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D : Medical Scientist(91)
-
생리학과 신경과학 관련 저널에 대해 알아보자!
제가 주로 보는 저널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볼까 해요. 전 전기생리학을 기본으로 신경생리, 신경줄기세포 관련 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분야는 요즘 워낙 Hot한 분야라서 소위 CNS(cell, nature, science) 급의 저널에도 자주 실리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런 저널, 다시 말해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저널보다는 전기생리학이나 신경과학에 좀 더 특수화된 저널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소개드릴 저널은 Journal of physiology 입니다. 이름부터 physiology가 들어가죠. 영국에서 1878년부터 발행되기 시작한 저널이에요. 그만큼 역사가 오래되고 공신력이 있는 저널입니다. Impact factor는 4점대로 그렇게 높진 않지만, 여기에 논문을 게재한다는 것은 전기생..
2013.02.05 -
Nas 하드 충돌 사건 4 ^^
사실 이 모든 과정도 시간이라는 점에서 아주 큰 손해를 보았던 것이 사실이였습니다. UPS를 설정해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충돌이 일어난 것은 어찌보면 제가 막을 수 없었던 일이였습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제가 할 수 있었던 일은 1. 하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전을 막는 수단인 UPS 설치해두기 2. 모든 데이터가 날라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백업해두기 이 것 두개 뿐이였습니다. 전자는 제가 했고, 후자의 경우도 일부는 했지만 완전히 해두지는 않았던 것이지요. 그러다 보니깐, 복구를 할 욕심이 생겼던 것이지요. 만약 모든 자료를 백업해 두었다면, 그냥 미련 없이 다 포맷하고 다시 자료를 옮겼을 것입니다. (백업에 관해서는 다음번에 자세히 이야기 하는 포스팅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이 하드 충돌 과정을 겪..
2013.01.10 -
사랑을 MRI로 확인할 수 있을까? functional MRI에 대한 이야기 ^^
functional MRI (fMRI) 라고 들어보셨나요?? 한글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이라고 불리고, 뇌의 기능을 영상으로 볼 수 있는 MRI를 말합니다. 뇌(Brain)는 조직 특성상, 침습적인 접근이나 손상을 주게 되면, 다시 회복되기 힘들기 때문에, 간접적(비침습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학문이 발전해 왔습니다. 어떻게 뇌가 활동하고 있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을까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때 그 기능에 관련된 영역의 기관뿐 아니라 뇌 또한 활동을 합니다. 활동을 하려면 에너지가 있어야 겠죠? 그 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해 관련된 뇌 영역에 포도당 대사가 늘어나며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해서 그 부위의 혈류와 혈액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혈류 내에서 일..
2013.01.07 -
Nas 하드 충돌 사건 3 ^^
Hard가 날라갈 뻔한 사건. 하드 충돌 사건 - 3 그렇게 그냥 NAS를 1 Bay로 뒀으면 되었을 텐데.... 그냥 집에 남는 500 기가 짜리 하드를 하나를 위에 물렸습니다. 당연히 단일 볼륨으로 구성시킬 것이였으니깐, 용량 차이가 나도 상관 없을 것이라 생각했고, 그리고 실제로 설치 과정이나 하루 정도 사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날 어김 없이 2TB 시게이트 하드에 충돌이 납니다. 헐.... 헐 .... 헐.... 두번째 하드 충돌.. 이번에도 역시 완전 충돌이였습니다. 하드 구성이 전혀 보이지 않고, 이 하드에는 더 중요한 데이터들이 있었는데,(다행히도 1.2TB 밖에 쓰지 않았고, 그나마 600기가는 중복 백업이라.... 600기가 정도만 있으면 되었죠) 또 난..
2013.01.07 -
전기생리학에 관한 짧은 소개
전기생리학. 이 단어를 들으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처음 들어보신 분들은 전기. 생리. 학? 이렇게 따로 따로 단어를 떼어 생각하실테고… 배워본 적이 있으신 분들은 호치킨, 헉슬리, 오징어축삭, 나트륨, 칼륨…등등…에서 심전도까지 생각 나실 수도 있겠습니다. 오늘 제가 소개해드리려는 것은 바로 전기생리학으로 연구하는 실험실은 어떻게 굴러가나? 하는 실질적인 내용입니다. 전기생리학은 어떤 학문이다! 라고 하는 건 너무 지겹기도 하고…어렵기도 하니깐요. ^^ 그렇다 하더라도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전기생리학은 살아있는 세포, 조직, 기관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살아있는 생물에서 전기적 활동이 생기나? 하실 수 있는데요. 우리 인체는 70%가 물이고, 그 물에녹아있는..
2013.01.06 -
Nas 하드 충돌 사건 2
Hard가 날라갈 뻔한 사건. 하드 충돌 사건 - 2 리눅스에 인식시키면 될 꺼라는 생각에 이르고, 하드가 다 날라가도 상관없다는 과감한 생각(?)에 이르니 무서울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를 서치했었죠. 이 당시만 해도 리눅스를 사용하지 않았기에, 어쩔 수 없이 윈도우에서 리눅스 파티션을 읽어내는 프로그램을 구할 수 밖에 없었죠. (사실 10여년 전에 리눅스를 쓰려고 한 달 정도 삽질 한 적이 있긴 하지만, 그리 오래 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서 리눅스를 다시금 부활시켜서 현재는 OSX 다음 두번째로 많이 쓰는 운영체제가 되었죠.) 그렇게 찾은 프로그램이 R linux였죠. 다 버릴 생각을 하고, NAS에서 WD 하드를 분리하고, 외장하드로 연결해서 R linux 프로그램에 물렸습니다...
201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