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학
-
힘들지만 즐거웠던 나의 본과 1학년.MD : Doctor/Medical Student 2015. 2. 21. 05:27
2014년 4월, 우여곡절 많았고 길기도 길었던 6년의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턴을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의사의 길을 걷기 시작한 다른 동기들과는 달리 생리학이라는 학문을 더 깊게 공부하며 평생 학문의 길을 걷기로 한지 벌써 두 달째가 되었습니다. 생리학 교실의 조교로서 본과 1학년 학생들을 실습과 수업시간에 자주 마주치게 되니 2010년의 제 본과 1학년 때가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예과 때 동아리 행사나 동문회 행사등을 통해 만난 본과 선배님들은 항상 저희를 겁주셨었습니다. 본과 생활은 '상상 그 이상' 일 것이라고. 해부할 때 계속 맡게 될 포르말린 냄새가 매우 독하기도 할 뿐더러, 피부, 머리결도 다 망가질테니 그냥 포기하라고. 공부량의 신세계를 맛볼 수 있을 것이라고. 해부학으로 본과 1학년을 처음..
-
맞춤 의료는 어떻게 가능할까? 약동학, 약력학 그리고 약물 유전체학 -Ph.D : Medical Scientist/Medical Research 2014. 6. 6. 02:07
10년 전 의과대학 1학년 시절 배웠던 약리학을 지금 전공하고 있는 입장에서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배경 지식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 어렵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그런 경우 질문을 남겨 주시면 답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약리학이란 이름 그대로 풀이하자면 약의 이론에 대해서 공부하는 학문이다. 약이 인체 내부로 들어온 이후 발생하는 모든 변화에 대해서 탐구하는 일이 약리학 전공 연구자가 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약리학에는 더 세분화된 많은 분야가 있지만 약리학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약리학을 세 가지의 큰 카테고리로 나누어 보고자 한다. 1)약동학 2)약력학 그리고 3)약물 유전체학이 그 세가지 큰 카테고리이다. 우리가 약을 먹으면 약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반대로 약..
-
교과서를 대하는 자세. Out of Date?MD : Doctor/Medical Student 2013. 9. 20. 22:00
이번에, 포닥을 준비하면서 책정리를 했는데, 다양한 책들이 나왔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책들은 의대 다닐 때 교과서들이구요. 정리를 하면서, "교과서에 대한 글"을 하나 쓰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글을 포스팅합니다. 추가로 최근 책에 대한 문의들이 많이 와서 겸사 겸사 글을 써 봅니다. ^^ 정리하면서 나온 책들 - 기본적으로 대부분 본 1때 쓰는 책들입니다. 어디까지나 이 글은 개인적인 견해를 밝힌 것이고, 후배들이 책에 관해서 물어올 때 마다 대답해 주는 이야기입니다. 학교에서 조교 생활을 하면서 기초에 남아 있다 보니, 주변 동기들 혹은 후배들이 책에 관련한 내용에 대해서 많이 물어 보았기에, 그 내용도 어느 정도 첨가합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책을 아주 좋아합니다. 책이 주는 향기를 특히 좋아해서..
-
제 4차 멘토와 함께하는 신약개발/맞춤의학 캠프 (2013.7.15-19)Ph.D : Medical Scientist/Medical Research 2013. 7. 11. 10:41
안녕하세요. KEROROSW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임상약리학과/약리학교실에서 해마다 이맘때쯤 열리는 연구 캠프를 소개할까 합니다^^ 임상약리학/약리학은 인체와 관련된 약물의 동태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학문 분야이고, 특히 약물과 관련된 임상(임상 시험과 약물 모니터링 및 약물유해반응 관리 등) 및 연구(임상 결과물의 원인 기전을 밝히는)를 모두 수행하고 있답니다. 최근에는 많은 병원들에서 의과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서브인턴 형식으로 임상에 대한 체험을 미리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생으로서 미리 의과학 실험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는,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연구실에서 인턴을 해보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제가 쓴 글을 참고해 보세요 ^^ ..
-
Kerorosw (케로로SW) 이야기 ^^Ph.D : Medical Scientist/People - 의과학자들 2013. 6. 3. 14:15
안녕하세요. MDPhD.kr의 Main editor "오지의 마법사"입니다. 가끔 이메일로 필진들에 대한 문의글이 가끔 오기도 합니다. 개별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대부분 운영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분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기회가 없기도 합니다. 본 블로그의 운영 취지가 "다양한 연구를 하는 의과학자들의 교류 활성화"와 "의과학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시행착오를 줄이자"는 것이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각기 다른 필진들에 대한 소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간략한 프로필 소개는 요기 링크에 있습니다만 ^^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자 합니다. 그래서 연속적으로 필진들에 대한 소개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순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