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PHD
-
의대생~ 과연 군대는 어떻게 해결할까? 군의관이 최선인가?MD : Doctor/Medical Student 2012. 10. 26. 05:31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군문제에 대해서 한번은 고민합니다. 1991.1.3 동티모르-의료진료 by 대한민국 국군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저역시 그러했었고, 저는 고민 끝에 연구를 하면서 복무할 수 있는 전문연구요원으로 현재 복무 중에 있습니다. 사실 저 역시 의과대학에 들어올 때, 군대 문제에 대해서는 어련히 "군의관으로 가면 되지 뭐" 하는 단순한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예과 시절에 공보의라는 제도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본과 2학년 때는 군의관도 중위 군의관이랑, 대위 군의관이랑으로 나누어 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본과 4학년 때는 전문 연구 요원 제도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해외 봉사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졸업 후 공보의를 선택할 ..
-
KBS 열린 토론 노벨상 편에 청취자 의견으로 방송 출연 ^^ 그리고 소소한 방송 사고 까지Science 생각들 2012. 10. 18. 06:00
개인적으로 TV보다는 라디오를 좋아하고, 그 중 KBS 열린 토론을 즐겨 듣는 편이긴 합니다. 월요일에 하는 정치 부분은 소모적인 것이 생각보다 많아서 잘 듣지는 않지만, 그 외의 것들은 상식을 풍부하게 해주는 재미가 있어서 퇴근 시간과 맞물린다면 거의 대부분 차 안에서 듣습니다. 우연하게도 이번 열린 토론 주제가 노벨상이더군요. 개인적으로 노벨상에 대한 글도 포스팅했던 지라, 관심있게 듣는데, 갑자기 애청자 의견을 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 무슨 생각으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도 모르게 수화기를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여자분이 전화를 받으시더군요. 비교적 지친 기색으로 의견 말해주세요 해서.. 마치 녹음기(삐삐 시절 음성 녹음하듯이)에 저장하듯 여러 의견을 말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여자분이 ..
-
NAS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 2Ph.D : Medical Scientist/NAS_컴퓨터 2012. 10. 10. 13:34
5. NAS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 2 한동안 편도선염으로 앓았습니다. 고열에 근육통(사실 근육통이 왜 왔는지 도대체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너무 시달리다가 결국 일요일에 열이 39.0'C가 되어서.... 올리고 해서 응급실에 가서 주사 몆 방 맞고, 링겔 맞고 정신 차렸습니다 다시는 안 아프고 싶은데 말처럼 쉽지 않겠죠? ^-^ 심각히 편도절제를 고려 중입니다. ^^ 지난 번에 이어 NAS로 할 수 있는 일을 이야기 해보도록 하죠. 네번째는 다운로드 서비스 용도입니다. 이거 예전에 말한 파일 업-다운이랑 뭐가 다르냐 하실 수 있겠습니다만... 이번에는 NAS의 입장이 서버가 아니라, 클라이언트 입장입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다운로드 전용 머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걸 설명하려면 토렌트..
-
우리나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등 나스 대용 가능한 서비스를 대하는 자세.Ph.D : Medical Scientist/NAS_컴퓨터 2012. 10. 8. 13:26
3. 우리나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등 나스 대용 가능한 서비스를 대하는 자세. 실제 전 NAS로 기대이상의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번에도 말씀 드렸지만, 왠만한 작업은 NAS에서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의 인터넷 환경 변화를 보면 NAS가 가진 장점도 분명히 있지만, 상용 서비스나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쓰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트러블 슈팅을 하는데 배워야 하고 거쳐야 할 과정들이 많아 졌습니다. 물론 예전보다 각 NAS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나 서비스 환경이 사용자 중심으로 편리하게 제공되는 것이 사실이긴 하지만, 문제가 생기면 조금 답답한 것이 사실입니다. 일단 비용면에서 살펴 보죠. 많은 용량과 안정적인 데이터 보호를 위한 RAID구성을 한 NA..
-
NAS trouble shooting에 들어가기 전 마음가짐Ph.D : Medical Scientist/NAS_컴퓨터 2012. 10. 4. 09:23
2. NAS trouble shooting에 들어가기 전 마음가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을. 특히 설정하는 것... 하지만, 제가 해보니깐, 생각보다 쉽지 않고, 빡셉니다. 처음에 사고 나서 설정하는 대로 딱 되면 뭐 이런 쉬운 게 있어 하겠지만, 정말 이건 초보자의 운 같은 것이고(저 역시 초보자의 운이 있었죠) NAS 특성상 문제 안 생기는 경우는... 제 주변을 보면, 거의 없었습니다. 무슨 문제든 꼭 생깁니다. 사소한 인터넷 회선 교환 문제부터 시작해서, 포트, 외부 접속, 파일 공유,시스템 업그레이드, 하드 교체 등... 생각보다 많은 문제들이 발생했고, 앞으로도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생각을 일단 해 두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문제들은 해결..
-
상큼한 오렌지 쥬스 의과학자 (MD-PhD) 이야기 OJIntroduction 2012. 9. 14. 00:32
안녕하세요 저는 Mdphd.kr의 주인장 FineQ_OJ라고 합니다. 이렇게 저의 블로그를 찾아 와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부터 전하겠습니다. 이 블로그는 "상큼한 오렌지 쥬스 의과학자 (MD-PhD) 이야기 OJ"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의과학자 블로그입니다. 의과학자라는 용어가 비교적 생소하기도 하지만, 이렇게라도 블로그를 통해 소개를 할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예전에는 의대를 졸업하면 대부분 진료를 보는 "임상 의사"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가적으로도 의학을 HT(Health Technology)라고 하고 신성장 동력으로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HT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직종이 바로 의과학자(Medical Scientist)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의학이라..
-
의대는 과연 몇 년 과정일까?MD : Doctor/Medical Student 2007. 12. 15. 00:00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의대는 의과 대학의 약자입니다. 근데 이 의과 대학이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현재 2원화 되었지요. 말이 어렵지만, 쉽게 생각하면, 의학전문대학원 체제와 의과 대학 체제입니다. 두 개의 차이는 추후에 이야기 하도록 하고, 일단 몇 년 과정인지에 대해 알아 봅시다. 대한민국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 과정이나, 의대 과정을 졸업한 자 혹은 졸업 예정자에 한해서 의사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을 줍니다. 그리고 그 자격을 획득한 후 국가 고시를 쳐야 비로소 의사(소위 말하는 GP)가 됩니다. 따라서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일단 의대나 의전원을 졸업해야 겠죠. 일단 의대의 경우에는 학부를 마치는 과정으로 6년이 걸립니다. 일단 졸업하는 동안 휴학(폴)을 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요. ..
-
의사가 이야기하는 의대생 이야기MD : Doctor/Medical Student 2007. 12. 14. 22:33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FineQ_OJ" 입니다. 이 블로그 이름은 " 상큼한 레몬 쥬스 의과학자(MD-PhD) 이야기" 입니다. 사실 의대생이라는 존재는 주위에 흔하디 흔하지만, 그 생활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막연히 "바쁘다" 더라, "해부가 징그럽다" 더라 하는 소위 말하는 "카더라 통신"이 대다수 입니다. 물론 의대생 친구들을 둔 사람들에게는 다른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의대생 끼리는 그 집단의 폐쇄성으로 인해 특유의 문화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그런 문화가 각 학교마다 있을 것입니다. 고등학교를 지나고 대학생이 되면서 얻게 되는 자유라는 것도 의대생에게는 6년 동안 마치 같은 반으로 지내는 고딩 생활로 대치됩니다. 6년 동안 같이 지내는, 그리고 대부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