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Tips
-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1) 들어가면서Research Tips 2015. 3. 9. 10:10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첫번째 시간연구자들의 주된 역할 중 하나는 자신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하게 되는 프리젠테이션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과학적 발견(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에 대한 제안형 프리젠테이션이다. 이 중 먼저 과학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당신도 이 글을 읽고 나면, 이렇게 멋진 프리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 1.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에 흔히 하는 실수들사실 프리젠테이션 방법에 正道는 없다. 사람마다 고유의 발표 철학을 가지고 있게 마련이라, 잡스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빌게이츠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틀린 발표를 하고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과학연구결과를 프리젠테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 잘..
-
논문작성법 (2) 문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part 3Research Tips/English for Research 2015. 3. 2. 09:38
① 주어와 동사, 목적어 및 보어군에 핵심 메시지를 표현하라. ②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 ③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 ④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 ⑤ 대비되는 개념은 대비되는 형태로 배열하라. 자 오늘도 어김없이 약을 팔러 돌아왔다.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와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에 대해서 공부했다. 오늘은 문장 구성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같이 공부를 해보자. 영문 지적질 당하지 않는 그날 까지 열심히 공부하자. 그 전에 막 들이대고 그러면 안 된다. 4.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 대명사는 명사 단어이며, 당연히도 명사를 가르키는데 사용된다. "it", "that", "those", "this", "which" 등이 바로 그것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
-
논문작성법 (2) 문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part 2Research Tips/English for Research 2015. 2. 16. 13:32
① 주어와 동사, 목적어 및 보어군에 핵심 메시지를 표현하라. ②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③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④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⑤ 대비되는 개념은 대비되는 형태로 배열하라. 우리는 지난 시간까지 "① 주어와 동사, 목적어 및 보어군에 핵심 메시지를 표현하라"에 대해서 공부를 해 보았다. 오늘은 문장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나머지 부분 중 "②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 "③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보자. 의외로 간단하니 겁먹지 말자. 2.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 ① 명사구 (명사+명사)를 해체하라.영어에서는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하는 일을 흔히 볼 수 있다. "blood pressure", "ion concentration", "protein me..
-
연구비 시즌 광고Research Tips 2015. 2. 8. 16:16
2월은 항상 바쁜 달입니다.대부분의 의과대학은 개강시즌이라 수업준비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보다도 더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연구비 신청입니다. 연구비 없는 연구자는 팥없는 찐빵이요, 고무줄 없는 팬티 같은 존재인데, 문제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혹은 장관님이 바뀔 때마다 연구비가 정신없이 바뀐다는데 있지요. 교육은 백년지대계이고, 연구는 만년지대계인데, 우리나라는 딱 2년 정도만 바라보고 가는 듯 싶어요. 올해에도 어김없이 연구비 시즌1이 돌아왔습니다. 올해 연구재단 신진연구비는 상반기에는 유형 II, 하반기에는 유형 I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형 II의 경우에는 2월 12일(목) 까지 아이디어 계획서를 공모하고, 연구자들이 알아서 연구한 뒤에 5-6월 쯤에 최종선정을 한답니다. 연구비 규모는 50,000..
-
논문작성법 (2) 문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part 1Research Tips/English for Research 2015. 2. 2. 20:25
대부분의 논문은 어렵다. 아무리 전공자라고 할지라도 논문저자의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는 것도 생각처럼 쉽지 않을 뿐더러, 실험을 통해 그 과정을 증명하는 과정을 따라가는 것은 생각처럼 녹록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논문에서의 문장은 단순하고 직설적이여야 명료하고 설득력이 있으며, 독자들이 이해하기가 쉽게 된다. 문장을 단순하고 직설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주어와 동사, 목적어 및 보어군에 핵심 메시지를 표현하라. ②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 ③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 ④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 ⑤ 대비되는 개념은 대비되는 형태로 배열하라. 이러한 방법에 따라, 문장을 구성할 때 논문의 주제는 직설적이고, 단순하며, 설득력이 있게 된다. 이번 시간에서는 "① 주어와 동사, 목적어 및..
-
성공하는 실험실생활과 인생관리를 위한 2가지 방법Research Tips 2015. 1. 26. 03:30
0. 들어가면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큰 곳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흘러간다. 실험실이라는 공간은 사실 시간이 굉장히 빠르게 흘러가는 공간이지만, 교수라는 항성 곁에서는 시간이 굉장히 느리게 흘러간다. 이와 같은 현상을 "상대성 교수이론"이라 부르며, 회식자리나 발표 시간, 혹은 자동차나 기차,비행기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다. FIgure 1. 상대성교수이론의 개념도. 실험실 시간 평면 상, 교수라는 항성이 출현할 경우 관측자의 시점에서 시간은 굉장히 느리게 흘러간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우린 교수를 피할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성공하는 실험실 생활과 인생관리를 위한 두 가지 큰 방법이 존재한다. 아니, 사실 새로울 것도 없는게, 시간..
-
논문작성법 (1) 어떻게 논문을 읽을 것인가?Research Tips/English for Research 2015. 1. 21. 13:45
모든 연구활동의 시작은 논문을 읽는 것부터 시작된다. 한 편의 논문은 자연현상에 대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자연현상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관찰 등을 통해 자연현상을 검증하며, 이에 대한 임상적, 자연과학적인 의미를 해석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설득을 위해서, 논문은 간결하게 쓰여져야 하며, 독자들이 도저히 잘 못 이해할 수 없도록 만들어야만 한다. 또한, 명쾌하게 작성할 경우, 저자의 생각 역시 명쾌해지게 된다. 대부분의 논문은 제목-초록-서론-결과-결론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1. 제목 Title 논문에서 제목은 두 가지 역할을 주로 하게 된다. ① 논문의 주요주제/메시지의 전달 ② 독자의 흥미를 끄는 것 이러한 목적 ..
-
연구실을 방황하는 연구자를 위한 안내서 - 들어가면서Research Tips 2015. 1. 13. 23:30
연구실을 방황하는 연구자를 위한 안내서 연구실 안에서 박사과정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장 지적능력이 탁월하며, 모든 실험을 관장한다는 착각에 빠져 살고는 하는데, 사실 연구실 안에서 그들은 네번째로 똑똑한 존재들이다. 은하계의 현인들인 생쥐들은 실험실에서 두번째로 똑똑한 존재들이다. 인간보다 우월한 지적능력을 가진 개체들은 이들은, 애써 세운 가설과 다른 정반대의 행동을 보임으로써 연구자들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을 관찰하는 실험을 세우고는 한다. 따라서, 연구실에서 지적능력에 따라 순위를 나누어 보자면, 생쥐 - 포닥 - 박사 - 석사의 순이다. 애석하게도 교수라 불리우는 생물들은 순위에 들지 못한다. 그들은 주로 작은 녹색 종잇조각들을 연구실로 모아오는 역할 밖에는 하지 못하는 낮은 지적능력을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