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의 작성법 part I

① 서론의 역할과 구성

② 서론의 조직

ⓐ 알려진 사실 - 알려지지 않은 사실 - 질문

ⓑ 연속성

ⓒ 주제문 - 질문

과로사한 경우에는 와이프가 수영강사/헬스강사/골프강사와 재혼할 확률이 비약적으로 높습니다.


자, 이번 시간부터는 본격적으로 서론의 작성법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뭐, 드립칠 것도 없어요. 바로 고고!


① 서론의 역할과 구성 

서론의 역할을 뭐 말할 것도 없이, 독자들의 흥미를 깨우는 것과 배경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을 깨우기 위해서 서론은 직설적이여야 하며, 핵심을 찔러야 하며, 당연히도 명료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가능한 짧아야 한다. 

이러한 논문의 서론은 줄거리의 첫 시작점이며, 대게의 경우는 알려진 사실에서 질문을 도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가 흔히 쓰는 실험논문은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

① 알려진 사실

② 알려지지 않은 사실

③ 질문

사실, 이게 서론의 전부이다. 저자는 독자에게 이 논문이 도대체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알려진 사실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문을 던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제시하여야 한다. 


서론에서 대답이나 결과를 내포하는 내용을 적을 것인가? 적지 않을 것인가?

이건 사실 저자 마음이다. 예전에는 서론에서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나 결과를 적지 않고, 이러한 내용을 discussion에서 기술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라고 배웠지만, 요즘은 서론의 마지막 부분에서 간략히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떡밥을 던지는 형식도 종종 사용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Neutrophils are the most abundant leukocytes and serve as essential effector cells in the first line host defence against invading microorganisms. They have historically been viewed as short-lived cells as they undergo spontaneous apoptosis in vitro unless rescued by survival signals such as inflammatory cytokines or microbial compounds . In addition to their direct bactericidal activities,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that the inflammatory mediators, released by neutrophils, can actively regulate angiogenesis and tissue remodelling. Although less characterized than tumour-associated macrophages or tumour-infiltrating lymphocytes, tumour-infiltrating neutrophils are emerging as important players in the pathophysiology of cancer.

B Neutrophils constitute the common component of infiltrated leukocytes in tumours, and are almost entirely recruited from circulating blood neutrophils. Neutrophils in the normal or inflamed tissue spontaneously exhibit antitumour activity, whereas most tumour-infiltrating neutrophils display pro-tumourigenic properties. We have recently shown that neutrophils are accumulated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issue, where they promote angiogenesis by prolonged relea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This finding indicates that short-lived neutrophils are rescued by the tumour microenvironment and subsequently acquire a sustained pro- tumourigenic effect. Therefore, a characterization of the signalling pathways, regulating tumour neutrophils,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ir roles and potential mechanisms in tumour immunopathogenesis.

C Autophagy is related to numerou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survival, cell death, and cell metabolism. Induction of autophagy is often regulated or maintained by multiple signalling pathways, of which mTOR signalling has been clearly elucidated. In addition to being induced during nutritional deficiency, autophagy also occurs in cancer as the result of chronic hypoxia and inflammation. Increased functional autophagy enables cancer cell survival under stress and likely contributes to treatment resistance. In addition, although not directly related to tumour neutrophils, autophagy was recently found to promote the survival of neutrophils in an autophagy-related 5 (ATG5)-dependent manner. At presen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gulation and function of neutrophil autophagy in human tumours in situ.

D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remarkable enhancement of autophagy in HCC-infiltrating neutrophils. The upregulation of neutrophil autophagy in tumour environments selectively coincided with the activation of Erk1/2, p38, and NF-jB signals, but not with the deactivation of mTOR signalling. Moreover, we demonstrated that such increased autophagy strongly triggered the sustained survival and pro-tumourigenic effects of neutrophils in human cancers. Therefore, upregulation of autophagy in acti- vated neutrophils may represent a novel mechanism by which the innate immunity activation is linked to disease progression in the tumour milieu.

Li X-F, Chen D-P, Ouyang F-Z, Chen M-M, Wu Y, Kuang D-M, Zheng L. Increased autophagy sustains the survival and pro-tumourigenic effects of neutrophils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Journal of Hepatology 2015; 62:131–9. 

자, 이 논문의 introduction을 살펴보면, 총 4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락 A에서는 neutrophil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고 있고, 최근 연구를 통해 tumor에서 neutrophil의 역할에 대한 떡밥을 던지고 있다. B에서는 A에서 던져진 tumor에서 neutrophil의 역할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하면서, 이 과정에서 mechanism등에 대한 연구가 아직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는 떡밥을 하나 더 던진다. 단락 C에서는 이러한 mechanism의 하나로써 autophagy가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질문을 던지기 위해 autophagy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던지고, 질문을 던지고 있다. 붉은 색 문장이 이 논문의 질문이다. 그리고 단락 D에 와서 이 논문의 결과와 의미를 대략적으로 요약하면서 독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논문의 결과파트를 궁금하게 만든다. 

이처럼 서론 부분에서 질문에 대한 대답과 결과를 제시하는 식의 논문형식도 독자의 흥미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나쁘지 않은 방법이다. 결과랑 담론 부분에서 또 반복하는데 이걸 서론에 쓰면 독자가 지루하지 않겠냐고? 지난 번에서도 계속 이야기했지만 대부분의 독자는 서론부터 잠에 빠져든다. 계속된 반복으로 토나오게 만드는게 오히려 좋은 논문이다. 자, 그럼 이렇게 서론에서 질문에 대한 대답과 결과를 내포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구성될까? 다음의 예를 더 살펴보자. 

A Mounting evidence suggests that the immunosuppressive cytokine TGF-b is overexpressed by tumors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locking immune responses and affecting tumor progression. The pivotal role of TGF-b in suppressing antitumor immune responses has made it a logical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antagonists . TGF􏰀b blockers (soluble receptors/antibodies) and TGF􏰀b receptor inhibitors have anti- tumor effects that, in several models, are due primarily to CD8+ T cell-dependent immunologic mechanisms .

B In addition to suppressing T cell functions, it has been shown that TGF-b also has an impact on myeloid cell functions. The tumor microenvironment polarizes TAMs toward a protumor (M2) versus an antitumor (M1) phenotype. Since TGF-b can alter macrophage cell function and phenotype in vitro, i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macrophage phenotype in vivo as well. Although it is less well studied, TGF-b has also been noted to inhibit neutrophil activity (i.e., degranulation). Early studies suggested that TGF-b had chemoattractant activity for neutrophils at very low concentrations, and more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locking the TGF-b pathway increases the recruitment of neutrophils in some types of chronic disease states.

C In recently published studies, we used a small, orally available type I TGF􏰀b receptor (Alk-5/Alk-4) kinase inhibitor (SM16) and showed that TGF-b receptor blockade increased the percentage and activation of intratumoral CD8+ T cells and was able to augment immunotherapy. In addition, blockade of TGF-b function led to an influx of myeloid cells (marked by CD11b positivity on FACS) into tumor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SM16 on the myeloid cell phenotype of tumors and to explore how these changes might affect CD8+ T cell function.

Fridlender ZG, Sun J, Kim S, Kapoor V, Cheng G, Ling L, Worthen GS, Albelda SM. Polarization of tumor-associated neutrophil phenotype by TGF-beta: "N1" versus “N2” TAN. Cancer Cell 2009; 16:183–94. 

이 논문의 경우를 살펴보면 단락A에서 TGF-b에 대한 설명을 하고 단락B에서 TGF-b가 myeloid cell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설명하면서 이게 neutrophil에 뭔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떡밥을 넌지시 던지고 있다. 그리고는 단락C에서 자신들의 기존 실험결과를 설명하면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논문의 서론의 질문은 TGF-b를 억제하는 SM16이 종양에서 myeloid cell phenotyp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묻고 있다. 

이처럼 서론 부분에서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나올 수도, 나오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역할과 구성은 독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논문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 그렇다면 이러한 서론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자.


② 서론의 조직 


ⓐ 알려진 사실 - 알려지지 않은 사실 - 질문

서론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깔대기 구조와 같다. 넓은 범위의 일반적인 정보에서 부터 단계별로 좁아지다가 어느 한 점에 집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질문이 도출되며 이것이 서론의 주제문이 된다. 즉, "현재까지는 이런 이런 사실들이 알려져 있었고, 더 좁은 범위에서는 이런 이런 사실들이 알려져 있었는데,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건 바로 이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질문을 던진다."와 같은 구조인 것이다.


알려진 사실

깔대기 구조의 첫 번 째 단계이다. 이는 앞서 이야기했듯 넓은 범위에서 서서히 좁혀져 들어오는 구조로 구성한다. 


알려지지 않은 사실

알려지지 않은 사실은 대게 한 두 문장에 지나지 않는다. 비록 짧지만 이를 기술함으로써, 본 논문의 가치가 부각되며 연구 논문의 줄거리에서 중요한 시발점이 된다. 


질문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통해 논문의 질문을 도출한다. 이는 한 논문의 가설이며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왜? 혹은 어째서? 라는 질문이 된다. 


자, 위의 예를 다시 한 번 가져와서 살펴보자. 

A Neutrophils are the most abundant leukocytes and serve as essential effector cells in the first line host defence against invading microorganisms. They have historically been viewed as short-lived cells as they undergo spontaneous apoptosis in vitro unless rescued by survival signals such as inflammatory cytokines or microbial compounds . In addition to their direct bactericidal activities,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that the inflammatory mediators, released by neutrophils, can actively regulate angiogenesis and tissue remodelling. Although less characterized than tumour-associated macrophages or tumour-infiltrating lymphocytes, tumour-infiltrating neutrophils are emerging as important players in the pathophysiology of cancer.

B Neutrophils constitute the common component of infiltrated leukocytes in tumours, and are almost entirely recruited from circulating blood neutrophils. Neutrophils in the normal or inflamed tissue spontaneously exhibit antitumour activity, whereas most tumour-infiltrating neutrophils display pro-tumourigenic properties. We have recently shown that neutrophils are accumulated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issue, where they promote angiogenesis by prolonged relea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This finding indicates that short-lived neutrophils are rescued by the tumour microenvironment and subsequently acquire a sustained pro- tumourigenic effect. Therefore, a characterization of the signalling pathways, regulating tumour neutrophils,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ir roles and potential mechanisms in tumour immunopathogenesis.

C Autophagy is related to numerou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survival, cell death, and cell metabolism. Induction of autophagy is often regulated or maintained by multiple signalling pathways, of which mTOR signalling has been clearly elucidated. In addition to being induced during nutritional deficiency, autophagy also occurs in cancer as the result of chronic hypoxia and inflammation. Increased functional autophagy enables cancer cell survival under stress and likely contributes to treatment resistance. In addition, although not directly related to tumour neutrophils, autophagy was recently found to promote the survival of neutrophils in an autophagy-related 5 (ATG5)-dependent manner. At presen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gulation and function of neutrophil autophagy in human tumours in situ.

D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remarkable enhancement of autophagy in HCC-infiltrating neutrophils. The upregulation of neutrophil autophagy in tumour environments selectively coincided with the activation of Erk1/2, p38, and NF-jB signals, but not with the deactivation of mTOR signalling. Moreover, we demonstrated that such increased autophagy strongly triggered the sustained survival and pro-tumourigenic effects of neutrophils in human cancers. Therefore, upregulation of autophagy in acti- vated neutrophils may represent a novel mechanism by which the innate immunity activation is linked to disease progression in the tumour milieu.

Li X-F, Chen D-P, Ouyang F-Z, Chen M-M, Wu Y, Kuang D-M, Zheng L. Increased autophagy sustains the survival and pro-tumourigenic effects of neutrophils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Journal of Hepatology 2015; 62:131–9. 

앞서서도 이야기했듯 단락 A,B,C를 살펴보면 서서히 좁혀져 들어오는 깔대기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단락 A에서는 neutrophil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이 진행된다. bactericidal등에 관련된다는 내용을 설명하면서, tumor-infiltrating neutrophil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진다.

단락 B에서는 당연히도 tumor-infiltrating neutrophil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antitumor, protumor activity에 대해 설명을 하면서 hepatocellular carcinoma에서 발견되는 neutrophil에 대한 설명을 하지만, 아직 tumor-infiltrating neutrophil을 regulation하는 signaling cascade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이야기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제시한다. 

단락 C에서는 이러한 signaling의 하나로 autophagy를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인 autophagy의 function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마지막 문장에서 tumor에서 neutrophil의 autophagy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이야기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제시한다. 

자, 이쯤되면 이 논문이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질문이 대충 감에 잡힐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tumor에서 neutrophil의 autophagy가 일어나는지? 일어난다면 우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해결하는 논문이다. 단락 D를 보면 이러한 논문의 결과를 제시하면서 (Therefore, upregulation of autophagy in activated neutrophils may represent a novel mechanism by which the innate immunity activation is linked to disease progression in the tumour milieu.) 서론을 구성하고 있다. 

서론은 이와 같이 구성된다. 그런데, 우리가 여기에서 유념해 두어야 할 점이 한가지 더 있다. 바로 지난 포스팅들을 통해 귀에 딱지가 박히도록 들은 연속성이다. 


ⓑ 연속성

서론이 짧은 편이라면 사실 별 문제 없이 줄거리를 따라갈 수 있다. 하지만, 3-4개 단락 이상으로 구성되는서론의 경우에는 독자가 줄거리를 따라가기가 쉽지 않다. 즉, 전체적인 줄거리와 작은 줄거리가 동시에 진행될 경우 독자들이 졸지 않고 이야기를 따라올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이 바로 연속성이다. 위의 예를 다시 한 번 살펴보자.

단락 A의 핵심용어는 neutrophil, tumor-infiltrating neutrophil이다. 

단락 B의 핵심용어는 tumor-infiltraing neutrophil, signaling (mechanism of regulation)

단락 C의 핵심용어는 autophagy, tumor-infilrating neutrophil이다.

이처럼 연속성을 유지시켜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핵심용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끝말잇기 같은거지 뭐. 다음 시간에는 뭐가 나옵니다~하고 단락의 마지막에 예고편 삽입해주면 독자가 다음 단락을 이해하기가 훨씬 수월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연결어휘 (therefore, thus, however, moreover, additionally, in addition to 등등)을 사용해서 문장과 문장, 단락과 단락 사이의 유기성을 강제로 부여할 수도 있다. 거기에 지난 번 포스팅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범주형 단어에서부터 세부적인 단어로 점차적으로 좁혀들어가는 방법이라던가, 대구형식을 사용해도 되고, 일관된 관점 등을 통해 연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자, 정리해보자. 

서론에서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 핵심용어를 사용하고

㉡ 일관된 관점을 이용하며

㉢ 범주형 단어에서 세부적 단어로 좁혀들어가고 

㉣ 대구형식을 활용하며 

㉤ 연결어휘를 이용한다. 

각각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을 참조하자. 더 이상의 설명이 必要韓紙? 


ⓒ 주제문/질문

결론부터 이야기하자. 서론의 맨 마지막 문장은 주제문/질문으로 구성하자. 짧은 서론의 경우에는 주제문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들도 종종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 서론은 주제문으로 마무리짓는다. 위의 예에서는 단락 D의 맨 마지막 문장이 주제문이다. 


자, 오늘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서론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사실 문장 구성, 단락 구성이 어려운 부분이지 서론부터는 논문쓰는 공식이 존재한다. 보다 논리적으로 구성의 헛점이 없게 만드는 것이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가장 힘든 부분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 서론을 쓰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 


아. 그리고 이 글들은 Mimi Zeiger의 essentials for writing biomedical research papers를 주된 교재로 작성 중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한글판 2쇄가 발간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글을 그만 쓸까 생각을 했었는데, 일단은 써봅시다.  공휴일은 쉬니깐 화요일에 포스팅합니다. 그리고 인제부터는 진도 쫙쫙 뺄꺼에용. 8월까지 논문작성법은 마무리 지을 생각입니다. ㅎㅎ 지난 주에는 개인적인 사안으로 인하여 블로그에 많은 외부 인력이 유입되었습니다. 이제는 많이 조용해졌군요. 사실 반론이 나왔을 때 바로 반박글을 구상였지만, 이런 저런 이유들로 유보하였습니다. 이 사항의 가장 큰 문제는 아마도 과학자가 사회현상에 대해 참여할 경우의 책임과 의무에 관련된 문제인 듯 싶습니다. 그리고 과학현상을 설명할 때, 정확하고 명료하게 설명해야한다는 점도 포함되어 있구요. 우리가 공부를 하고 있는 의과학분야는 특히나 생명과 건강에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사회현상에 참여할 경우 더 엄중한 책임감과 의무감을 지니고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대충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글의 원작성자와의 연락을 수소문하였으나 연락이 없기도 하고, 사항이 어느 정도 수그러드는 듯 하여, "의과학자의 사회참여 과정에서의 책임과 의무" 뭐 이런 식의 포스팅을 하려구요. 







① 단락의 구성

ⓐ 주제문과 뒷받침문: 우선 조망한 뒤에 세부적으로 들어가라. 

ⓑ 단락구성의 일반적인 형식들

ⓒ 단락구성의 흔한 형식들

② 연속성

ⓐ 핵심용어를 반복하라.

ⓑ 핵심용어를 통해 특수용어와 범주형용어를 연결하라.

ⓒ 연결어휘와 연결구, 연결절의 사용

ⓓ 순서를 일관되게 유지하라.

ⓔ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라.

ⓕ 대비되는 개념에는 대구법

ⓖ 단락의 소주제를 미리 알려라.

③ 중요한 점을 강조하라. 

ⓐ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날려버려라.

ⓑ 중요한 정보는 중요한 위치에, 토 나올 정도로 반복해서 강조하라.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호환 마마, 천재지변, 전쟁, 불법정치자금 수수, 설마하니 저의 결혼 이런 것만 아니라면 연재 지연은 안 하려고 했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날 것 같습니다. 헝헝헝. 

노진구가 좋은 교수인지 아닌지 잘 모르겠다 허허. 


ⓕ 대비되는 개념에는 대구법

"X는 증가했지만, Y는 감소했다." 이런 표현은 우리가 논문에서 아주 흔히 쓰는 대비되는 개념이다. 비교나 대구가 명쾌하게 드러나도록 하려면 대비되는 개념은 같은 관점에서 대구법을 사용해서 기술해야 한다. 

대구법은 지난 시간들을 통해 살펴보았던 일관된 관점이라는 점의 연장선상에 있다. 문장의 일관된 관점이라는 의미는 각 문장의 주어에 같은 용어, 또는 같은 범주의 용어가 쓰인다는 뜻이지만, 문장이 대루를 이루는 것은 문장간의 모든 부분의 문법적 형태가 동일하다는 이야기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After fetal injection of naloxone, fetal arterial blood pH and PO2 both decreased (from 7.39 ± 0.01 (SD) to 7.35 ± 0.02 and from 23.5 ± 0.5 to 20.8 ± 0.8 mmHg, repectively). B There was no change in arterial blood PCO2. C After maternal injection of naloxone, only fetal arterial blood PO2 decreased (from 24.4 ± 0.8 to 22.2 ± 1.0 mmHg). 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fetal arterial blood pH or PCO2. 

이 단락은 두 개의 대구되는 소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문장A는 naloxone의 fetal injection후 pH와 PO2가 감소했을을 표현하고 있고, 문장B는 PCO2의 변화가 없음을 말하고 있다. 문장 C의 경우는 naloxone의 maternal injection후, PO2의 감소를 문장 D는 pH와 PCO2의 변화가 없음을 기술하고 있다. 이처럼 문장 A와 C가 대구법을 이루고, 문장 B와 D가 대구법을 이루고 있다. 이 예문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단락 내의 문장에 대구법을 사용하는 것이 대비되는 개념을 제시할 때 가장 명퇘한 방법이다.

이러한 대구법은 당연히 동사에도 사용하여야 한다. 다음의 예문을 살펴보자. 

A The log10 function eliminated some waves. B The factor that determined whether a wave was eliminated or amplified was the divisor. C When the divisor was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peak of a wave, the wave was eliminated. D When the divisor was less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peak of a wave, the wave was amplified.

자, 이 예문을 살펴보면, 이 단락의 주제문은 문장 B이다. 이 문장을 뒷받침하는 문장C와 문장D는 각각 대구법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when the divisor was + (greater/less) +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peak of a wave, the wave was + (eliminated/amplified)의 동일한 구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장에서 특히 동사 (eliminated, amplified)에도 대구법이 사용되고 있어 대비되는 문장의 구성을 통해 단락을 형성하고 있다.

 

ⓖ 단락의 소주제를 미리 알려라.

우리는 지난 시간을 통해, 주제문으로 단락을 시작할 경우 독자가 단락을 다 읽기 전에 그 단락의 주제를 알 수 있으므로 가장 효과적인 단락의 구성이라는 사실에 대해서 공부했다. 새로운 단락의 시작은 시각적으로 새로운 주제가 시작됨을 알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고, 이 단락의 첫 문장에 주제문을 위치시킴으로써 문자적으로 독자에게 단락의 주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이 첫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 부분에 핵심용어를 위치시킴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게 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Samples of inspired, end-tidal, and mixed-expired gases were taken during the 2-h wash-in period. B Inspired gas samples were collected proximal to the non-rebreathing valve. C End-tidal gas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catheter, the tip of which was placed near the tracheal end of the endotracheal tube. D The endotracheal tube was connected to the non-rebreathing valve with flexible Teflon tubing whose internal volume was approximately 100 ml. E Teflon was used to avoid the absorption and release of anesthetic that occur with plastics such as polyethylene, and the added 100 ml of dead space was use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end-tidal samples with inspired gas. F Expired gases were conducted via a flexible Teflon tube to an aluminum mixing chamber. G Mixed-expired gas samples were collected distal to the aluminum mixing chamber. H All gas samples were collected in 50 ml gass syringes that were stored upright (to produce a slight positive pressure) until analyzed. 

이 단락에서는 A문장이 주제문으로 세 종류의 가스를 언급하고, 각각의 가스에 대한 설명이 다음 문장들을 통해서 설명되고 있다. 이 단락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 예문의 단락은 나열식 구조이고, 핵심용어가 각 소주제문의 주어를 구성하고 있다. 이처럼 각 소주제문을 알리는 방식도 대구를 이루어야 한다. 첫 번째 소주제문에서 핵심용어가 주어로 사용되었다면, 따라오는 소주제문에서도 핵심용어가 주어로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든 단락의 구성이 위와 같을 수는 없다. 만일 주제문에서 언급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단락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소주제가 제시되는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Pulmonary nerve endings were relatively insensitive to phenyl diguanide. B Of 25 pulmonary nerve endings tested, only 10 were stimulated when this drug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and in only one of these firing exceed 2.2 impulses/s. C If the latter ending is excluded, the average peak frequency of the endings stimulated was only 1.7 impulses/s. D The exception, which fired with an average frequency of 17.4 impulses/s at the peak of the response, was encountered in the only dog in which right atrial injection of phenyl diguanide evoked reflex bradycardia within the pulmonary circulation time (latency 2.2 s). E Morevover, in this dog arterial pressure fell, whereas in all other dogs it rose, but only after sufficient time had elapsed for the drug to reach the systemic circulation. 

이 예문의 경우에는 새로운 단락의 도입부에 있는 주제문 문장A가 단락의 주제를 설명하고 있다 (pulmonary nerver endings). 뒤따르는 문장B와 문장C는 각기 문장 A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리고 문장D와 문장E는 각기 새로운 주제문을 제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the exception", "moreover"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주제의 시작을 알리게 된다. 이 문장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③ 중요한 점을 강조하라

지금까지 우리는 독자가 쉽게 단락의 메시지를 발견하고 줄거리를 따라올 수 있도록 단락을 조직하고, 연속성을 유지하는 과정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주제문을 더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정보를 강조하고,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날려버려야 한다. 이러한 강조를 위한 기법은 다음과 같다.

ⓐ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날려버려라 - 정보의 압축,생략, 종속화 

ⓑ 중요한 정보는 중요한 위치에, 토 나올 정도로 반복하고 강조하라. 

ⓐ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날려버려라.

중요한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압축,생략, 종속화를 통해 약화시키는 것이다. 난잡한 글의 경우 이러한 중요한 정보를 중요하지 않은 정보가 가리고 있기 때문에, 나무에 가려 숲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 이 과정에서 명심해야 할 점은 "말이 많아질수록 메시지는 적어진다."는 점이다. 뭐, 이건 그냥 중요하지 않은 문장을 날려버리면 되는데, 문제는 공들여 쓴 문장을 날려버리기가 아까운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는 종속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We choose a period equal to three times the time constant because 95% of the change in anesthetic concentration whithin a compartment, and likewise 95% of the recovery from a compartment, should occur during this period. B These percentages are rough estimates of the amount distributed to and subsequetnly recovered from each compartment. C However, the distinct separation of these compartments means that most anesthetic eliminated from each compartment should occur during the period we chose. 

이 단락은 문장A와 문장 C를 통해 서로 대조하는 내용이다. 그런데, 문장 B가 끼어들게 되면서 대조를 방해하고 있다. 이런 경우에는 문장 B를 종속절로 만들어서 내용을 압축시키고 약화시킬 필요가 있다.

A We choose a period equal to three times the time constant because 95% of the change in anesthetic concentration whithin a compartment, and likewise 95% of the recovery from a compartment, should occur during this period. B Although these percentages are rough estimates,the distinct separation of these compartments means that most anesthetic eliminated from each compartment should occur during the period we chose. 

이처럼 중요하지 않은 문장의 경우, 앞/뒤 문장에 종속절로 만들어버림으로써 내용을 약화시키면 된다. 


ⓑ 중요한 정보는 중요한 위치에, 토 나올 정도로 반복해서 강조하라.

압축화, 생략, 종속화는 문장들을 정리해주기는 하지만, 그래도 저자는 중요한 정보를 강조해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중요한 정보를 중요한 위치에 놓는 것이다. 지난 시간들을 통해 우리가 알아본 바와 같이, 중요한 위치란 단락의 처음과 마지막이다. 어지간한 변태가 아닌 이상, 독자들은 단락과 논문을 처음부터 읽기 때문에, 첫머리에는 당연히 시선이 집중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단락의 주제문은 되도록 첫 머리에 놓아야 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and cardiac output did not change after instillation of serum alone or serum with epinephrine or terbutaline. B Left atrial pressure fell slightly below the baseline after all trhee treatments, but the de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fter epinephrine. C Peak airway pressure increased slightly after all three treatments, but the in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epinephrine and terbutaline. 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lung lymph flow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ymph-to-plasma protein concentration ratio after all three treatments. E Both the rise in lymph flow and the decrease in the lymph-to-plasma protein concentration ratio were greater after terbutaline and epinephrine than after serum alone. F Arterial oxygen tension decreased after all three treatments, although it was always greater than 85 mmHg.

이 예문의 경우는 모든 실험결과를 아주 성실하게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글을 쓸 경우 독자들의 경우는 글을 읽는 과정에서 십중팔구 졸게 된다. 위 단락의 내용은 serum, epinephrine, tertutaline을 instillation한 후에 lung-lymph flow가 증가하고, lymph-to-plasma protein concentration ratio가 감소했다는 내용이다. 즉, 이 단락에서 중요한 주제문은 문장 D, 이를 뒷받침해주는 문장들로 문장 E,F가 필요하며, 문장 A와 문장 B의 경우는 생략해도 상관없는 문장들이다. 

다음과 같이 교정해보자.

A After instillation with either serum, epinephrine or turbutaline, lung lymph flow increased and the lymph-to-plasma protein concentration ratio decreased. B Both of these changes were greater after terbutaline and epinephrine than after serum alone. C Arterial oxygen tension decreased, although it was always greater than 85 mmHg. D There were no important changes in hemodynamics or peak airway pressure. 

이 교정문에서는 중요한 주제문이 제일 먼저 나왔으며, 예문의 문장A, 문장B는 한 문장으로 압축되어서 제일 뒤로 돌려졌다. 이처럼 중요한 문장이 단락에 제일 먼저 나오게 될 때, 독자들의 해석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중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는, 중요하다고 대놓고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The most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is...", "One of the most striking findings of our investigation was..." 등으로 대놓고 표시하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이건 개인이 취향에 따라 사용하자. 

물론, 다른 방법으로 계속해서 반복해서 표현하는 방법도 있다. 중요한 정보를 토가 나올 정도로 반복함으로써, 독자들의 뇌속에 정보를 강제로 남기는 방법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핵심용어의 반복이라는 측면에서 지난 시간을 통해 같이 공부하였다. 


단락의 구성

자, 우리는 지난 시간들을 통해 문장의 구성, 단락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여기까지 같이 공부하느라 다들 고생한 것 안다. 그리고 이 부분이 가장 재미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장과 단락은 논문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토대가 되는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충분히 공부를 하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다음 시간부터는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서론의 작성법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보자. 앞으로의 계획은 다음과 같다. 

 1장. 어떻게 논문을 읽을 것인가?

 2장. 문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3장. 단락의 구조 

 4장. 서론의 작성법

 5장. 결과의 작성법 

 6장. 고찰의 작성법 

 7장. 대상 및 방법의 작성법

 8장. 초록의 작성법

 9장. 제목의 작성법

10장. 참고문헌의 작성법



아. 그리고 이 글들은 Mimi Zeiger의 essentials for writing biomedical research papers를 주된 교재로 작성 중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한글판 2쇄가 발간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글을 그만 쓸까 생각을 했었는데, 일단은 써봅시다.  근 한달만에 글을 쓰는군요. 죄송합니다. 개인적으로 아주 아주 바빴어요. 이사를 가면서 집주인도 되고 (사실은 은행집에 세들어 삽니다. 대출이 백만원도 넘어요), 설마 설마했던 일이 일어나려고 합니다. 막 여자 안드로이드랑 기름 원샷하고 같이 나사를 조이는 방탕한 삶을 살던 제가 설마 장가를 가게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기대를 저버리게 되어서 죄송하게도 상대는 여자 사람입니다. 장가가면, 막 아이들 이름 트레버-드산타-프랭클린이라고 지어야지. GTA5는 참 재미있습니다. 꼭 해보세요. 두번 해보세요. 싱글 미션은 반 정도 끝내가는데 얼릉 클랭을 만들고 싶어서 죽겠습니다. 클랭 이름은 "모하비황무지연구소: 옥천지점"으로 하려고 합니다. 원래는 "옥천청년단:모하비지점"으로 하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연구하는 사람이라 그런지, 연구소가 어감이 좋아요. 막 BGM으로는 산울림의 "내 마음은 황무지" 틀어놓고 로스 산토스를 횡단해야지. 산울림 노래들은 참 좋습니다.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는 정말 명곡 중 명곡입니다. GTA5 온라인에 들어오시거든 입구에서 "모하비황무지연구소:옥천지점"을 찾아주세요. 아마 한달 뒤쯤부터 온라인에서 저를 만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자, 다음 시간까지 안뇽~ 





① 단락의 구성

ⓐ 주제문과 뒷받침문: 우선 조망한 뒤에 세부적으로 들어가라. 

ⓑ 단락구성의 일반적인 형식들

ⓒ 단락구성의 흔한 형식들

② 연속성

ⓐ 핵심용어를 반복하라.

ⓑ 핵심용어를 통해 특수용어와 범주형용어를 연결하라.

ⓒ 연결어휘와 연결구, 연결절의 사용

ⓓ 순서를 일관되게 유지하라.

ⓔ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라.

ⓕ 대비되는 개념에는 대구법

ⓖ 단락의 소주제를 미리 알려라.

③ 중요한 점을 강조하라. 

ⓐ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날려버려라.

ⓑ 중요한 정보는 중요한 위치에, 토 나올 정도로 반복해서 강조하라.

지난 한 주간 개인적인 사정으로 바빠서 잠시 글을 쉬었지만, 죽지 않고 돌아왔다. 호환마마나 천재지변, 혹은 불법정치자금 수수 혐의가 없는 한 논문작성법은 계속된다. 자, 시작해보자. 


② 연속성 

ⓒ 연결어휘와 연결구, 연결절의 사용 

단락이 연속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그 문장이 왜 단락의 그 위치에서 사용되었는지를 설명해야 한다.즉, 그 문장이 전체 줄거리에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그 의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연결어휘, 연결구, 연결절이 필요하다. 연결어휘는 우리 말로 치자면, "왜냐하면, 그러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다가, 그 결과로 인해, 그 가설에서는"와 같은 말이다. 


연결어휘

연결어휘는 일반적인 논리 관계를 가리키는 용어를 말한다. "therefore", "thus", "because", "first", "furthermore", "however" 등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The lymphocytes that infiltrate the alveolar walls in this rejetion phase are likely to be conveyed by the blood, because they infiltrate all alveolar walls synchronously all over the lungs. 

B Both of these high-density-lipoprotein-associated proteins are initially synthesized as proteins and therefore undergo both co- and post-translational proteolysis. 

Although individual residues in the repeated-sequence blocks in the core have diverged, the patterns of amino acids are identical.

밑줄친 단어들이 바로 연결어휘이다. 이 글에서 이 단어들이 생략된다면, 논리적 연관성을 파악하여 줄거리를 따라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윗글에서 밑줄친 부분을 생략하고 읽어보자. 우리말로 치자면, "왜냐하면", "그러므로", "그럼에도"와 같은 이 연결어휘들이 없어질 경우 문장간의 연결이 어색하게 된다. 요는 바로 이러한 연결어휘들이 문장간의 상관관계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독자가 줄거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예를 하나 더 살펴보자.

By widening our focus to the entire trachea, we were able to see that most gaglion cell bodies (72%) are located in the neural plexuses associated with the trachealis muscle and submucosal glands, and only a small proportion (28%) are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nerve trunks. Furthermore, we were able to see that most of the ganglia in the superficial muscle and gland plexuses contain only 1-4 ganglion cell bodies. Thus, previously reported ganglia along the longitudinal nerve trunk that contain 10-20 ganglion cell bodies are not typical of most tracheal ganglia. 

윗 문장에서 "Furthermore", "Thus"를 생략하고 읽을 경우 독자가 그 내용을 짜맞추기가 쉽지 않게 된다. 즉, 연결어휘는 독자들에게 내용을 떠먹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구

때로는 이러한 연결어휘가 마땅한 것이 없어, 연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구는 전치사구, 부정사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예를 보자.

Tyson et al. abruptly occluded the venae cavae before analyzing the heart beats. As a result of this occlusion, the volume of the right heart rapidly increased.  

이 예문의 경우는 전치사구 "as a result of this occlusion"이 앞 문장과 뒷 문장을 서로 연결시켜주고 있다. 간단히 해석해보자면, "Tyson 등이 heart beat를 해석하기 전에 venae cavae를 occlusion했는데, 바로 이 occlusion의 결과로 right heart의 volume이 빠르게 늘어난다." 

이처럼 전치사구 이외에도 부정사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의 예를 보자.

The effects of intra-arterial pressure gradients on steady-state circumflex pressure-flwo relations derived during long diastoles were examined in five dogs. To obtain each pressure-flow point, we first set mean circumflex pressure to the desired level and then arrested the heart by turning off the pacemaker. 

위의 예에서는 부정사 "to obtain"이 목적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정사구를 통해 논리를 완성하고 있다. 


연결절 

연결어휘, 연결구 외에 아예 문장으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Considerable evidence indicates that heterotrimeric G prteins are involved in signaling pathway that stimulate mitogenesis and thus contribute to neoplastic growth. B Many ligands that activate G protein-coupled receptors, including bombesin, lysophosphatidic   acid, acetylcholine, and serotonin, have mitogenic effects. C Moreover, pertussis toxin blocks the mitogenic effects of three of these ligands and also of thrombin and phosphatidic acid.

이 문장을 대충 해석해보면, "A 많은 증거들이 heterotrimeric g protein이 mitogenesis에 연관이 있고 이것이 neoplastic growth에 연관된다는 점을 가르킨다. B GPCR을 자극하는 많은 ligands (bombesin, LPA, acetylcholine, serotonin)이 mitogenic effect를 가지고 있다. C 더욱이 PTX는 이러한 ligand들 및 thrombin과 phosphatidic acid의 mitogenic effect를 억제한다."

뭐 대충 해석은 되지만, A 문장과 B문장의 연결고리가 좀 우째 껄쩍지근허다. 문장 A와 문장 B사이에 연결절을 추가해보자. 

A Considerable evidence indicates that heterotrimeric G prteins are involved in signaling pathway that stimulate mitogenesis and thus contribute to neoplastic growth. B Evidence for stimulation of mitogenesis is that many ligands that activate G protein-coupled receptors, including bombesin, lysophosphatidic   acid, acetylcholine, and serotonin, have mitogenic effects. C Moreover, pertussis toxin blocks the mitogenic effects of three of these ligands and also of thrombin and phosphatidic acid.

"이러한 mitogenesis의 증거는~이다."라는 연결절이 추가가 됨으로써, B문장이 A문장의 내용을 설명해주고 있다는 연결을 만들어주었다. 독자들에게 밥을 떠 먹여준 셈이다. 


ⓓ 순서를 일관되게 유지하라.

주제문에 두 개 이상의 아이템을 나열한 뒤, 뒷받침문에서 이들을 설명할 경우에는 당연하게도 그 순서를 일관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즉, A/B/C의 순서로 주제문에서 나열한 경우는 뒷받침하는 문장에서도 A,B,C의 순서로 설명을 해야만 독자들이 헷갈리지 않게 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Samples of insipred, end-tidal, and mixed-expired gases were taken during the 2 h-wash-in period. B Inspired gas samples were collected proximal to the non-rebreathing valve. C End-tidal gas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cathether, the tip of which was placed near the tracheal end of the endotracheal tube. D The endotracheal tube was connected to the non-rebreathing valve with flexible Teflon tubing whose internal volume was approximately 100 ml. E Mixed-expired gas samples were collected distal to the aluminum mixing chamber. F All gas samples were collected in 50-ml glass syringes that were stored upright (to produce a slight positive pressure) until analyzed.

이 예문의 경우 주제문에 나온 순서인 inspired gas, end-tidal gas, mixed-expired gas대로 뒷받침 문장에서 순차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거 사실 디게 간단한 내용인데, 실제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실수하는 경우가 많다. 순서는 항상 일관되게 유지하자.


ⓔ 관점을 일관되게 유지하라.

앞서 같이 공부했듯, 주제가 문장의 주어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단락에서도 두 개 이상의 문장의 주제가 동일하다면, 모든 해당 문장의 주어가 같아야 한다. 즉, 같은 주제를 다루는 두 개 이상의 문장은 동일한 주어로 유지되어야 일관된 관점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자, 다음의 예를 보자.

A Propranolol had variable effects on the hypoxemia-induced changes in regional blood flow. B In the cerebrum, the increase in blood flow caused by hypoxemia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propranolol. C However, in other organs, such as the gut and the kidneys, and in the peripheral circulation, propranolol caused a more severe decrease in blood flow than did hypoxemia alone.  

이 단락의 경우, 주제문인 문장A의 주어는 propranolol인데 비해, 문장B의 주어는 the increase이다. 그리고 다시 문장 C에 가서 다시 propranolol이 주어가 되었다. 이처럼 관점이 바뀌게 되면, 독자들이 글을 바라보는 방향성을 상실하게 된다. 자, 다음과 같이 교정해보자.

A Propranolol had variable effects on the hypoxemia-induced changes in regional blood flow. B In the cerebrum, propranolol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increase in blood flow caused by hypoxemia. C However, in other organs, such as the gut and the kidneys, and in the peripheral circulation, propranolol caused a more severe decrease in blood flow than did hypoxemia alone.  

문장B의 관점을 다시 고침으로써 단락의 일관성이 유지되었고, 독자들이 이해하기가 더 쉽게 되었다. 

관점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서 항상 같은 단어를 주어로 사용할 필요는 없다. 단지 같은 범주의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일관된 관점을 유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injection of naloxone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rterial blood pressure or heart rate. The arterial blood pressures and heart rates measured after 24 h of morphine infusion did not change sigfnicantly. 

이 예문에서는 핵심용어를 사용했지만, 문장 A와 B의 관점이 다르다. 문장 A의 주어는 실험한 내용 (control injection of naloxone)이고, 문장 B의 주어는 실험에 의해 영향을 받은 변수 (the arterial blood pressures and heart rates)이다. 뭐, 이 단락이 해석이 안 되거나 틀린 건 아니지만 같은 범주의 용어로 문장B의 주어를 바꿔보자.

The control injection of naloxone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rterial blood pressure or heart rate. The infusion of morphine for 24 h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rterial pressure or heart rate. 

이 교정문에서는 문장 A의 주어로는 naloxone의 control injection, 문장 B의 주어로는 morphine의 24시간 injection이라 서로 동일한 범주의 단어가 사용되어서 일관된 관점이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 두 문장의 구문이 동일하게 만들어지게 되어 다음과 같이 더 교정할 수 있게 된다.

Neither control injection of naloxone nor 24-h morphine infusion significantly altered blood pressure or heart rate. 


관점의 문제 - "We", "I" 의 사용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그냥 "we" 쓰면 된다. 한 때는 객관성을 확보한다는 명목으로 "we"의 사용을 꺼려했던 적이 있었지만 요즈음은 그냥 "we"쓴다. 단 "I"의 경우는 학위논문에서나 쓰지 논문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자, 다음의 예를 한 번 살표보자.

To determine the mechanism for the direct effect of contrast media on heart muscle mechanics, this study on heart muscles isolated from cats was carried out. 

"This study", "current study" 등을 주어로 사용하면서 수동태의 형태로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이 한 때 사용되었지만, 요즈음은 아래처럼 그냥 "we"를 쓰면 된다.

To determine the mechanism for the direct effect of contrast media on heart muscle mechanics, we carried out this study on heart muscles isolated from cats. 

예를 하나 더 살펴보자.

A noscomial infection was defined as one that was clearly not present in the culture of any body fluid when the infant was admitted, although it was recognized that virtually all infant colonization, and therefore all infections, are noscomial.

이 문장 역시 수동태를 통해 연구를 기술함으로써, 굉장히 난해한 문장이 되었다. 그냥 아래와 같이 교정해보자.

We defined a noscomial infection as one that was clearly not present in the culture of any body fluid when the infant was admitted, although we recognize that virtually all infant colonization, and therefore all infections, are noscomial. 

이처럼 수동태는 최대한 쓰지 말고, 능동태를 사용하자. 


자 오늘 우리는 연결어휘와 일관된 순서의 유지, 일관된 관점의 유지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단락의 구성을 마무리 짓자. 



4월 16일이 다가옵니다. 우리 사회가 유가족들의 눈물을 닦아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① 단락의 구성

ⓐ 주제문과 뒷받침문: 우선 조망한 뒤에 세부적으로 들어가라.

ⓑ 단락구성의 일반적인 형식들

ⓒ 단락구성의 흔한 형식들

② 연속성

ⓐ 핵심용어를 반복하라.

ⓑ 핵심용어를 통해 특수용어와 범주형용어를 연결하라.

ⓒ 연결어휘와 연결구, 연결절의 사용

ⓓ 순서를 일관되게 유지하라.

ⓔ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라.

ⓕ 대비되는 개념에는 대구법

ⓖ 단락의 소주제를 미리 알려라.

③ 중요한 점을 강조하라.

ⓐ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날려버려라.

ⓑ 중요한 정보는 중요한 위치에, 토 나올 정도로 반복해서 강조하라.

오늘도 어김없이 약을 팔러 찾아왔다. 오늘 같이 공부할 내용은 연속성에 관한 내용이다. 문장과 문장의 유기적인 연결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보자.

MDphD 블로그는 여러분들의 논문이 억셉되기를 기원합니다. 

2. 연속성

잘 짜여진 단락이라고 할 지라도 연속성이 없다면 이해가 쉽지 않다. 연속성이란 문장과 문장, 그리고 단락과 단락으로 생각의 흐름이 매끈하게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문장과 단락이 올바른 연속성을 지니기 위한 기법은 다음과 같다.

ⓐ 핵심용어를 반복하라.

ⓑ 핵심용어를 통해 특수용어와 범주형용어를 연결하라.

ⓒ 연결어휘와 연결구, 연결절의 사용

ⓓ 순서를 일관되게 유지하라.

ⓔ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라.

ⓕ 대비되는 개념에는 대구법

ⓖ 단락의 소주제를 미리 알려라.

자. 이번 시간에는 이제부터 이들 중 핵심용어의 사용에 대해서 살펴보자.

 

ⓐ 핵심용어를 반복하라.

핵심용어란, 논문에 나오는 중요한 개념을 지칭하는 어구를 말한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keyword가 바로 이러한 핵심용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핵심어구에는 전문용어나 일반용어 모두 핵심용어가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 g-protein coupled receptor 등의 전문용어 뿐만 아니라, function, increase등 일반용어 역시 핵심용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용어를 토가 나올 정도로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야 말로 문장과 문장, 단락과 단락 사이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다.  

 

명료성을 위해서

이러한 핵심용어를 반복하는 이유는 바로 명료성을 위해서이다. 만일 핵심용어가 동일하게 반복되지 않고 다른 용어가 사용된다면, 독자는 용어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독자가 해당 분야에 대해서 익숙하다면 그런 관계를 쉽게파악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독자라면 이 과정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Digitalis increases the contractility of the mammalian heart. This change in inotropic state is a result of changes in calcium influx through the muscle cell membrane.

"inotropic state"라는 단어의 의미를 아는 독자들이라면 별 문제없이 이해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독자들의 경우는 "contractility의 증가"와 "inotropic state"라는 단어간의 관계를 유추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의미상의 차이가 별로 없는 두 가지 다른 용어를 사용할 이유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사용한 그런 문장들이 된다. 괜히 독자를 혼동스럽게 만들 필요는 전혀 없다. 다음과 같이 교정해보자.

> Digitalis increases the contractility of the mammalian heart. This increased contractility is a result of changes in calcium influx throught muscle cell membrane.

이 문장들에서는 핵심용어로 contractility를 설정하고, 이를 동일하게 반복하였기 때문에 모든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핵심용어중 하나인 increase 역시 change라는 말로 일반화되는 대신 반복 사용되어서, increase/contractility의 두 핵심용어를 통한 연속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자, 다음의 예를 더 살펴보자.

1 A The extent of digestion of the liver was determined empirically, on the basis of the softness of the liver in response to gentle scratches applied with sterile tweezers. B When these scratches broke the surface of the liver, digestion was considered complete.

2 C The key enzyme in hepatocye isolation is collagenase, but there is surprisingly little definite information about what constitutes a good enzyme preparation for efficacy of cell yield and viability.

 이 예문에서는 첫 단락에서는 핵심용어로 "digestion"과 "liver"를 사용하였고, 두번째 단락에서는 "isolation"과 "hepatocyte"를 사용하였다. 의미상 hepatocyte isolation과 digestion of the liver는 같은 의미이므로 "digestion"과 "liver"를 핵심용어로 설정해서 교정해보자.  

1 A The extent of digestion of the liver was determined empirically, on the basis of the softness of the liver in response to gentle scratches applied with sterile tweezers. B When these scratches broke the surface of the liver, digestion was considered complete.

2 C The key enzyme used to digest liver is collagenase, but there is surprisingly little definite information about what constitutes a good enzyme preparation for efficacy of cell yield and viability.

 이처럼 핵심용어가 반복될 때, 두 단락간의 연속성이 생겨나게 된다.

 

정확성을 위해

때로는 핵심용어의 반복 사용대신 여러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그 문장과 단락의 의미가 과학적으로 부정확해지는 경우들이 있다. 다음의 예를 보자.

A To determine which collagenase concentr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for our purposes, we tested collagenase-B dissolved at different concentration in the perfusion medium. B First we purfused mose liver with a medium contraining the same quantity of collagenase-B as the medium used to perfuse rat liver.

이 단락에서는 문장 A에서는 concentration이, 문장 B에서는 quantity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단어 "quantity"는 대략의 양을 표현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과학적 결과를 기술하는 논문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표현이다. 그냥 핵심용어 concentration을 반복해서 교정해보자.

A To determine which collagenase concentr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for our purposes, we tested collagenase-B dissolved at different concentration in the perfusion medium. B First we purfused mose liver with a medium contraining the same concentration of collagenase-B as the medium used to perfuse rat liver.

이 경우에는 핵심용어가 과학적으로 정확한 표현이기 때문에 단순히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문장과 단락이 연속성을 띌 뿐만 아니라, 부정확성이 극복되었다.

 

독자들의 혼돈을 막기 위해

때로는 핵심용어의 반복사용 대신 여러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부정확하거나 불명확하지는 않지만, 단순히 독자를 헷갈리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다음의 경우를 살펴보자.

In humans, apo-B100, mainly synthesized in the liver, and apo-B48, mainly synthesized in the intestine, are the products of a single apo-B gene. The production of apo-B48 in the human intestine is the result of an RNA-editing process that changes a glutamine codon of the mRNA for apo-B100 into a translational stop codon. This apo-B mRNA-editing process does not occur in human livers, so apo-B48 is not synthesized in human livers. However, the mRNA-editing process, and thus apo-B48 formation, occurs in mouse and rat livers.

production, formation 모두 synthesis를 의미하는데, 왜 모두 synthesis를 사용하지 않고 각기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는 학창시절 작문에 대한 교육을 받으면서 한 문장이나 단락 등에서 같은 단어를 두 번 이상 반복해서 사용하지 말라고 배웠기 때문이다.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따분하지 않고 우아한 글쓰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교육과정에서 이와 같이 배웠고, 알게 모르게 이를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도 잘만 쓴다면 같은 단어를 반복하지 않음으로써 우아한 스타일의 글쓰기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과학적 논문 작성에서는 이야기가 조금 달라지게 된다. 과학적 논문에서는 핵심용어를 독자가 토가 나올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독자의 머리속에 이를 못 박아야만 한다. 만일 핵심용어를 반복해서 사용하지 않아야겠다는 유혹을 받게 될 때 다음의 세 가지를 유념하자. 

1. 독자는 당신의 논문을 읽는 동안 이미 반쯤 졸고 있다.

자신이 사용한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는 저자와는 달리 대부분의 독자들은 과학논문을 읽고 있는 동안 반쯤 졸고 있다. 따라서, 같은 논문을 세번쯤 반복해서 읽기 전까지 어지간한 단어들은 독자의 눈에 띄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같은 단어를 대여섯번쯤 반복해서 써도 어지간해서는 눈치채지도 못하고, 지루해할 틈 따위는 없다.

2. 메세지를 전달하고 줄거리를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 저자의 목적이다.   

만일 논문의 주제가 "synthesis"라면, 그 용어가 독자들의 뇌리에 남게 되길 원할 것이다. 그렇다면, "synthesis"를 반복하기를 피하려하지 말고, 가능한 적절한 곳에 "synthesis"를 반복해서 사용함으로써 독자들이 반쯤 졸고 있는 상태에서도 명확하게 논문의 주제가 "synthesis"임을 알게 해야만 한다.

3. 독자의 독해를 쉽게 만들어야 한다.

독자가 반쯤 졸고 있던 집중해서 일고 있던 한가지 용어가 한가지만을 의미하게 하고, 논문 전체에 이를 동일하게 반복 사용할 때 독해가 제일 쉬워진다. 핵심용어를 정확하게 반복하는 것은 과학에서 대단히 중요하며, 이는 각 단락마다 과학적으로 많은 이야기와 많은 핵심용어가 등장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따라서, 명쾌한 연속성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핵심용어를 동일하게 반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핵심용어를 잘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핵심용어를 문장의 도입부에 반복하라.

이러한 핵심용어는 문장의 도입부에서 반복될 때, 연속성이 가장 명료해지게 된다. 만일 핵심용어가 문장의 뒷부분에서야 등장한다면 연속성에는 금이 가게 되고, 독자는 애를 태우게 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Digitalis increases the contractility of the mammalian heart. Changes in the calcium flux through the muscle cell membrane cause this increased contractility.

 이는 문장의 구성요소에서 살펴본바와도 유사하다. 문장의 주어, 즉 앞 부분에는 가장 중요한 단어를 위치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 단어가 핵심용어이다. 위의 문장에서 핵심용어는 increase, contractility인데, 핵심용어가 목적어군에 위치하면서 늦게 등장하게 된다. 문장 자체의 오류는 없지만, 아무래도 독자들의 애가 타게 된다. 자, 다음과 같이 교정해보자.

Digitalis increases the contractility of the mammalian heart. This increased contractility results from changes in the calcium flux through the muscle cell membrane.

이처럼 핵심용어가 문장의 도입부에서 반복되어야 문장의 연속성이 명확해지게 된다. 핵심용어의 반복이 지체될 수록 연속성이 불명확해지는 이유는 문장의 진행될 수록 점점 더 많은 핵심용어가 추가되기 때문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Tha ability to perform high-resolution genotyping for the purposes of genetic mapping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polymorphic markers at very high density. B Single-base variations, reported on average at 1 kB of the human genome, provide an attractive reservoir of polymorphisms. C Mismatch repair detection is an in vivo method for the detection of DNA sequence variations.

이 단락의 핵심용어는 polymorphic marker, single-base variation일 것이다. 그런데 이 각각의 핵심용어가 B문장에서 순서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고, 문장B에서는 polymorphism, 문장C에서는 DNA-sequence variation으로 각기 다른 용어가 사용되었다. 다음과 같이 교정해보자.

 A The ability to perform high-resolution genotyping for the purposes of genetic mapping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polymorphic markers at very high density. B An attractive reservoir of polymorphic markers is single-base variations, reported on average at 1 kb of the human genome. C An in vivo method for detecting single-base variation is mismatch repair detection.

 

 이 교정문에서는 첫번째 핵심용어인 polymorphic marker가 문장B의 첫부분에서 반복되고, 두번째 핵심용어인 single-base variation이 문장C의 첫부분에서 반복된다. 이처럼 핵심용어를 문장의 앞부분에서 반복하면서 문장간의 연속성이 높아졌고, 독자가 줄거리를 따라가기가 훨씬 쉬워졌다. , 다음의 예를 더 살펴보자.

A Cellular oncogenes are created when normal cellular genes that have latent transforming potential, that is, proto-oncogene, are activated and key regulatory pathways that control cell proliferation are subverted. B Several subfamilies of G-protein-coupled receptors, for example, the serotonin and muscarinic-cholinergic receptors, have been shown to result in conditional, agonist-dependent activation of proto-oncogene.

 

이 단락의 핵심용어는 activate, proto-oncogene이다. 하지만, 이러한 핵심용어가 문장의 뒷 부분에서 반복되었다. 앞으로 옮겨보자.

A Cellular oncogenes are created when normal cellular genes that have latent transforming potential, that is, proto-oncogene, are activated and key regulatory pathways that control cell proliferation are subverted. B Proto-oncogene can be activated conditionally by various agents, including several subfamilies of G-protein-coupled receptors such as the serotonin and muscarinic-cholinergic receptors.

 

이처럼 단순하게 핵심용어를 문장의 앞 쪽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문장간 연속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행동을 동사로 표현 (can be activated)하였는데 더욱 질설적이게 되었다

이처럼 핵심용어를 문장의 앞부분에서 사용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그냥 주어나 주어구의 일부분으로 사용하는 것 이다. 다음과 같이말이다.

Signals that confer localization to the endoplasmic retuculum have been characterized in the cytoplasmic domain of many mammalian type I transmembrane proteins that reside in the ER and in the ER-Golgi intermediate compartments. One common feature of these signals is the presence of two lysine residue at positions -3 and -4 from the C-terminal end of the cytoplasmic domain.

위 예문에서는 signal이 핵심용어이다. 핵심용어 signal은 뒷문장에서는 주어구 (one common feature of these signal)로 사용되었다. 결국 핵심용어가 문장의 앞부분에서 주어/주어구로 사영되게 되면 독자가 줄거리를 따라가기가 더욱 쉽게 된다.

 

ⓑ 핵심용어를 통해 특수용어와 범주형용어를 연결하라

어떤 경우에는 특수형용어에서 범주형용어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로 범주형용어에서 특수형용어로 전환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rodent는 범주형용어이고, mouse, rats, guinea pigs는 특수형용어이다.) 이러한 용어간 전환을 하면서도 연속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 핵심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특수용어를 범주형용어를 이용하여 정의하고, 정의된 특수용어이든 범주형용어이든 핵심용어로 사용된다면 문제는 해결된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The v-erbB gene is related to neu oncogene. B Both oncogenes have ...(중략)

 이 예문을 우리말로 해석해보자면, "v-erbB gene은 neu oncogene과 관련되어 있고, both oncogene은..."가 될 것이다. 여기에서 both oncogene은 무엇인가? 문맥상 v-erbB gene과 neu gene을 가르키는 것이겠지만, v-erbB gene이 oncogene의 한 종류라는 것이 설명되지 않았다. 다음과 같이 교정해 보자.

A The v-erbB gene, an oncogene of the avian erythroblastosis virus, is related to the neu oncogene. B Both oncogenes have ...(중략)

 자, 이렇게 교정된 문장에서는 v-erbB gene이 oncogene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들이 문장B에서 나오는 oncogene이 무엇을 가르키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특수형용어인 v-erbB가 범주형용어 oncogene으로 정의되었고, oncogene이 핵심용어로 사용되면서 문장간 연속성이 명료해지게 되었다. 사실, 이를 정의하는 부분인 ",an oncogene of the avian eryhtroblastosis vius,"구는 "which is"가 생략된 동격절이다. 즉 "The v-erbB gene, which is an oncogene of the avian erythroblastosis virus, is ...(중략)"이 원래 구절이나, "which is"가 생략된 문장인 것이다. 자, 이처럼 핵심용어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정의하고 싶은 용어가 정의되기 바로 전이나 후에 위치시켜라. 
정의가 용어 뒤에 나올 때에는 두 개의 쉼표를 사용해서 분리시켜라.
당연히도, 핵심용어는 정의하는 문장과 주변 문장에서 반복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요약

핵심용어는 단락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기법이다.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핵심용어가 반복되어 사용되어야 하며, 문장의 앞부분에서 핵심용어가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특수한 용어에서 범주형 용어로 옮겨갈 때, 핵심용어를 통해 연결하여야 한다.



아. 그리고 이 글들은 Mimi Zeiger의 essentials for writing biomedical research papers를 주된 교재로 작성 중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한글판 2쇄가 발간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글을 그만 쓸까 생각을 했었는데, 일단은 써봅시다.  오늘은 좀 짧습니다. 곳간에 모아뒀던 글도 이게 마지막인데, 요즈음 아주 바빠서 죽겠네요. 실험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세계정복을 하기는 해야 하는데, 책을 읽다보니 "후계자"에서 막히는군요. 빨리 후계자를 양성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요즘같은 세상에 꼭 피가 섞일 필요가 있나요? 그냥 마음에 들면 후계자 시키는거지. 그러다가 마음에 안 들면 아직 힘 있을 때, 숙♡청♥하는거고. ㅎㅎ 그러고 보니, 리콴유가 죽었습니다. 보수 언론에서는 리콴유가 무슨 전세계적인 지도자인양 핥핥하던데, 싱가포르는 걍 잘 사는 북한 아닌가요? 그리고 리콴유는 독재자 나부랭이이고. 싱가포르 공무원의 부정부패가 없는 건 굉장히 좋은 일이기는 한데, 독재자가 자기 재산 좀 먹는 쥐새끼들을 용납하지 않는 것과 비슷한거라. ㅎㅎ 그리고 이 분 결정적으로 우생학을 신봉하는 쓰레기이십니다. 나치같은 인간말종이에요. 지네들 멋대로 우수한 인종이라고 하는 중국계 국민들에게는 출산을 장려하고, 우매한 인종으로 분류된 사람들에게는 밤 9시에 전화해서 "부부생활하시기 전에 콘돔착용은 잊지 마세용~♡, 님 같은 저열한 핏줄의 후손이 우리 싱가포르에 많아지면 안 된단 말이에엽 데헷~♡" 이러는 나라란 말입니다. 거기에 언론장악은 기본, 리콴유 일가에 안 좋은 보도하면 나름 선진국이라고 고소크리ㅋ. 그리고 이제는 세습까지 ㅎㅎ 허허허. 독재자를 꿈꾸는 사람들에게는 워너비일텐데, 저는 그래도 민주주의가 좋아요. 제 정복하에서는 모두가 평등하게 자신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것입니다. 여러분들 나의 세계정복의 일꾼이 되어주지 않으시겠습니까? 마빈은 세계정복을 위한 가장 큰 자산인 연구자 여러분들을 우대합니다! 최저시급+α 제공! 상황에 따라 숙식제공 (남자도 대환영)! 보편적 복지를 위한 소개팅 및 남녀 화합의 기회 제공! 그리고 젊은 연구자들에게 시드 연구비 제공! 출산장려를 위해 둘 이상을 낳은 연구원에게 새 파이펫 제공 (길슨/에펜도르프 선택 가능)! 연구하지 않는 자, 먹지도 말라! 지크! 마빈!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네번째 시간 - 실전! 야매! 프리젠테이션!


헐 시간 없어서 막 발로 만들었더니 에니메이션이 들쭉 날쭉 ㅎㅎㅎㅎㅎ 이거 내일이나 모레쯤 업데이트할께엽 ㅎㅎㅎㅎㅎㅎ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세번째 시간 -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슬라이드 구성법 part I

사실, 프리젠테이션에 관련된 워낙 좋은 글들이 많아서 이 글이 설마 인기가 있을까?하는 생각이였는데, 의외로 이 포스팅들에 대해서 반응이 좋은 것 같다. 근데, 여러분들, 아무리 그래도 이건 야매글이라는 점을 반드시 인지하셔야 합니다. 이 따위 포스팅 같은 야매 말고 정말로 정통 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서 다음의 책들을 소개한다. 

슬라이드:올로지와 프리젠테이션 젠. 둘 다 아주 좋은 책이다.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 책들이다. 물론, 여기에 나온 예시들은 거의 다 제안형 프리젠테이션이여서,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에 바로 적용할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프리젠테이션의 ABC가 잘 설명되어 있는 책들이다. 이 외의 국내 프리젠테이션 서적들도 있기는 하지만, 크게 추천할만한 책은 없다. 그냥 위의 두 책만 잘 보고 자신의 프리젠테이션에 잘 적용만 해도 아주 도움이 많이 될 듯 싶다. 시간이 없으신 분은 본 포스팅으로 야매로 일단 배워두시고 나중에 시간 되실 때, 동네 도서관에서라도 꼭 보시기를 추천 드린다.

자, 책 소개는 이 정도로 끝내고, 우리의 본 주제로 넘어가자.


1.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디자인적인 고찰

밑밥부터 깔고 들어가자. 나 디자이너 아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대부분의 독자분들도 연구자이지 디자이너는 아닐꺼고. 그렇다고 "프리젠테이션 잘 하는 방법"으로 돈 버는 사람들도 당연히 아니겠지.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목표는 좋은 디자인의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멋진 슬라이드라고 할지라도 좋은 연구결과 앞에 비교할 바가 아나더. 뭐. 멋진 웨스턴 젤 앞에서 하악 하악대는게 이 바닥에 있는 우리네들 종특이기 때문에, 본 포스팅에서 지칭하는 디자인은 "연구결과를 간결하고 명쾌하게 보여줄 수 있는 디자인"을 뜻한다. 라고 쓰고 "사실 나도 디자인에는 자신없어.데헷~♥"이라고 읽으시면 됩니다.

과학자와 비전공자를 종특을 구분할 수 있는 쉬운 문제. 위의 두 사진 중에서 자신의 시선이 고정되어 있는 사진을 골라보시오. 뭐 너무 쉬운 문제라 과학자라면야 쉽게 답을 알 수 있다. 읭? 잘 모르겠다고? 아니 저기 시선이 고정되지 않는게 말이 돼? 봐, 저 끈같은거에 붙어있는 뻘건게 탱글 동글한 새하얀 속살을 수줍게 가리고 있잖아! 하악하악. O///O 너..너무 아름다워. 역시 색입힌 전자현미경 사진은 과학자의 심장에 좋지 않다.  아이는 사랑입니다. 


① 프리젠테이션 도구

뭐, 레퍼런스 프로그램은 파워포인트와 키노트지 뭐. 프레지 뭐 이딴 거 가지고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을 하려는 시도도 제발 안 했으면 좋겠다. 당신의 프리젠테이션에 감성을 가득 채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멋진 데이터 이상 가는 게 없다. 괜히 이런데 시간 쓰지 말고 그 시간에 웨스턴 한 판 더 돌리자. 자 도구는 윈도우는 파워포인트, 맥은 키노트. 


② 슬라이드 테마의 구성

흰 것은 종이요, 검은 것은 글씨라. 개인적인 경험으로 가장 좋은 슬라이드 테마는 흰 바탕에 검은 글씨 이상 가는 것이 없더라. 다음으로는 검은색 바탕에 흰글씨. 뭐 이것들 말고도 고구려같은 템플레이트만 아니면 별 상관은 없지만, 노란색배경에 빨간글씨를 기본 마스터로 정하는 사람들은 설마 없겠지? 뭐 대충 보면 아래 중에서 고르면 될 듯 싶다. 

흰색바탕에 검은글씨. 프리젠테이션계의 바닐라와 같은 테마다. 단순한 것이 가장 예쁘다. 

다음은 검은바탕에 흰글씨. 프리젠테이션계의 피스타치오 아몬드다. 개인적으로 치약맛 아이스크림을 선호한다.

뭐, 이 두가지 테마야, 가장 오소독스한 테마들이고, 다음의 테마들도 잘만 쓰면 아주 예쁘다. 

이건 잡스형이다. 잡스형은 이 테마를 제일 좋아하더라. 

이건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테마. 기본적으로는 흰+검인데 흰+검같지도 않은 것이 아주 고급스러워 보인다. 근데 이거 검+골로 보는 분들도 있을 것 같다. 

뭐 대충 이 중에서 하나 고르면 될 것 같은데, 한 가지 알아두어야 할 점이 있다. 바로 우리는 데이터를 여기에 삽입해야 한다는 점이다. 자, 위의 테마중 흰+검과 검+흰에 데이터를 넣어보자. 

자, 문제가 보이는가? 문제는 우리는 대부분의 데이터를 흰색바탕에 그리게 된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데이터를 만들 때 논문화를 염두해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이를 검은색 바탕에 삽입해서 보여주게 될 경우 전체 디자인이 망가지게 된다. 갑툭튀 느낌이 드는거지 뭐. 그래서 다음과 같이 바꾸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솔까말 이렇게 바꾸는 작업, 겁나 귀찮다. 이 작업 하면서 버릴 시간에 그냥 논문 한 편 더 읽거나 웨스턴 한 판을 더 돌리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따라서, 검은색이나 짙은색 배경을 사용할 요량이라면 귀찮은 작업을 선호하는 건전한 노예근성의 소유자이거나, 장잉정신으로 한땀 한땀 누끼를 열심히 딸 자신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하자. 흰색계열의 바탕화면이 제일 좋다. 아래 슬라이드 중 어느 쪽이 마음에 더 드는가? 

왼쪽이 작업하기가 훨씬 편하지 뭐. 실수로 누끼 잘 못 따도 은근슬쩍 넘어갈 수 있다는 장점은 덤이다. 바탕화면은 흰색 계열의 밝은 색으로. 설마 오른쪽이 더 좋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은 없겠지? 아, 앨빈 토플러 할아버지께서는 저런 말씀을 하신 적이 단연코 없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 모두 승리하는 X신이 됩시다.

크기는 일반적인 4:3 크기에 1024x768로 만들면 된다. 대부분의 프로젝터가 1200x800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크기로 만들 필요는 없다. 


③ 어떤 폰트를 쓸 것인가?

굴림체하고 comic sans 쫌 쓰지마! 자, 우리 과학자분들 폰트에 대한 관심이 없어도 너무 없으신 분들이 태반이시다. 그냥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한글은 나눔바른고딕/appleSD산돌고딕Neo, 영자체는 Helvetica/Arial 중에서 골라서 써!

네이버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얘네가 아주 잘 하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말 폰트를 만들어서 무료로 배포한다는 점과 그 폰트의 퀄리티가 그럭 저럭 괜찮다는 점, 그리고 생각보다 많이 쓰이고 있다는 점이다.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은 학술연구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이다. 이런 자리에서는 슬라이드의 무게감이 필요하다. 굴림체나 comic sans는 전혀 이런 학술연구결과 발표자리에 어울리지 않는다. 다음의 슬라이드를 보자.

왼쪽은 comic sans, 오른쪽은 굴림체이다.  굴림체는 우리의 원쑤. 굴림체를 주깁씨다. 

이 두 폰트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만든 사람들이 아무 생각 없이 만들었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 두 폰트를 기본으로 발표하는 사람들의 경우도 아무 생각 없이 슬라이드를 만들었다는 점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 위의 슬라이드를 폰트만 바꿔서 만들어 보자. 

폰트만 바뀌어도 이렇게 슬라이드 전체의 무게감이 달라진다. 위에서 임의로 정한 폰트는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 볼만한 폰트를 정한 것이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서 다른 서체를 써도 무방하다. 윤고딕도 굉장히 좋은 서체이고, 그 외에도 가독성이 좋은 폰트는 굉장히 많다. 다만, 한 가지만 유의하면서 폰트를 정하자. 다음 슬라이드들이 어떤 느낌인지 찬찬히 살펴보자. 

위의 폰트들은 사실 아주 좋은 폰트들이다. 그런데, 이런 폰트들이 프리젠테이션에 사용될 경우 청중들이 굉장히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이는 serif 서체와 san serif 서체의 특징 때문이다.



세리프는 명조체, 산세리프는 고딕체다. 장식용 삐침이 달려있는 글꼴인 세리프는 작은 글씨로 쓰여 있거나 길이가 긴 문서도 읽기가 편하기 때문에 논문의 주된 글꼴로 쓰인다. Times new roman이 가장 대표적이지 뭐. 이에 반해 산세리프는 고딕체로 획의 장식이 없어 시인성이 좋아서 간판 등에 주로 사용되고, 프리젠테이션 슬라이드에서 주로 사용되는 서체이다. 그런데 세리프체를 프리젠테이션에서 사용할 경우 시인성 측면과 청중의 피로도 측면에서 그다지 좋지 않다. 이게 은근히 시각적으로 많이 자극하는 서체라서 그렇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에서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이상은 산세리프체(고딕체)를 쓰는 것이 시인성의 확보 측면에서 좋다. 슬라이드에 들어갈 서체를 고를 때에는 산세리프체 중에서 마음에 드는 놈을 고르면 된다. 아니면 그냥 위에서 추천한 서체 쓰면 됩니다. 야매 야매. 

그렇다면 폰트는 몇 가지 정도를 쓰는 것이 좋을까? 3개 내외로 구성하자. 폰트가 너무 많을 경우 쓸데없는 과잉정보를 청중에게 주입하는 셈이 된다. 아니면, "싸나이라면 완펀치! 폰트는 하나!"도 무방하다. 


④ 어떠한 색구성을 쓸 것인가?

이게 사실 제일 어렵다. 어떤 색들을 쓰면 굉장히 세련되어 보이지만, 어떤 색들을 쓰면 굉장히 촌스러워 보인다. 디자이너들에게도 사실 굉장히 힘든 일들이라고들 하던데, 하물며 디자이너가 아닌 과학자 나부랭이인 우리가 배색을 하는 건 굉장히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어디 웹서핑 하다가 괜찮은 배색 발견하면 꼭 저장해두자. 아님 스포이드로 색깔만 따놔.

우리가 전문 디자인 하는 사람들도 아닌데, 뭐 어쩔 수 없는 노릇이지, 뭐. 자, 스포이드 따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키노트라면 색상 클릭해서 스포이드로 따면 된다.

조기 빨간색 원에 있는 거 눌러서 색깔 따면 됩니다요. 그리고 스포이드 옆에 있는 건 자주 쓰는 색깔 저장해둘 수 있는 도구모음이다. 사실 이거 내가 주로 쓰는 색깔이여서 영업상 비밀인데.헐...

파워포인트에도 색상메뉴에 동일하게 스포이드 있으니깐, 그걸 사용해서 마음에 드는 색깔 따오면 된다. 만일 이러한 색상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하면, 인터넷을 뒤지면 된다. 아니면 아래에 구성된 배색표를 이용하면 된다. 이거 어디에서 주워온 건데, 어디에서 주워온건지 도대체 기억이 안 나네.

내 맥북 한 귀퉁이에 저장되어 있던 누군가의 배색표. 저작권 문제되면 삭제하겠습니다. 

뭐 이런 색조합을 사용하면 적어도 촌스럽다는 이야기는 덜 들을 수 있을꺼다. 자. 그리고 한 가지만 더 추가하자면, 프리젠테이션에서 색의 조합은 최대 5가지를 넘지 않는게 좋다. 난잡한 색깔이 너무 많이 사용될 경우 청중의 인지기능을 쓸데 없는 곳에 낭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5개 안쪽의 색깔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뭐 꼭 정해져 있는 건 아니니깐 너무 5개라는 숫자에 연연해 하지는 말고. 

자, 여기에서 한 가지 팁을 소개하자면, 하나의 그래프에서는 한 가지 계열의 색깔만을 사용하자. 이 때 콘트라스트를 잘 사용하면 상당히 정리된 그림으로 보여줄 수 있다

허허허. 이거 겁나 야매 방법입니다. 전문 디자이너분들이 보면 아마 까무라칠지도 몰라엽. 뭐 어때? 난 디자이너가 아니지롱~ 데헷♥ 사실 저 녹색은 야매토끼 등에 붙어있는 거북이땩지에서 따온건 비밀 ㅋ 

자, 잡다구리한 색깔을 사용한 그래프와 콘트라스트를 사용한 그림을 비교해보자.

자 어느 그래프가 더 정돈된 느낌인지 굳이 설명이 必要韓紙? 자, 색감에 대해서 정리하자면, 인터넷 서핑하다가 마음에 드는 색감 있으면 꼭 저장해 놓고 사용하세용~ 그리고 콘트라스트 잊지 마시고. 


⑤ 어떠한 에니메이션을 사용할 것인가?

개인적으로 두괄식을 제일 좋아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 

이 바닥에서는 슬라이드에 에니메이션 안 써도 별 문제없어. 다만 꼭 쓰고 싶다면 다음의 두 가지를 기억하자. 

디졸브, 밀어내기 (닦아내기)

요즈음 파워포인트와 키노트에는 별의별 에니메이션효과가 참 많어. 그냥 뭐. 이건 뭐 막 번쩍 번쩍 하고 막 그냥 뭐 휙~ 휙~, 참 요란뻑적지근한 것들이 참 많어. 근데, 이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 바닥에서는 이런 거 몰라도 사는데 아무 지장 없다. 프리젠테이션에서 에니메이션 안 쓴다고 누가 안 잡아가요. 아니, 에니메이션 자체가 잘 사용하면 효과적인데 어설프게 사용하면 내용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하는데 일등공신이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프레지가 기술적으로 굉장히 진보한 형태의 프리젠테이션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기업현장이나 과학연구발표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이고 말이다.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에서 가장 효율적인 에니메이션은 앞서 말한 디졸브와 닦아내기이다. 뭐 이 외에도 다른 에니메이션 잘 쓸 자신 있으신 분들은 마음껏 사용하셔도 되지만, 이 바닥에 들어온 이래로 에니메이션 잘 쓰는 연구자라는 건 용, 유니콘, 여자친구와 함께 상상속의 동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화면전환효과 

슬라이드와 슬라이드를 연결하는 화면전환효과는 디졸브, 밀어내기로 충분하다. 뭐 사실 여기에 크게 사람들이 신경쓰지 않을 정도의 화면전환 에니메이션이라면 뭐를 쓰든 큰 상관은 없다. 다만, 단락과 단락의 연결과 문장과 문장과의 연결이 다른 것과 같이, 슬라이드 내에서 단락과 문장의 연결관계를 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자, 우리는 영어논문작성법에서 문장은 사고의 최소단위이고, 단락은 주장의 최소단위인 것을 배웠다. 이와 동일하게, 슬라이드 중 같은 주제의 내용을 보여주는 슬라이드간의 이동은 밀어내기와 같은 연속적인 에니메이션 효과를 쓰고, 주제가 바뀔 경우와 같이 새로운 주제로 바뀌는 슬라이드간의 이동은 디졸브같은 불연속적인 에니메이션 효과를 쓰는 것이 좋다. 자, 다음의 예를 보자.

자, 제목에서 introduction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단락간의 이동에는 위와 같이 디졸브와 같은 불연속적인 에니메이션 효과가 효과적이다. 청중들에게 "난 이제부터 딴 이야기 할꺼야"라고 화제를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비해 결과들을 차근 차근 보여주는 것과 같이, 문장간의 이동의 경우에는 밀어내기 효과와 같은 연속적인 에니메이션 효과를 사용하면 아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청중들에게 "난 한 놈만 패"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같은거지 뭐. 

이처럼 프리젠테이션에서 에니메이션 효과는 청중들과 대화하는 방식이여야지, 단순히 자기가 보기에 예쁘다고 막 쓰고 그러지 말자. 큐브 효과 같은 거 별로 안 예뻐. 아. 그리고 파워포인트에서는 디졸브 효과가 아주 쉣이라 (무슨 모자이크 없애는 느낌. 유모→노모 전환 같은 느낌이다.) 밝기 변화가 쓰기에 좋다. 이런 연속적/불연속적인 에니메이션 효과를 잘만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느낌적인 느낌의 프리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 

아주 강의 내용을 여러분들의 눈과 가슴에 쏙쏙 들어오게 만드는 예제가 되기를 바라면서 만들었다. 뭐 대충 이런 느낌적인 느낌이라고 보면 됩니다. (근데 이거 동영상으로 컨버팅 하니깐 화질 열화가 많이 되는군요. 아이는 크고 아름답습니다.)

"자, 그런데 이런거 저런거 다 귀찮다." 하시는 분들은 

키노트라면 이동 마법사쓰세요. 파워포인트면 그냥 에니메이션 쓰지 마. 

이동마법사 정말 좋다. 그냥 이거 한 번 써보시압. (사실 위의 시노자키 아이 키노트는 이동마법사만을 썼지롱. 헐헐헐). 이에 대해서는 더 전문적인 분들이 설명한 글들이 검색만 해보면 무궁무진하니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슬라이드 내에서의 에니메이션 

솔까말 뭐 과학자들이 슬라이드 내에서 에니메이션 써야 하는 일 거의 없다. 그리고 데이터 에니메이션 효과 추가하려면 무지 귀찮거덩. 그래도 이 귀찮은 작업을 하시려는 분들을 위해서 역시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여기도 디졸브(밝기변화)랑 밀어내기 (닦아내기) 쓰면 됩니다. 자, 다음의 슬라이드를 보십시다. 

자, 이 슬라이드내의 에니메이션은 모두 닦아내기와 디졸브만을 사용한 것이다. 에니메이션만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이기 때문에 좀 빠르다. 이 정도로만 해도 충분히 깔끔한 에니메이션으로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아마도 두번째 슬라이드에서 그래프 보여주는 방식에 대한 궁금증이 생길 것 같은데, 이거 댑따 야매야. 뭐, 대충 설명하자면, 아래 그림과 같다.

허허허. 이거 완전 야매야. 허허허. 여러분들도 모두 따라서 야매쟁이가 되어보아염.

자, 오늘은 여기까지다. 사실, 이 정도만 알아도 어디 가서 자기 연구결과 발표해서 밥벌어먹고 사는데에는 큰 무리가 없을 정도일 것이다. 다음 시간에는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슬라이드 구성법 part II "실전!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 당신도 야매로 따라하면 마빈만큼 만들 수 있다!"가 포스팅될 예정이다. 다음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구조에서 같이 공부한 논문을 가지고 실제로 프리젠테이션을 만들어 보자. 


①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 개괄

②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③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슬라이드 구성법 part I - 디자인적인 고찰

④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슬라이드 구성법 part II - 실전! 프리젠테이션! 

⑤ 발표를 잘 하자. 아주 잘. 



이 포스팅이 손이 은근히 많이 가네요. 하나 하나 프리젠테이션 만드려니 아주 힘들군요. 사실 이 포스팅까지는 서론에 불과해요. 아, 그리고 이번 포스팅은 헐벗은 여인의 사진이 나와있어서 여성분들 및 성적소수자분들의 심기를 건드릴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혹시 불편한 분들은 수고스러우시겠지만,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사람으로 뇌내 보정해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호불호에 따라, 원빈이나 장동건, 현빈 등으로 보정하시면 될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지진희를 추천드립니다. 아, 홍석천도 추천드려요. 제 멋대로 모델로 사용한 시노자키 아이 (篠崎 愛)는 아주 매력적인 일본 가수입니다. 아이(愛)는 사랑입니다. 한국 문화에도 아주 관심이 많아서, 트위터를 보면 한식을 먹으러도 자주 다니나봐요. 아. 그러보니 모 커뮤니티에서 아이랑 같이 사진찍은 사람있던데..임ㄴㅎ이ㅓㄴ몲너ㅚ런뫄ㅓ농류ㅜㅍ츄ㅜㅁㄹㅇㄴ 겁나 부럽군요. 부러워서 아주 ㅁㅎ와ㅓㅁㄴ뢰만어ㅗ러ㅏ민ㅇ로ㅓㅏㅁ늉피ㅏㅓㅁ 휴우. 여하튼 아주 무럭 무럭 자라고 있는 J-pop계의 유망주입니다. 이 처자의 성장과정은 다음에서 관찰하실 수 있습니다. http://goo.gl/UqXQM3 






자, 오늘부터는 단락의 구성에 대해서 같이 살펴보자. 단락의 구성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① 단락의 구성

ⓐ 주제문과 뒷받침문: 우선 조망한 뒤에 세부적으로 들어가라. 

ⓑ 단락구성의 일반적인 형식들

ⓒ 단락구성의 흔한 형식들

② 연속성

ⓐ 핵심용어를 반복하라.

ⓑ 핵심용어를 통해 특수용어와 범주형용어를 연결하라.

ⓒ 연결어휘와 연결구, 연결절의 사용

ⓓ 순서를 일관되게 유지하라.

ⓔ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라.

ⓕ 대비되는 개념에는 대구법

ⓖ 단락의 소주제를 미리 알려라.

③ 중요한 점을 강조하라.

ⓐ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날려버려라.

ⓑ 중요한 정보는 중요한 위치에, 토 나올 정도로 반복해서 강조하라.

문장은 논문에서 사고의 최소단위이다. 이러한 문장들을 모아서 만든 단락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이야기를 말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독자는 내용을 이해하건 못 하건 단락 속의 메시지를 인식하고 단락의 이야기를 따라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락이 하나의 명쾌한 이야기를 담는 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락 속의 개념들간 짜임새가 있어야 하며,

연속성, 즉, 개념관의 관계가 명료해야 하고,

중요한 개념이 부각되어야 한다.

자.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

MDphD 블로그는 여러분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① 단락의 구성

ⓐ 주제문과 뒷받침문: 우선 조망한 후에 세부적으로 들어가라.

단락이란, 한 가지 주제에 대한 여러 문장의 집합이다. 앞서 설명했듯, 단락의 목적은 하나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 메시지가 도출되기 까지의 근거를 독자에게 분명하게 보여주는데 있다. 이를 위한 일반적이고 가장 보편타당한 접근 방법은 전체에 대한 조망을 제시한 뒤, 세부적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일부 논문에서는 정반대의 접근법, 즉 세부사항을 먼저 제시한 뒤 이들의 의미를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략은 이야기를 잘 구성하는 저자의 경우 대단히 효과적으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방법이지만, 숙련되지 못한 저자의 경우는 세부사항에 파묻혀 주제를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유발한다. 답은 간단하다. 우선, 조망한 후에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된다.

단락에서 전통적으로 조망을 제시하는 방법은 주제문을 활용하는 것이다. 주제문이란, 단락의 주제나 메시지에 관해 기술하는 문장을 말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핵심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There are three different theories put foward of the very slow relaxation of catch muscles of molluscs. B One theory holds that catch is due to some unusual property of myosin in these muscles that produces a slow rate of detachment. B1 In this theory, paramyosin would have no special role beyond that of providing the long scaffolding on which the myosin is positioned as well as the mechanical strenght for the large tensions developed. C The second theory holds that tension is developed by actin-myosin interaction but is maintained by paramyosin interactions. C1 Because the thick filaments are of limited length, interaction would have to occur through fusion of thick filaments. D A third theory, to which I subscribe, pictures a structural chane in the paramysin core affecting the rate of breaking of myosin-actin links at the filament surface.

이 문장의 주제문은 문장A이다. 여기에서 단락의 전체를 조망하는 형식의 주제문을 사용하고 있다. 이 단락에서는 세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제시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처럼 주제문은 문장의 첫 머리에 오거나 문장의 마지막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문이 가지는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주제문의 길이는 짧고 단순할 수록 명료해진다.

주제문의 수와 위치 

주제문은 대게 단락의 첫 부분 내지는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다.

하지만, 단락에는 하나 이상의 주제문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다양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다.


ⓑ 단락구성의 일반적인 형식들

이 문장의 구조를 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A문장은 전체를 조망하면서 세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고, B문장은 세가지 가설 중 첫 번째 가설을 설명한다. B1문장은 이러한 첫번째 가설에 대한 보충설명이다. C문장은 두번째 가설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으며, C1문장은 두번째 가설에 대한 보충설명이다. 그리고 D문장은 세번째 가설로, 저자가 자세히 설명하려는 바로 그 가설이다. 이 단락은 바로 D문장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이며, 단락의 주제문은 첫 문장인 A에 다 들어있다. 이 단락의 구조를 그려보자면 다음과 같다.

이처럼 위의 예시 단락은 아주 잘 짜여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나열식 구조에서 각 이론의 나열은 무작위적인 순서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이는 중요하지 않은 것부터 가장 중요한 것의 순서로 세부사항을 나열함으로써 단락의 조직화를 꾀하고 있다. 즉, 저자가 받아들이지 않는 두 가지 이론부터 설명하고, 단락의 마지막 문장D에 자신이 주장하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가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는 각각 뒷받침 문장 B1과 C1에 제시되어 있다. 이 단락을 읽고 나면 다음 단락을 대충 예상할 수 있다. 저자는 아마도 자신이 주장하는 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고 싶어할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이 다음 단락이 될 것이다.

이와는 정반대의 접근법으로 단락을 구성하는 방식도 있다. 즉, 가장 중요한 사실에서 시작해서 중요하지 않은 사실로 진행하는 형식 역시 흔한 조직 유형 중 하나에 속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To access the distribution, size, and shape of gaglion cell bodies in the tracheal neural plexus, we examined individual cell bodies in their entirely with a compound light microscope. B For the assessment of distribution, first each ganglion cell body that was stained by the acetylcholinesterase reaction product or that was bordered by acetylcholinesterase-positive ganglion cell bodie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location in the tracheal neural plexus. C For the assessment of the size and shape of each ganglion cell body, the major and minor axis of the cell body were measured with a calibrated reticle in the eyepiece of the microscope. C1 Mean caliper diameter was calculated by the formula for a prolate ellipsoid of rotation as previously described.

이 예문은 한 논문의 방법 섹션의 일부분이다. 이 단락의 주제문은 문장A이다. 즉, tracheal neural plexus에 있는 ganglion cell bodies의 분포와 크기, 모양을 어떻게 평가했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이 주제문 문장A를 뒷받침하기 위해, 문장 B,C,C1가 설명을 하고 있는 모양새이다.

이 단락은 주제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나열식으로 짜여져 있는 구조이며, 중요한 순서부터 중요하지 않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지지 및 부정의 형식으로 짜여져 있는 단락의 구성도 존재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Pulmonary nerve endings were relatviely insensitive to phenyl diguanide. B1 Of 25 pulmonary nerve endings tested, only 10 were stimulated when this drug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and in only one of these did firing exceed 2.2 impulses/s. B2 If the latter ending is excluded, the average peak frequency of the endings stimulated was only 1.7 impulses/s. C1 The exception, which fired with an average frequency of 17.4 impulses/s at the peak of the response, was encountered in the only dog in which right atrial injection of phenyl diguanide evoked reflex bradycardia within the pulmonary circulation time. C2 Moreover, in this dog arterial pressure fell, whereas in all other dogs it rose, but only after sufficient time had elapsed for the drug to reach the systemic circulation.

자. 이 단락의 경우는 한 논문의 결과란에서 발췌된 것이며, 주제문은 문장 A로 pulmonary nerve ending이 phenyl diguanide에 대해서 insensitive하다는 것이다. 이 문장에 대한 뒷받침문으로는 B1, B2문장이 있다. 이 문장들은 테스트한 25개의 nerve ending들 중 10개가 자극되었고, peak frequency 역시 낮다는 것으로 문장 A를 뒷받침한다. 이 문장들의 뒤에 위치하는 문장 C1,C2는 B1,B2와는 상충되는 결과를 기술하고 있다. 결과들 중 예외적인 결과를 보인 것들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으면서, 주장 A에 대한 상충되는 증거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충되는 결과에서 사용된 실험동물이 전형적이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주장 A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상충되는 증거보다 더 비중이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즉, 이 단락의 조직 유형은 지지 및 부정 (pro-con)의 형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형식은 대체로 주제문의 메시지를 뒷받침하는 증거이를 부정하는 증거를 제시한다. 지지 및 부정 형식에서 지지하는 증거와 부정하는 증거 중 어느 것이 먼저 제시되어도 큰 상관은 없으나, 대체적으로 어떤 점을 강조하려 하는가와 제시할 증거의 질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 문장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이와 비슷한 형식으로는 모두 지지하거나 모두 부정하는 형식도 당연히 존재한다. 다음의 예를 같이 살펴보자.

A Like Karoum et al., we estimated the half-life of ganglionic dopamine to be considerably less than 1 h, which indicates a very rapid rate of turnover. B Although measures of total dopamine turnover cannot distinguish between the rates of turnover associated with SIF cells and principal neurons, from our results wer suspect that this rapid rate of turnover is accounted for primarily by precursor dopamine in principal neurons. C We based this suspicion on our finding that within 1 h after injection of the synthesis inhibitor alpha-MT, and 40 min after injection of the synthesis inhibitor NSD-1015, the ganglionic dopamine content had dropped by about 60%, leaving some 7 pmol of dopamine that was resistant to further significant depletion for at least 3 h. D To interpret these data, we used Koslow's finding that approximately 40% of the dopamine in the rat superior cervival ganglion is stored in SIF cells. E Applying this figure to our measure of ganglionic dopamine (18 pmol/ganglion) would mean that about 7 pmol of dopamin is contained in SIF cells. F Therefore, we speculate that the 7 pmol of dopamine remaining 1 h after synthesis was inhibited represents SIF cell dopmaine that is slowly turning over, whereas the 60% that is rapidly depleted represents precursor dopamine in principal neurons that is rapidly turning over. G This notion is consistent with reports which have shown that SIF cell catecholamine have a very slow turnover in the rat superior cervical ganglion.

이 단락은 두 개의 주제문을 가지고 있다. 문장 A와 B가 바로 주제문인데, 첫번째 주제문인 문장 A는 ganglionic dopamine turnover가 매우 빠르다는 것이고, 두번째 주제문인 문장B는 이렇게 빠른 turnover가 일어나는 것이 principal neuron의 precursor dopamine의 빠른 turnover 때문일 것이라는 메시지이다. 문장 C-E는 문장 B를 뒷받침하는 문장들이며, 문장 F에서 A-E에서의 근거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주장을 하고 있다. 그리고 문장 G는 문장 F에 대한 또다른 근거이다. 즉, 이 예문의 단락은 주제문을 지지하는 문장들로만 구성된 지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장의 구조는 다음의 그림과 같다.

ⓒ 단락조직의 흔한 유형들

이처럼 단락이 구성되는 방식의 흔한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1. 나열식 구조형

중요한 사실에서 중요하지 않은 사실로 나열식의 경우 중요한 사실>중요하지 않은 사실 순서로 나열한다.

중요하지 않은 사실에서 중요한 사실로 나열식의 경우 중요하지 않은 사실>중요한 사실 순서로 나열한다.

주제문에 언급된 순서대로 나열하면서 주제문에서 언급한 순서대로 차근차근 나열하는 형식이다. 

 

2. 지지 및 부정형

지지 및 부정형 주제문에서 대한 지지문장과 부정문장을 동시에 제시한다.

지지형 주제문에서 대한 근거가 되는 지지문장으로만 구성한다.

부정형 주제문에서 대한 근거가 되는 부정문장으로만 구성한다.

 

3. 연대기형

연대기형 시간대별, 시대별로 나열한다. 주로 리뷰 아티클에서 사용한다.

 

4. 유기적 구성형

깔대기형 큰 범주의 주제에서 작은 범주의 주제로 차근 차근 좁혀들어가는 형식이다.

 문제제기-해결형 결과 파트에서 주로 사용한다.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해결-문제제기형 담론 파트에서 주로 사용한다. 본문에서 실험결과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제기하는 형식이다.

자, 오늘 우리는 단락이 어떤 식으로 구성되는지에 대해서 같이 살펴보았다. 문장은 사고의 최소단위이고, 단락이란 한가지 주제에 대한 여러 문장의 집합이다. 이러한 단락은 기본적으로 한가지 이야기만을 해야한다. 다음 시간부터는 이러한 단락의 유기적인 연결을 위해 문장과 문장간 생각의 흐름을 매끈하게 진행하는 방법인 연속성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보자.

 

아. 그리고 이 글들은 Mimi Zeiger의 essentials for writing biomedical research papers를 주된 교재로 작성 중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사실, 이 책의 한글판이 절판되어 버린지라 이렇게 글까지 쓰게 되었습니다. 절판 안 되었으면 사실 책 소개만 하고 땡인데. 헐. 일이 겁나 많어. 사실 이 글은 이번 설날에 썼습니다. 설날에 전 부치고 이래 저래 일만 하다가 보니 아주 힘들어요. 아직 장가를 안 가서 그런지 나는 전부치는 기계에 불과하지. 빨리 장가가야하는데, 돈이 없어요. 그래서 이 글이라도 잘 써서 돈을 벌까 했는데, 이건 사실 책을 잘 정리하는 거에 불과하잖아. 책으로 쓸라면 예문부터 싸그리 바꿔야 하는데 할 일이 많다. 그런데, 이걸로 책을 만들어도 유니세프에 기부해야지. 여러분들, 세상에는 아직도 배곯고 있는 많은 아이들이 있습니다. 이 아이들에게 희망이 되는 건 우리의 작은 관심이에요. unicef.or.kr에 가시면 기부를 할 수 있습니다. 저처럼 기부는 쫌...하시는 분들은 유니세프shop에서 물품을 구매하세요. 이번 설날에는 유니세프 연하장을 사서 지인들에게 보냈는데 생각보다 반응이 좋아요. 아니면 후드도 괜찮고. 물품의 퀄리티 아주 좋습니다. 사랑의 열매에 기부할까 했었는데, 얘네들 저번에 기부금으로 룸싸롱 갔대메. 망할놈들. 그래서 전 유니세프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배곯는 아이들이 많은데! 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원하시는 어느 곳에든지 기부하시면 됩니다. 우리 모두 서로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이라고 생각해요.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두번째 시간 -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오늘도 어김없이 약을 팔러 왔다. 오늘 같이 살펴볼 내용은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을 어떤 구조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거창하게 말하기는 했지만, 사실 크게 설명할 부분이 없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는 논문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은 논문과 동일한 구조로 만들면 된다. 

끝.

다음시간에 만나요~

날로먹은 포스팅. 데헷~♥








...라고 쓰면, G1에게 혼나겠지? 여러분들 이 블로그의 주인장인 G1은 되게 무섭습니다. 호랑이같이 무서워요. 근데 곰돌이 푸우 닮은건 함정ㅋ

자, 다 아는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찬찬히 같이 공부해 보자. 


1. 발표를 준비하기 전, 발표 시간과 대상을 확실하게 정해라 

이건 정말 발표의 기본이다. 과학연구결과를 프리젠테이션 하는 기간은 대게 20분, 30분 정도이다. 20분 발표의 경우 15분 발표+5분 토의, 30분 발표의 경우는 20~25분 발표+5~10분 토의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흔히들 20분 발표라고 하면, 20분 내내 자신이 발표해야 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들이 많은데, 발표시간은 15분을 엄격하게 지키는 것이 좋다. 30분 발표에서도 20~25분 내로 정확하게 시간을 지켜야만 한다. 그래야 학회 일정 등이 꼬이지 않게 되고, 뒤 발표자의 시간을 까먹는 무례를 범하지 않게 된다. 이거 정말 중요하다. 

시간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당연히도,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의 대상은 같은 동료 과학자들이 되겠지만, 한 가지 신경을 좀 써야 하는 부분은 대상 중 대학원생의 비율이 어느 정도 되는가이다. 청중 중 대다수가 대학원생이라면, 연구배경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더 자세히 해줘야 한다. 다시 한 번 강조하자. 

시간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뒤에서도 이야기 하겠지만, 시간이 촉박하게 될 경우 정작 중요한 discussion 부분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 발표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해서 설명해라.

앞선 시간에서 이야기 했지만, 과학연구 프리젠테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점"Take home message"이다. 가장 좋은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은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정도의 포인트를 분명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사실 수년간 열심히 연구한 결과를 15분이나 20분 내에 모두 설명하는 것은 넌센스에 가깝다. 그래프 하나 하나에 들어간 노력과 땀. 그리고 그 결과를 내기 위해 해왔던 그 모든 뻘짓을 하나 하나 설명하는 데에는 터무니 없이 모자라는 시간이다. 과감하게 잘라내고, 하나의 메시지에 집중해서 발표해야 한다. 

이 과정은 각각의 발표에 따라, 발표자의 의도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많은 조합으로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사실 조언을 해주기가 어려운 부분이다. 다만, 당신의 발표를 한 두 문장으로, 대게는 25개 단어 안쪽으로 구성해야만 한다. 즉, 당신이 이 "Take home message"를 발표하고 난 뒤에, 청중들이 흥미를 보이면서 "재미있네. 어떻게 연구한거지?"라고 궁금해하는 상황이 연출 되어야 한다. 


3.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자, 중요한 두 가지 사항 (발표시간/대상 및 발표의 take home message)을 숙지했다면, 이제부터는 프리젠테이션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프리젠테이션의 구조는 Introduction-Methods-Results-Discussion-Acknowledgment로 논문의 순서와 동일하다. 이제부터는 예를 들어서 프리젠테이션의 뼈대를 작성해보자. 예가 되는 논문은 2004년 science에 발표된 zychlinsky의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kill bacteria"이다. 이 논문 딥따 멋지다. (http://www.ncbi.nlm.nih.gov/pubmed/15001782) 아 놔. 내가 이 논문만 안 읽었어도, 기초 때려치고 임상 갔을텐데 


① Introduction 

밑밥을 까는 단계이다. 이 부분에서는 연구의 배경을 설명하고, 연구의 가설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 서론 부분에서 범하는 가장 큰 실수를 지적하자면, 너무 길고 자세한 introduction일 것이다.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의 대상은 같은 과학자들이기 때문에 배경지식을 너무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물론, 과학의 분야가 넓어지면서 전공분야가 아닌 분야에 대해서는 알기란 쉽지 않기는 하지만, 이 바닥이 다 거기서 거기지 뭐. 대충 듣다보면 이해하고, 이해 못하면 자기 머리를 탓하게 마련이라, 배경지식을 너무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점은 발표를 하게 된 연구결과의 배경, 즉 알려지지 않은 사실질문/가설의 도출이다. 

자, 우리가 introduction에서 밑밥을 까는 방식은 알려진 사실>알려지지 않은 사실>질문의 도출이다. 소위 깔대기형 구조이다. 예를 들기 위해 위 논문의 introduction을 이용해서 프리젠테이션을 구성해보자. 

In response to inflammatory stimuli, neutrophils migrate from the circulating blood to infected tissues, where they efficiently bind, engulf, and inactivate bacteria. Phagocytosed bacteria are killed rapidly by proteolytic enzymes, antimicrobial protein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Neutrophils also degranulate, releasing antimicrobial factors into the extracellular medium. Here, we show that neutrophils generate extracellular fibers, or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NETs), which are structures composed of granule and nuclear constituents that disarm and kill bacteria extracellularly.

Brinkmann V, Reichard U, Goosmann C, Fauler B, Uhlemann Y, Weiss DS, et al.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kill bacteria. Science. 2004;303:1532–5. 

한 논문의 introduction 부분이다. Letter 정도의 짧은 논문이기 때문에 굉장히 짧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에서 introduction을 설명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먼저 호중구(neutrophil)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고, 현재까지 알려진 호중구의 식균작용(bactericidal activity)가 어떤 것들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proteolytic enzyme, antimicrobial proteins, reactive oxygen species) 그리고 질문의 도출이 따라오게 된다. 호중구는 degranulation을 하고 antimicrobial factor를 extracellular medium으로 release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드디어 연구를 한 줄로 요약하는 문장이 드러나게 된다. 이를 만일 프리젠테이션으로 구성한다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①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

염증반응에서 호중구의 역할

- 호중구의 식균작용; phagocytosis 이후 다음과 같은 기전으로 bacteria를 죽인다.

- proteolytic enzyme

- antimicrobial proteins

- reactive oxygen species

②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

- 호중구가 세포밖으로 degranulation하고, antimicrobial factor를 release한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 아 글쎄 내가 전번에 호중구를 자극해봤더니 이게 떡이 되더라구, 근데 그걸 보니깐 DNA prep할 때 끈적한거랑 비슷하던데? 이거 DNA가 떡된거 아니여? 예림이! 그 패 좀 바바. 혹시 DNA여?

③ 질문/가설의 도출

- 호중구가 nuclear component와 antimicrobial protein등이 떡이 되어 있는 끈적 끈적한 거미줄과 같은 fiber를 형성하고 여기에 bacteria를 entrap해서 죽이지 않을까?

자, 위의 예는 논문을 프리젠테이션으로 재구성한 것이라 문제제기/질문로 넘어가는 부분이 약간 무리가 있다. 아마도 "호중구를 자극해봤더니 떡이 되었는데, 그걸 보니깐 DNA prep할 때 끈적한 거랑 비슷하더라." 정도의 근거가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 부분에 추가되면 좋을 것이다. (붉은 글씨 부분)

이처럼 introduction 부분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질문/가설의 도출을 하면 된다.


② Methods

다음으로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설명하면 된다. 물론 논문처럼 세세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고, 개략적인 모습만 설명하면 된다. 간략하게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어떤 어떤 실험들을 했다는 설명만 하면 되는데, 만일 새로운 기술등을 사용한 경우라면 좀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있기는 하다. 위의 논문의 경우라면 다음과 같은 methods 파트를 만들 수 있다.

호중구가 정말로 DNA떡을 fiber처럼 형성하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① 호중구를 자극한 뒤에 TEM, SEM 등 전자현미경으로 눈으로 봤고,

② 면역형광염색을 해서, 이게 정말 DNA component랑 antimicrobial protein 떡 인지를 확인해 봤고, 

③ 실제 염증성질환 환자 샘플에서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해 봤지롱

Methods 부분은 아주 짧게 설명하면 된다. 잘 이해하지 못한 청중들의 경우 나중에 질의응답시간에 물어올꺼다.


③ Results

여기가 프리젠테이션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다. 본인의 연구 결과를 마음껏 뽐내면 된다. 그래프, 테이블, 통계 자료 등을 이용해서 자신의 결과를 마음껏 어필하자. 다만, 결과의 과정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짧고 명료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해야 하는 부분이다. 아마 다음 시간에 같이 공부할 프리젠테이션의 실전 작성법은 이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게 될 것 같다. 자신의 매력을 마음껏 뽐내 보세요. 

Results 부분의 패기는 이 정도는 되어야지. 다들 힘내서 연구합시다. 카미나는 멋집니다. 물론 요코도!


④ Discussion

Discussion 파트는 자주 발표에서 지나쳐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 부분이다. 그 이유는 당연히도 시간이 모자라서. 앞에서 강조해서 말한 시간을 준수하라는 이야기는 결국 discussion 부분을 보다 충실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사실 이 부분이야말로 발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모자라는 시간 때문에 스킵하게 되는 경우가 아주 흔하다. 절대로 이런 일이 일어나게 두지 말아라. Discussion 부분에서는 연구를 요약하고 발표를 마무리지어야 한다. 하지만, 이 부분에서 특히 강조해야 하는 점들은 당신의 연구가 왜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큰 그림에서 당신의 연구가 어떤 면과 연관되어 있는지 생명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특히, 질환의 병태생리, 질환의 치료 부분에 있어서 당신의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어떤 것 인지를 설명해야 한다. 그리고 아주 아주 중요한 "Take home message"를 제시해야 한다. 연구를 한 문장으로 요약해서 제시함으로써 잠에서 막 깬 청중들이 한 가지 메시지만이라도 건져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자, 위에서 예를 든 논문의 discussion 부분을 살펴보자.

NETs disarm pathogens with proteases such as neutrophil elastase. NETs also kill bacteria efficiently, and at least one of the NET components, histones, exerts antimicrobial activity at surprisingly low concentrations. These data correlate with previous findings showing that neutrophil degranulation releases antimicrobial factors extracellularly and the observation that inflammatory exudates rich in neutrophils, like pus, contain DNA, which was not known to play an active role in antimicrobial defense. Also, these data are in accord with recent findings proposing that oxygen-independent mechanism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infections. The data presented here indicate that granule proteins and chromatin together form an extracellular structure that amplifies the effectiveness of its antimicrobial substances by ensuring a high local concentration. NETs degrade virulence factors and/or kill bacteria even before the microorganisms are engulfed by neutrophils. In addition to their antimicrobial properties, NETs may serve as a physical barrier that prevents further spread of bacteria. Moreover, sequestering the granule proteins into NETs may keep potentially noxious proteins like proteases from diffusing away and inducing damage in tissue adjacent to the site of inflammation. NETs might also have a deleterious effect on the host, because the exposure of extracellular histone complexes could play a role during the development of autoimmune diseases like lupus erythematosus.

 Brinkmann V, Reichard U, Goosmann C, Fauler B, Uhlemann Y, Weiss DS, et al.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kill bacteria. Science. 2004;303:1532–5. 

위 논문의 Take home message는 "neutrophil이 DNA, histone, antimicrobial protein 등으로 떡이 된 fiber같은 걸 release하고, 이걸로 bacteria를 잡아서 죽이더라. 난 이걸 NETs로 부를꺼얌"일 것이다. 위의 discussion 부분에서는 연구를 요약하고, 그 임상적인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physical barrier로 작용할 수 있어 bacteria의 spreading을 억제하면서 potentially noxious한 protein이 퍼져나가는 것을 막아 tissue damage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SLE와 같은 autoimmune disease에서 작용할 가능성) 이를 가지고 프리젠테이션 개요를 짜면 다음과 같이 작성될 수 있을 것이다.

① 결과의 요약

② 강조점 - 의과학적인 의미에서

③ 강조점 - 임상적인 의미에서

④ Take home message 용사여! 잠에서 깨어나세요. 


⑤ Acknowledgment[각주:1] 

자기 자랑 시간이다. 여기에서는 실험의 authorship에 대해서 자랑해도 되고, 연구비 많이 딴 걸 자랑해도 되고, 득남/득녀 사진 자랑을 해도 되고, co-work한 걸 자랑하면서 자기 인맥 자랑해도 된다. 물론, 발표 시간이 모자라면 그냥 스킵해도 괜찮은 부분이기도 하고. 뭐 여긴 대충 막 만들어도 된다. 욕만 안 쓰면 되지 뭐. 

뭐 애크놀리지먼트는 대충 이런 느낌적인 느낌이야~ Boy♂~


4. 라이트 테이블 구조로 본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자, 발표시간 20분이라는 가정으로 위의 내용을 프리젠테이션으로 만들어 보자. 보통 한 장 당 발표시간은 1분 안쪽이기 때문에 순수한 발표시간이 15분일 경우 15장~30장 내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뭐, 장수에 연연할 필요는 없지만 대충 이 정도(장당 1분 이하)를 기준으로 발표 슬라이드를 구성해보자. 






뭐 이 정도면 대충 17~18장 정도로 구성할 수 있을 것 같다. 인트로덕션 5장, 메소드 1장, 리절트 7장, 디스커션 2장, 애크놀리지먼트 1장. 다음 시간부터는 이 논문을 토대로 실전 프리젠테이션을 구성해보자. 이게 포스팅 하나로 끝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최대한 노력해서 같이 공부해보자. 


①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 개괄

②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③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슬라이드 구성법

④ 발표를 잘 하자. 아주 잘. 


나 논문 리비전 해야 하는데, 이 포스팅 쓰고 앉아 있다. 헝헝헝. 논문쓰기 싫어 헝헝헝. 아. 그리고 제가 사실 이런 포스팅들을 쓰게 된 계기는secret lab of mad scientist 블로그에서 "논문 읽어주는 남자"를 읽고 난 뒤 깊은 감명을 받아서 학생등과 연구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이 짓거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실험실의 목표를 "세계정복과 불로장생"으로 정하게 된 것도 이 분 덕분이구요. 이분, 덕심이 넘치시는 신사이실 것 같습니다. OOdduks maketh man. 지금은 비록 세계정복 과정에서 제가 후발주자로 경쟁 관계에 있지만, 개인적으로 존경하는 분입니다. 상도의상 제 포스팅의 타겟은 석박사과정~포닥으로 잡고 있어요. 그 이상은 안 넘봐야죠나중에 봐서 이 분이 세계정복을 할 것 같으면 잽싸게 부하1로 들어가야지~ 저는 양산형 좋아합니다. 자쿠, 짐, 스톰트루퍼스 이런 게 건담보다 더 좋아요





  1. Acknowledgment, acknowledgement 모두 올바른 스펠링입니다.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