 해도,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안 생기면 정말 좋겠지만, NAS 특성상 공유기와 외부적인 네트워크 상황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소소한 문제부터 시작해 큰 문제들이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최근의 제 경험을 예를 들면, DSM 4.0으로 업데이트할 때, 아무 문제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DS audio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가 안되는 것이였습니다. 


무슨 문제인가 싶어서 진짜 오만가지 삽질을 다 해보았습니다. 


나름 몆년간의 경험상 NAS에 어느정도 자신이 있었기에, 임의 포트 변경, 프로토콜 변경, 다시 다 삭제, 리눅스로, 맥으로, 윈도우로.접근해보고, 하드도 교체해 다시 폴더 만들어 보고 레이드도 다시 만들어보고... 다시는 하고 싶지 않은... 할 수 있는 조치는 다 해보았는데, 안되더군요.


정말 한 2주 정도 일과를 마치고 밤에 해결하려고 시름했는 것 같습니다. 네이버 커뮤니티에는 문제글만 있고 답은 없고, 외국커뮤니티도 비슷한 경우더군요. 


그러던 어느 날,  업데이트 내용을 자세히 읽는데 혹시나 방화벽 때문에? 라는 생각이 불현듯 스쳐 지나가더군요. 3.0-3,1 에서는 큰 세팅한 적이 없었는데 4.0부터는 자동으로 세팅되는 것 같더군요. 아니면 제가 그냥 지나쳐서 yes 눌렀거나..


여하튼 방화벽을 풀어버리니깐, 순식간에 모든 것이 해결이 되더군요. 허탈하더군요. 물론 다시금 방황벽을 다시 세팅해서 안정성을 높이긴 했지만...


답을 알면 아주 소소한 해결법인데, 모르는 상황에서는 미쳐버리는 것이지요. 


그 덕에 직장 일의 업무 진도가 한동안 못 나갔었죠. 공동 연구 자료를 다음 클라우드로 옮기고, 세팅을 조정하고...  여하튼 간이 중요하더군요.


그러니깐, 업데이트 전에는 만약을 위해서 꼭 자신의 여가 시간이 확보되는지를 생각하셔야 됩니다. 


요 세가지 정도만 따져 줘도 업데이트를 준비하는 마음 가짐은 충분한 것 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 더 실무적인 수준의 조언을 하자면,



1. 업데이트 전에는 꼭 관련 커뮤니티에서 도전자의 수기를 읽어 볼 것. 


- 이미 보고된 문제 혹은 자신이 겪은 문제가 해결된 업데이트인지 확인할 것 

- 세상에는 정말 멋진 도전자들이 많습니다. 굳이 내 전문 분야가 아닌 부분에서 최고의 얼리어댑터가 되어서 내 소중한 시간을 뺏길 필요는 없습니다. 경험상 그 편익이 생각보다 크지 않았습니다.


2. 마이너 업데이트인 경우 불편한 것이 없다면 하지 말 것. Ex)3.1 -->3.12, 3.14, 3.2 등


- 사실상 마이너는 마이너일 뿐이기 때문에, 굳이 업데이트를 해서 시간을 뺏길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제 경험상 "없다" 라고 단정지을 수 있습니다. 

- 물론 언급한 대로 자신의 NAS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해결될 가능성이 있는 업데이트라면 그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있을 것입니다. 편익이 클테니깐요.


3. 메이저 업데이트인 경우 관련 후기가 많이 나온 뒤에 할 것 Ex) 3.0 --> 4.0 등


- 메이저 업데이트는 사실상 많이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많습니다.

- 자신이 NAS 초보자라면, 그 문제를 자신이 해결할 수 있는 능력보다는 타인이 그 문제 해결 방법을 가르쳐 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급적 문제 해결 DB가 많이 쌓인 후에 업데이트 하길 권장합니다.

- 현재 잘 쓰고 있는데, 업데이트해서 문제 생기면 다시 돌아가는 것도 쉽지 않고, 해결 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후회를 하게 됩니다.


이상이 업데이트에 대한 제 지론입니다.


참고를 하셔서 업데이트하기 전 후에 큰 만족이 있으시길 바라면서 글을 마칩니다.


포트 포워딩 두번째 이야기


포트 포워딩하는 일반적인 규칙에 관해 시놀로지(synology)에 맞춰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포트 규칙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제 공유기는 포트 포워딩을 15개만 제공하더군요. (일반적으로 60개 정도까지는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제가 쓰는 포트 중심으로 간략히 설정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제 기준에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지만, 똑같이 적용하셔도 됩니다. ^^


5000 :  Admin 관련 포트입니다.

5001 : Admin HTTPS


이  것은 전체 접속을 위한 포트로 DS portal system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bc.com:5000 이렇게 들어가든지, 아니면  123.456.789.3:5000 이렇게 연결이 되겠죠. 


물론 abc.com 으로 쳐서 들어가도 전체 포털이 나올 수도 있지만, 이 건 어디까지나 "나올수도" 이기 때문에 포트를 열어 두었습니다.


그리고 


70 : file station main

7000 :  file station accesory


개별 접속을 통해서 file station 을 접근하기 위해 열어둔 포트입니다.


6690 : cloud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Cloud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는 것인데, 구간을 잡아 두셔도 됩니다.


1723 : VPN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저는 VPN을 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잡는데, 이용하기 때문에 열어두었는데, 일반적으로 열어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548 : Mac용 afp를 위한 포트입니다. 


맥을 쓰시지 않으시는 분은 굳이 열어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111: linux file을 위한 포트입니다.


이 역시 리눅스를 쓰지 않는 분은 굳이 열어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2121 : ftp를 위한 포트입니다.

55536-55539 : FTP 여분


ftp는 기본적으로 21번 포트를 쓰는데, 제 경우에 막혀 있어서 임시로 2121 포트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확장할 필요가 있을때 55536-39까지를 여분으로 열어 두었습니다.


8080, 7080,443 : photo


이 것 역시 시놀로지에서는 photo 서비스를 80 포트를 기본으로 하는데, 저의 경우는 막아둔 상황이라서 8080을 임시로 열어 두었습니다. 그 외에 것은 혹시나 있을 예외 상황을 위해 열어 두었습니다.


5005-5006 :  WebDAV


웹 서비스를 위해서 전반적으로 열어두면 다른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교통정리가 잘 되는 듯 하여 열어 두었습니다. 다른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WebDAV를 활성화 시켜 두어야 하기 때문에 열어 두었습니다.


이렇게 총 15개를 열어 두었고, 경우에 따라서 닫거나 제거 후 다시 열 수도 있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큰 문제 없이 쓰고 있었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 이렇게 열어 두었네요.


5000 :  Admin 관련 포트입니다.

5001 : Admin HTTPS

70 : file station main

7000 :  file station accesory

6690 : cloud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1723 : VPN service를 위한 포트입니다.

 548 : Mac용 afp를 위한 포트입니다.

 111: linux file을 위한 포트입니다.

2121 : ftp를 위한 포트입니다.

55536-55539 : FTP 여분

8080, 7080,443 : photo

5005-5006 :  WebDAV


포트 포워딩의 개념은 NAS를 제공하는 공유기 입장에서 아주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설정은 생각보다 번거롭기 때문에,  uPNP라는 방법으로 내가 설정은 하지 않아도 NAS와 공유기가 알아서 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uPNP는 "일괄 자동처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방에 설정을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주 간편합니다.


저의 경우는 uPNP를 설정해 줬음에도 불구하고, 공유기에 포트가 열리지 않더군요. 아마도 NAS에서 그 공유기를 인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소위말하는 듣보잡 공유기.... 라고...


여하튼 포트 포워딩은 NAS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기에서 한다는 것을 명심하시고.


포트 포워딩왜 하냐하면, 서비스에 다다르는 문을 열어두기 위해서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문이 없으면 대부분 찾아가질 못하니깐(간혹 포트가 다 열려 있어서 되는 한방에 되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야 하는 공유기가 대부분입니다.) 꼭 해야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iptime 같은 경우에는 설정 방법과 인터페이스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서 큰 무리없이 설정 가능하구요(따라하기식 글들도 많습니다) 


만약 자신의 공유기가 저처럼 독특한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해서 포트 포워딩하는 방법을 찾아서 가기만 하면됩니다.(일반적으로 그 공유기 ip 주소를 치면 들어가 집니다만....)


그리고 위에 적힌 숫자(포트)는 제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 아님(대체로 일반적인 규칙을 지키고자 노력했습니다)을 꼭 아시길 바랍니다.


간혹 가다가 보면 자신이 외우기 쉽게 1 - 파일, 2, 포토 3.클라우드 등으로 설정하시는 분이 정말 간혹 가다가 있는데,


이 분은 아주 고수거나, 아님 삽질하거나 둘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각 포트마다 경험적으로 자주 쓰는 룰 같은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포트 넘버는 비록 조금은 복잡하게 보이긴 하지만, 대부분 NAS에서 중복을 막기 위해서 서비스 마다 고유넘버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변동 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리눅스나 애플 시스템에서도 기본적으로 548이나 111을 기본으로 쓰기 때문에, 자신의 임의대로 변경한다면, 


NAS도 변경하고, 공유기 포트 포워딩 번호도 변경하고, 자신의 맥, 리눅스 컴 접속시에도 포트를 변경해야지 이론적으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일단 정해진 포트를 이용하면, 공유기만 세팅하면 되기 때문에 훨씬 간단하죠. 그리고 그 포트를 꼭 외울 필요도 없게 되는 것이죠.



이해를 돕기 위해 FTP를 설명하면, FTP는 기본으로 21번 포트를 많이 쓰는데, 저같은 경우에는 들어갈 때 마다 21 포트가 막혀 있어서 2121로 따로 들어가 주어야 하는 것이죠.


살짝 번거롭긴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니깐, 그정도는 감수해야죠.



저 같은 경우에는 사실 NAS를 처음 세팅하면서 시간을 제일 많이 잡아 먹었던 부분이 바로 포트 관련 부분이였습니다. 


제가 잘 몰랐기도 하고, 개념도 모르고, 시키는 대로 하다 보니깐 잘 될 때도 있고, 안 될 때도 있었죠. 소위 말하는 맨땅에 헤딩 수준이였죠.


그런데, 어느 순간 포트를 이해하니깐, 해결이 쉽더군요. 우회하면 되고, 안되면 열어 주면 되고 하니깐. 비교적 많은 것들이 해결이 되고


업그레이드 할 때마다 새로 추가된 서비스 포트만 열어 주면 되니깐, 아주 쉽더군요. 



물론 NAS 설정은 자신이 혼자 다 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시간이 많이 뺏기고, 삽질도 많이 하게 되죠. 


그렇지만 하나 하나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되고, 되게 되었을 때의 기쁨은 정말 생각보다 큽니다. 


저의 경우에는 포트 문제가 가장 큰 기쁨을 주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알고 나면 별 거 아니고, 제일 쉬운 부분인데 말이죠. ^^


여하튼 제 글은 이렇게 저렇게 해라는 따라하기 식의 글은 아니지만, 따라하기 식의 글 이전, 혹은 하고 나서 마음 편하게 이해를 하기 위한 글이니 


NAS 설정하시는 분께 특히나 예전의 저처럼 네트워크에 거의 초보이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포트 포워딩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한 셜명을 위해서 네이버를 예로 들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에 접속해서 내가 궁금해 하는 정보를 입력해서 데이터를 받는 과정을 분해 해서 보면 이렇습니다.


naver.com에 가서 접속하면 자연히 서버 222.122.195.6에 있는 정보를 받아 와서 시작 페이지를 보여 줍니다. 


그 이후 검색어를 넣으면 다시 222.122.195.6에 있는 컴퓨터가 일련의 연산을 해서 그 결과를 다시 보여주게 됩니다.


이 때 네이버 입장에서는 정보를 어디로 줘야 하는지의 문제가 생겨 납니다. 


바로 정보를 요청한 공유기의 IP로 정보를 보내면 이 문제는 해결됩니다. 


그리고 공유기 역시 정보를 요청한 컴퓨터로 정보를 주면 되는 것입니다.



네이버 정보 서버 <-> 네이버 <-> 이용자 공유기 <-> 이용자 컴퓨터



즉 네이버에서 보낸 정보가 공유기를 거쳐서 내 컴퓨터로 오게 됩니다. 


이렇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인터넷을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끊임 없이 정보를 보내고 받는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NAS를 통해 네트워크에서 공유한다는 것은 바로 NAS가 네이버처럼 정보를 주는 입장이  되는 것입니다.


이 때 정보를 주는 입장에서는 굉장히 신중해야만 합니다. 


받는 사람 입장에서 악의적인 의도로 해킹을 해서 내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고, 몰래 다운 받아서 과부하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NAS는 그런 공격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자 id와 password를 항상 검사하고, 요구합니다. 그 id가 가진 권한까지도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자 그럼 포트란 것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트는 일종의 문과 같은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전, 궁궐을 생각하셔도 되고, 대학교 캠퍼스를 생각하셔도 됩니다.


대학교 캠퍼스에는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어도 4개 정도의 문이 있을 겁니다. 어떤 문은 공대에서 가깝고, 어떤 문은 법대에서 가까울 것입니다. 어떤 문은 경영대와 가까울 것이고, 또 다른 문은 예술대와 가까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정문이 예술대와 가깝다면, 예술대를 다니는 학생은 정문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다른 문을 이용해서 예술대에 갈 수도 있겠지만, 가까운 문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입니다. 


여기서 예술대, 경영대, 법대, 공대가 비유하는 바가 NA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오디오 스테이션, 파일 스테이션, 비디오 스테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문을 포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포트 포워딩이라는 개념은 새로 문을 만들어 주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공유기는 굳이 비유하자면 정문과 담장과 경비원을 합해 놓은 것이라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자 그럼 포트 포워딩은 왜 필요하냐 하면 바로 문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문이 하나밖에 없어도 인터넷을 하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그런데 NAS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정문 하나로는 버겁게 되는 상황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버거운 정도가 아니라, 아예 출입을 막아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포트 포워딩입니다. 그리고 이 것을 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공유기 설정을 건드려야 하는 것이지요.


공유기 안에서 NAS 서비스에 접근할 새로운 문을 만들어 주는 것이니깐요. 


그리고 그 문의 이름 역시 공대문, 경영대문 처럼 NAS에서 쓰는 용어(포트 넘버)와 공유기에서 열리는 문이름(포트 포워딩된 포트 넘버)은 같아야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겠지요.



어느 정도 개념이 잡히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지름길을 열어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정문으로만 가면 갈수는 있지만 돌아가야 하니깐. 


그리고 열어두는 포트 설정을 임의로 하면 안되고 NAS가 가진 규칙대로 열어두는 작업을 하면 비로소 외부에서 접속을 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첨언을 하자면


우리가 도메인이나, ip를 통해서 접속을 하면 일반적으로 80 포트로 들어갑니다.


그러니깐 원래는 www.naver.com:80 이라고 쳐야지 정확하게 들어가는데, 번거로우니깐, www.naver.com이라고 치면 알아서 www.naver.com:80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www.naver.com:1234 를 타이핑 하게 되면 1234에 걸려 있는 서비스로 바로 접속이 되는 것입니다. 그 서비스는 오디오일 수도 있고, 파일다운로드일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공유기에서 그 포트가 안 열려 있다면 (포트 포워딩이 안되어 있다면) NAS에서 아무리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해도 www.naver.com:1234 라고 들어가도 못 찾는 것이지요. 


그냥 이거 뭐지 하면서 페이지를 못찾았다면서 무시하는 공유기도 있을 것이고, 기본 포트인 80으로 들어가서 메인 서비스를 보여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깐, 만약 자신이 NAS에서 서비스를 실행시켰는데, 안된다면, 경험상 포트의 문제일 가능성이 상당히 큽니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포트 개념을 잡는데 시간이 많이 들고, 공유기 설정을 바꾸는 것 역시 왜 하는지도 모르지만 어떻게든 하면 된다고 하니깐 막 변경하면서, 따라 하면서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저 역시도 그런 사람 중 하나였고, 그렇게 몇 번 해결해 보았지만, 또 문제가 생기면 (업그레이드나, 공유기 변경 등) 왜 하는지 모르고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근데, 이 개념을 잡고 난 이후에는 그 어떤 공유기가 있어도 포트 문제라면 대부분은 해결이 되더군요. 


사실 포트 포워딩은 알고 나면 쉬운 개념이니깐, 너무 어려워 마시고, 차근 차근 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그리고 제일 좋은 해결책은 


1. 기술자를 불러 유료든 무료 원격 서비스를 받는다 - 이거 상당히 도움됩니다. 저 역시도 가끔 이용하고픈 욕구가 들 때가 많습니다.


2. 범용화된 공유기를 새로 구입한다. iptime이 그런 면에서 권장할 만 합니다. 


3. 그 기능은 쓰지 않도록 한다(???)


인 것 갈습니다.

8. NAS Trouble shooting !!! - 포트 포워딩 개념을 위한 도메인과 IP 이야기.


처음 NAS를 구입하고, 여러 세팅을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본격적으로 사용을 하려고 했죠. 


사실 그 세팅도 그리 간단한 일은 아니였습니다. 특히나 저에게 어려운 개념 중에 하나는 포트라는 개념이였죠. 


실제로 알고 나면 아주 쉬운 개념인데, 모르면 정말 당황스럽고, 왜 이런 일을 해야 하나 모르면서 숫자를 막 넣고 있죠. 다른 고수가 시키는 대로..


그러다 보니 우연하게 또 작동되기는 하지만, 조금의 변화가 또 생기면 또 다시 처음부터 해야하는 악순환의 반복이였죠.


어느 순간 잘 안되어서 해결책을 찾다가, 포트에 대한 개념이 번쩍 서드라구요. 그러고 나서는 비교적 포트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는 대부분 해결이 되더군요.


포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메인, IP 등에 대한 개념이 선행되어야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건 제 블로그 도메인이죠. ^^ mdphd.kr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은 하겠지만, 이해가 안 되신다면 다른 블로그나 사이트들을 통해서 이 개념을 우선 인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도메인부터 설명하겠습니다. 도메인은 일종의 주소입니다. www.naver.com 이라든지, www.google.com 이라든지, www.daum.net 같은 것이 도메인입니다. 저의 사이트는 www.mdphd.kr 이지요. 


도메인을 쓰는 이유는 기억하기 쉬운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아시겠지만, naver 뒤는 .com 이고 daum 뒤는 .net 입니다. 그리고 저의 경우는 kr 입니다.


많은 분들이 착각하시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com, co.kr, .net이 큰 차이가 없는 것 처럼 여기시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건 경우에 따라서는 맞는 말일 수도 있고, 틀린 말일 수도 있겠지만, 엄밀히 말하면, 엄연히 다른 것입니다. 그리고 각각 따로 등록해야 합니다. 


근데 왜 인터넷 유저들이 비교적 도메인에 대해 차이를 못 느끼냐 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입장에서 도메인을 등록할 때 싸그리 다 등록해서 한 곳으로 몰아 버리기 때문입니다.


naver만 해도 naver.com 말고, naver.co.kr naver.net을 쳐도 naver.com 심지어 naver.asia를 쳐도 naver.com 오게 됩니다. 그런데, naver.co.jpnaver.jp를 치면 일본 네이버 사이트로 들어가게 됩니다. 클릭 해 보시면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요건 naver.com 입니다.


요건 naver.jp 혹은 naver.co.jp


그런데,  daum.net은 daum.com을 써도 안 들어가 집니다. 전혀 다른 사이트가 나오거나, 링크 페이지가 뜨거나 심한 경우에는 광고 사이트가 뜨기도 합니다. 


현재는 이게 뜨고 있네요. 



 다음(daum.net)에서 daum.com 도메인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지요. 


이 도메인이란 것이 마치 부동산과 같아서 먼저 등록한 사람에게 우선권을 주고, 그 우선권은 법적으로 보호 받습니다. 그래서 물건처럼 양도하거나 판매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중요 도메인들은 죄다 비싼 값을 받게 되었지요. daum도 그런 상황인 거죠. 


daum.com에서 아주 비싼 가격을 불러서, 다음 측에서 거래를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각설하고, 도메인은 일종의 이용자-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쉬운 주소 체계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ip는 무엇이냐 하면, 각 컴퓨터 마다, 혹은 이용하는 사이트마다(사이트도 실질적으로는 서버에 존재된 상태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컴퓨터라고 보는 것이 더 맞을 것 같긴 합니다만) 부여된 직접적 주소입니다.


IP는 동사무소에서 등본을 떼면 볼 수 있는 모든 번지 수를 적어 놓은 주소라 생각하면 됩니다. 통,반,리까지 다 있는.. 그런 주소요. 


간단히 다른 비유를 들자면, 동네 짜(!)장면 집에 배달을 시킬때 


어느 아파트 몆동 몇호라고 시키면 배달이 옵니다. 그렇지만, 등본을 떼서 정확히 보면 그 아파트는 동 호수 뿐만 아니라, 번지와 명확한 주소를 가지고 있죠. 그렇지만 짜장면을 배달시킬 때 그렇게 명확한 번지를 알려 주진 않죠.


설명이 길어졌지만,  IP는 그 명확성과 확장성을 위해 문자를 쓰지 않고 숫자로 123.456.789.123 이렇게 표현합니다. 배달과 마찬가지로 이 걸 하나 하나 외우면서 인터넷에 들어오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겠죠. 


당연히 기업이나 인터넷 사용자 입장에서는 쉬운 이름이 기억되기 쉬우니깐. 그런 도메인은 가격이 비싸지는 겁니다.


따지고 보면, 도메인도 일종의 IP 포워딩인 셈입니다. 


그럼 www.naver.co.kr을 타이핑해서 들어가는 순서를 볼까요?


www.naver.co.kr --> naver.com --> 222.122.195.6 이렇게 들어가서 정보를 불러 오게 되는 겁니다.


첫번째 화살표는 도메인 포워딩, 두번째 화살표는 ip 포워딩이라 이름 지을 수 있겠지만,  ip 포워딩이란 말을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습니다.


그럼 도메인과 ip의 개념이 잡히고, 포워딩 - 무언가를 전달해 준다 라는 개념이 잡히셨지요?


물론 제 설명이 부족했을 수도 있는데, 간단히 생각하면 타이핑하기 쉬운 주소가 도메인이라 생각하시면 되고, 숫자로 된 전화번호 같은 주소가 IP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일부 도메인도 제 블로그로 포워딩 해 두었습니다. 


여러 개를 클릭하셔서 확인해 보시죠~ ^^


alopecia.kr     cant.kr    biochemistry.kr    pharmacology.kr     rheumatology.kr 등 ^^ 입니다.


이 것들을 클릭하면 모두 다 mdphd.kr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도메인 포워딩을 하고 있는 것이지요. ^^


개념이 조금 잡히시나요? ^^



지난 번에 이은 2012년도 노벨상 수상자 이야기입니다.


지난 번에 야마나카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이번에는 존 거든 경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존 거든 경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입니다. 기사작위 이상을 가진 사람이라는 거죠.


공식 명칭은 Sir John Bertrand Gurdon, Fellow of the Royal Society (FRS)입니다. 


2012년도에 노벨상을 수상하긴 했지만, 실제로 그 이전에도 아주 대단한 과학자였습니다. 영국 출신의 과학자로서는 대외적으로 받을 수 있는 것들은 대부분 받은 과학자입니다.


Sir 이라는 칭호는 영국 왕실에서 직접 하사하는 기사 작위이구요. FRS는 영국 과학자라고 해서 일반적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추천과 업적 인정을 통해서 선정하는 것입니다. 명예의 전당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또한 자신이 일하고 있는 연구소 이름이 자신의 이름을 딴 연구소입니다. "살아 있는 동안"에 자신의 이름을 딴 연구소까지 가지고 있는 과학자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노벨상까지 수상했으니,스포츠로 따지면 그랜드슬램을 한 셈입니다.


이정도만 봐도 이 사람 얼마나 멋진 인생을 살고 있는가를 유추할 수 있겠지만, 이 사람이라고 좌절이 없었겠습니까? ^^


야마나카 교수 역시 정형외과 의사로서 아주 큰 좌절을 느꼈듯, 이 사람 역시 고등학교 시절에 아주 큰 좌절을 느꼈던 경험이 있습니다. 남들이 보았을 때, 좌절이였겠지만, 거든은 그걸 실패로 느끼지 않았을 것입니다.


바로 전교 꼴찌를 한 성적입니다. 



존 거든 경은 영국에서 명문인 이튼 스쿨을 다녔습니다. 고등학교 시절 부터 거든은 생물학자가 되고 싶었나 봅니다. 그런데, 공부라고는 전혀 하지 않은 모양입니다. 그저 호기심이 있을 뿐 기존에 어떤 것이 해결되었는지는 큰 관심이 없었던 것이지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클릭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과학 과목은 꼴지를 도맡아 했었습니다. 그런데도 신기한 것이 이 사람이 명문인 옥스퍼드(Oxford)에 들어갔다는 사실입니다. 물론 처음에 생물학을 전공한 것은 아니고, classics (고대 그리스 라틴학 인 것 같습니다) 을 전공했습니다.


영국의 자세한 입시 제도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만, 아마도 당시에는 문과 학생 입시 선발에는 이과 과목을 전혀 보지 않았거나 (이해찬 교과부 장관 시절, 우리나라에서 시행했었다가 처절한 비판을 듣고 접었었죠. 아직도 그들은 이해찬 세대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당시 1950년대에 대학 진학을 하는 사람이 아주 적었던 상황이였을 것이라 유추해 봅니다만, 여하튼 거든 경에게는 아주 큰 행운이였던 것이죠.


당시 거든 경이 다니는 옥스퍼드는 현재도 그러하지만 생물학과 의학 분야에서 세계 일류를 달리고 있었고, 정신 차린(?) 거든 경의 왕성한 호기심을 만족시킬 공간이였던 것이지요. 결과적으로 부단히 생물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고, 다행히도 그 답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주변에 많았던 것이지요.


사실 어떤 학문이든 일정 수준 이상을 가게되면 처음부터 정해진 답은 없고, 퍼즐처럼 그걸 풀어낼 연구 방법들만이 존재하고 있죠. 거기에다가 사람이 가진 가설을 추가하면 결과적으로 답에 가까이 갈 수 있습니다. 즉, 거든 경 주변(Oxford)에 연구 방법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이죠.


그렇게 박사과정을 마치고, 노벨상을 탈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준 논문을 1958년도에 Nature에 냅니다.

Gurdon, J. B.; Elsdale, T. R.; Fischberg, M. (1958). "Sexually Mature Individuals of Xenopus laevis from the Transplantation of Single Somatic Nuclei". Nature 182 (4627): 64–65. doi:10.1038/182064a0. PMID 13566187


이 논문을 내고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칼텍(Caltech)으로 박사후과정(일명 포닥)을 하러 갑니다. 여기에도 재미있는 일화가 있었죠. 자신이 칼텍에 가 있는 동안에도, 1958년도에 만든 개구리가 충분히 잘 자랄 것이기 때문에, 중간에 잠시 미국에 다녀와도 된다고 하면서 미국을 간 것이죠. 아니나 다를까, 칼텍에서 돌아온 거든은 이번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근거가 되는 논문을 씁니다.


Gurdon, J. B. (1962).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nuclei taken from intestinal epithelium cells of feeding tadpoles". Journal of embryology and experimental morphology 10: 622–640. PMID 13951335


간략하게 설명하면, "체세포로 분화된 세포의 핵만을 핵이 없는 세포에 넣어주니깐, 마치 갓 수정한 세포처럼 변한다." 라는 주제를 가지고 논문을 쓴 것이지요.


황우석 사건 때 한창 논란이 되었던 체세포 핵치환의 시작점이 되는 아주 중요한 논문인 셈이지요.
이 논문을 통해서, 분화된 세포라 할지라도, 조작을 가하면 초기 리셋을 할 수 있다는 가설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고, 그 증명은 이언 월머트에 의해 복제양(포유류)을 만드는 근거 역시 제공하였습니다. 물론 거든 경 이후 35년, 성공률 1/227 (약 0.5%)의 확률이긴 했지만, 여하튼 리셋되어 개체가 태어난 것 만큼은 사실인 셈이죠.


그 이후, 거든은 옥스퍼드에서 10년 정도를 보내곤, 캠브리지(Cambridge)로 자리를 옮겨 현재까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캠브리지 의과학 브랜드 발전에 큰 기여를 한 Wellcome/CRC Institute for Cell Biology and Cancer (later Wellcome/CR UK)을 설립하고,  2004년도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거든 연구소(Gurdon Institure)까지 생겨나는 영광을 얻게 됩니다.




국가적으로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지만, 학교 측에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은 셈이였지요 영국의 두 명문 라이벌을 말하자면 Oxford와 Cambridge인데, 두가지 모두를 겪은 행운아인 셈이지요. 결과적으로 Cambridge에서 거든 경이 노벨상을 수상하였으니, 캠브리지가 훨씬 마무리를 잘한 셈이지만, 옥스퍼드 역시 거든 경의 호기심을 무한히 충족할 수 있는 버퍼를 제공한 셈입니다.



언론에 나오 거든 경의 소개 사진을 보면, 대부분, 이 사진입니다.



저는 처음에 이 사진을 보고, 스트리트 파이트에 나오는 가일을 많이 닮았다라고 생각했습니다. ^^




닮았나요? ^^ 제가 보기엔 똑같습니다. ^^


저 역시 지난 번 포스트에 이 사진을 이용하긴 했습니다만, 위에 소개한 거든 연구소 사진들 처럼 훨씬 준수(?)한 사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진을 통해 하나 짚고 넘어갈 점은, 이런 사진을 허락할 정도(?)로, 거든 경은 유머가 넘치는 유쾌한 사람이라는 점입니다. 물론 썰렁한 농담도 많이 하기 때문에, 과연 이 사람이 과학자가 맞나 싶은 적도 있다곤 하지만, 같이 일하면 즐겁다는 점은 과학자로서 정말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과학 대가들은 유쾌하고 즐겁습니다. 유머가 있어서 대가가 된 것인지, 아니면 대가라서 여유가 있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분명히 대가들은 즐겁고 밝습니다. 아마도 여러 사람들과 잘 융화될 수 있는 능력이 과학자에게 필요한 능력 중 하나라서 그런가 봅니다.. 



그의 연구실 한켠에 항상 꼴찌 시절을 잊지 않기 위해서 자신의 고등학교 성적표까지 붙여 놓았다고 하니 어느 정도의 대인배(?)인지 상상이 가시는지요?


자신의 꼴지성적을 만천하에 공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죠.



한국에서도 꼴찌가 보란 듯이 성공하고, 주변에서 그것을 폄하하지 않는 분위기가 더욱 더 퍼져서, 거든 경과 같은 성공 스토리가 많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한 번 실수는 그냥 실수일 뿐이고, 그 실수는 다음 성공을 위한 밑거름이 되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칩니다.


OJ


7. NAS 구입 및 선택


요새 주변에서 NAS 하나 살려고 하는데, 어느 걸 사면 좋겠냐 고 물어보시는 분이 종종 있습니다. 


동호회분 중 나이 드신 형님들께서 야 NAS 그거 하나 사려고 하는데 뭘 사야 하냐? 삼성 꺼 있냐? LG로 사면 되냐?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그 때 마다 NAS를 구입할 때 목적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씀드립니다.


도대체 왜 NAS를 구입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답이 있다면 사실 NAS를 사지 않더라도 해결할 수 있는 길이 많기 때문입니다.



가령 사진 동호회 파일 올리려고 한다고 하면, 전 NAS보다 카페나 호스팅 업체를 추천합니다. 


음악도 들을 수 있고... 뭐 동영상도 볼 수 있다고 하던데... 라고 하면 멜론이나 벅스를 추천하고,  IPTV를 추천합니다. 


백업도 하고 자료도 다운 받고 하려고 하지... 라고 하면 웹하드 계정 하나 구입하고, 외장하드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홈페이지도 하나 만들고, 사진 공유하는 블로그도 하나 만들고 싶어서.. 라고 하면 티스토리나 블로그 서비스를 권장합니다. 


야 그럼 NAS 사고 싶은데, 이거 사면 다 할 수 있잖아 라고 말하시면....  네.. 그렇긴 하지만, 세팅하는게 쉽지 않습니다고 말씀드립니다.


차라리 제 NAS에서 하나 열어드릴께요. 라고 말씀 드립니다.


사실 여러번 말씀드리긴 하지만, 모든 서비스가 NAS에서 가능은 하지만, 그 서비스를 구동하고, 유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점은 확실히 알고 구입하셨으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뭐든 저지르면 일은 되는 법입니다. 


그리고 한 번 사고자 마음을 먹으면 결국 사게 되는 것이 사람의 마음인 것을 알기에...  이왕지사 구입할 때 어떤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NAS를 추천하라고 한다면,  Synology를 추천합니다. 다른 메이커도 많이 있긴 하지만, 그에 대항할 수 있는 NAS라면 Qnap 정도가 있긴 한데, 제가 잘 안 다루어 봐서 정확하게 추천할 수는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4년 정도 Synology를 살펴보면서 느낀 점과 잠깐 써본 다른 NAS와 비교해보면 Synology는 이런 장점이 있습니다.



1. 서비스 편이성이라는 측면에서 매년 업그레이드 되고,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보완이 잘 되고 있다. 


이건 상당히 중요합니다. 초반기 DSM 1.0 (DSM은 시놀로지에서 쓰는 NAS 운영체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에서 부터 최근에 나온 DSM 4.1 beta까지의 변화를 보면, 사용자를 고려하는 점이 아주 많이 느껴집니다.


특히 사용자가 하나하나씩 설치를 하면서 겪을 불편함을 업그레이드 때 마다 개선 발전시키는 모습을 보면 정말 믿음직스럽다고 느껴 집니다.


예 를 들면, 오디오 스테이션의 경우 초창기에는 정말 사용하기 불편했는데(파일 정렬, 웹 기반 번거로움, 노래 설정 등) 현재는 DS Audio로 사용자 편의를 아주 많이 고려해서 업그레이드되어 거의 클릭 몆 번으로 해결 가능한 수준에 올랐습니다.


이 런 면에서 다른 NAS는 솔직히 따라가기가 버겁습니다. 3rd party(앱스토어사 안드로이드 마켓처럼)가 활발하게 나올 수 없는 NAS 시장을 생각해 볼 때(물론 이는 현재 상황이 그렇다는 것이지, 나중에는 변할 수 있고, 변화되는 모습이 DSM 4.0 부터 보이더군요) 번들 형태로 어떤 업그레이드가 기본적으로 가능하냐는 NAS의 활용도 측면에서 아주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 유저가 아주 많다. 


이것 역시 아주 중요합니다.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어떤 NAS나 비슷한데 반해, 그 시행착오의 수와 해결방법의 DB는 유저에 비례해 증가합니다. 


조금 다른 예이긴 하지만, 저같은 경우는 공유기가 SK에서 제공한 무선 공유기에 NAS를 연결시켰는데, 해결책에 관한 글이 거의 전무했습니다. 포트를 막아둬서 안된다는 말 뿐이였고, 질문 글이 있어도 답변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에 반해 iptime 공유기의 경우, 정말 많은 글이 있어서 (캡쳐까지 있는 아주 자상한 문제해결 글) 비교적 용이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근데 결국 해결은 했긴 합니다만, 하루 정도의 시간이 걸렸죠.  iptime이라면 한 시간 정도면 충분했을 것을... 그 때 차라리 iptime을 구입할까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오늘 해결 못하면 사자라고 결심했는데, 마법처럼 그날 11시 50분쯤에 해결되었습니다만, 심각히 다른 공유기 구입을 고려했었죠. 그리고 결국 샀습니다. 2012년도에...


여하튼 유저가 많으면 많을수록 문제를 겪은 사람이 많을 가능성이 많고, 해결되었을 가능성이 큰 DB가 많이 존재합니다. 


앞 서 언급했지만, 소수의 제품을 사면 문제가 생겨도 해결은 되겠죠. 따지고 보면 리눅스라는 시스템에서 시작되는 것일테니깐요. 그런데, 내 문제 해결을 위해서 리눅스 터널을 배워야 하고, 그 배운 개념을 이용해 트러블 슈팅을 해야만 한다면.... 결코 반가운 일은 아니겠지요. 


결국 유저가 많다는 것은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아주 큰 이득을 가지고 옵니다.



3. 여러 OS와 다양한 사용국가에 대한 안정성


이 부분은 어떤 사람에게는 안 중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자신이 윈도우만 쓰고 있다면 전혀 고려 대상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만, 저에게는 아주 중요한 사항 중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이건 다양한 사람들에게 내 정보를 공유한다는 측면에서도 아주 중요한 것 중에 하나입니다. 그 사람이 리눅스를 쓸 수도 있고, 맥을 쓸 수도 있으니깐요


"아 왜 윈도우 안 쓰세요?" 라고 되물을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 사람의 소중한 선택이니깐요. 


그런 입장에서 본다면 시놀로지는 아주 좋은 선택이였습니다. 


아울러 한국어 지원과  그 사용으로 인해 전혀 불편함이 없는 안정성 역시 아주 작지만 중요한 요소이지요.


4. 백업의 안정성, 하드웨어적인 호환성 및 연동성


이 건 대부분의 NAS가 가진 주특징이고, NAS라면 절대로 양보하지 않아야 하는 기능이겠지요. 


이런 안정성은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야 제대로 구축되더라는 것은, 어찌 보면 제 개인적인 소신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분명히 시놀로지도 하드가 충돌한다든지 하는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였기 때문에, 완벽하다고는 말을 못하겠습니다.


다만, 이런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그 안에서 준비해 놓았느냐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참고로 시놀로지의 경우 하드 디스크 충돌시 읽는 기능은 살려 두더군요.


여하튼 나름의 안정성을 고수하기 위해 분명히 시놀로지는 시행착오를 겪었고, 한국내 서비스 파트너도 잘 설정한 편이라 생각합니다.



그 외에도 다른 장점도 있지만, 그건 시놀로지 만의 기능이라기 보다는 NAS 전반에 대한 이득이기 때문에, 딱히 장점이라 내세우기가 힘듭니다.


그에 따르는 단점도 분명히 있겠지요.


돈입니다. 다른 나스 보다 그리고 다른 리눅스 서버 보다 하드웨어적인 측면만 따지면 완전한 폭리(?) 수준입니다. 물론 칩과 하드 용량만 생각한다면 그렇겠지요.


그리고 동급의 저렴한 NAS보다 조금은 더 비쌉니다. 


그러나 써보니 비싼 값을 하더군요. 한치의 후회도 없습니다.


물건이란 것이 한 번 살 때는 비싸니 싸니 고려하지만, 일단 사놓고 나면 저는 가격을 까먹는 아주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어서... 그 비용에 대한 생각은 안 하게 됩니다.


그리고 리눅스 컴을 다루면서 하나하나 설치했을 번거로움과 삽질을 생각하면.... 어휴~ 정말 싼 가격이죠.


^^ 


뭐 쓰다 보니 Synology 찬양자 같군요. 맞습니다. 아직까지는 업그레이드 한다면 Synology를 재구입할 예정입니다. ^^ 


주변사람에게 NAS를 산다면 Synology를 권장하고 싶습니다.


물론 그 이전에 NAS 구입을 말리긴 하겠지만요.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