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생명 과학 분야의 학부 학생들이나 병원의 전공의(레지던트)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자주 듣게 됩니다. 

특정 관심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고 막막합니다.”

저도 현재 의과학자의 길을 가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확실한 정답을 제시할 수는 없겠지만, 제 경험 안에서, 만약, 친동생이 의과학자의 길을 걷는다면이라는 가정에서, 의과학자가 되는 길 혹은 주고 싶은 조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24/7
24/7 by Ilho Song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공부란 무엇일까요? 사전에도 정의되어 있습니다.  학문이나 기술 등을 배우고 익힘” (출처: Daum 국어사전). 그리고 공부에도 수준이 있습니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초등중등고등 교육이 그것이죠하지만 학문적으로 공부보다 높은 수준이 있다면 연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연구와 공부의 차이는 새로운 지식을 밝혀내는가 누군가 이미 발견한 지식을 익히는 이겠지요.

대학원의 고등 교육은 바로 연구를 하기 위한 방법을 배우는 마지막 교육 과정입니다. 그래서 내가 관심 있는 분야 연구를 하고 싶으면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대학원에 진학해서 구체적 연구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학문의 가장 높은 수준인 연구를 스스로 수행할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학부라고 불리는 병아리 시절부터 미리미리 준비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 일단 학부 공부를 열심히 하세요.

여러분이 학부 시절에 배우는 미생물학, 유전학, 화학, 생화학, 생물학 등은 나중에 관련 분야 다른 연구자들과의 소통에 필수적인 기본기입니다. 그리고 2번에 기술한 각종 논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구에 사용되는 terminology (용어)들을 알아야 하는데, 교과서에 배워야할 모든 것들이 나와 있습니다. 연구라는 나라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익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울 같습니다.

  5 tool player라고 불리는 추신수 선수. 야구도 연구도 기본기가 중요합니다.

다분히 EBS의 정답같은 문장이긴 하지만, 어느 분야이든 기본기는 중요합니다. 기본기 없이는 심도 있는 응용력을 연구에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학부 과정을 놓쳤다고 한다면, 최소한 대학원 과정에서 배우는 course work만이라도 심도 있게 공부하길 권장합니다.


2. 관심 분야 논문을 찾아서 읽어보세요.

내가 미래에 연구하고 싶은 나만의 관심 분야에 대한 논문을 검색해서 읽고 공부해 보세요.

논문은 크게 original research article review article 있습니다. Original research article 편의 연구 결과를 적은 논문으로서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논문을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Review article 특정 분야의 수준급 연구자들이 여러 original research article 참고하여 분야에 대한 지식을 정리한 논문입니다. 고수가 하수를 위해 정리한 요약집 같은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논문에 대한 검색은 구글 학술검색과 pubmed 검색을 추천합니다.

구글 학술 검색. 보통 "구글 스칼라"라고 하죠. 개별 인용지수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http://scholar.google.com/

Pubmed !! 논문의 창고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양한 논문이 있죠. http://www.ncbi.nlm.nih.gov/pubmed

처음에 논문 편을 완전히 이해하면서 읽는데, 달 이상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모르는 것을 찾아보고 계속 공부하면서 읽다 보면 나중에는 논문 편을 시간이면 읽을 있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속독으로, 대충 그림만 봐도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있는 수준까지 되기도 합니다. 

평소에 관심 분야 논문을 읽으면, 3번에 기술한 경험하고 싶은 연구실 검색에 도움이 되고 앞으로 내가 관심 분야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어떤 "연구 기법 필요한지,  이 학문 분야의 연구 방향과 최근의 유행  많은 정보를 얻을 있습니다.


3. 관심 분야 연구실을 학부 기간 동안 경험하세요.

학부 1학년부터 관심을 가진다고 가정한다면, 학부 4학년을 마칠 때까지 방학이 7 정도 주어질 것입니다. 동안 방학마다 나의 관심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실을 찾아가서 인턴 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시간이 틈틈이 관심 분야 연구실을 인터넷 검색이나 선배들의 조언 등으로 찾아 놓으십시오. 동일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실들도 각자 세부 연구 분야와 방향, 연구 분위기, 사용 테크닉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개인의 경험 유무가 진로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방학기간 7번 정도면, 우리 나라에서 자신의 관심 분야 유명 연구실 정도는 전부 경험하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구 주제교수님도 중요하지만, 잘 가르쳐 주느냐 아니냐, 

실험실 분위기가 좋으냐 안 좋으냐도 아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검색 및 추천으로 관심 분야 연구실을 찾은 이후에는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들을 미리 읽어보고, 해당 연구실의 책임 교수님께 이메일을 보내서 인턴을 하고 싶다고 허락을 받으시면 됩니다. 학부생이기 때문에 교수님들께 과감하게 메일을 드리는 것을 두려워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기본적인 예의만 갖추어서 메일을 보내면 친절하게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4. 졸업 진학하고 싶은 연구실이 있다면 선택하고 꾸준히 나가세요.

만약 3 과정을 하다가 진학하고 싶은 대학원 연구실이 생긴다면 교수님께 허락을 받고 방학뿐 아니라 학부 기간 중에도 꾸준하게 연구실에 나가보세요. 이런 노력 없이, 나중에 졸업 뜬금없이 지원하는 것보다 대학원 진학 성공률도 높을 아니라, 학부 시절부터 대학원 분위기나 기초 테크닉 등을 익혀 놓으면 시야 넓어지고, 연구의 연속성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현실적으로는 대학원 1학기 시작시 출발점이 다르므로, 대학원 입학 동기들보다 훨씬 앞서 나갈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진학할 대학원 및 내가 앞으로 교수가 되고 싶은 대학을 국내에만 한정시키지 마세요. 외국 대학원도 검색하고 마음에 드는 곳이 있다면 미리 준비해서 졸업 이후에 도전해 보세요. 요새는 재정적인 문제로 혹은 실험실 수준의 문제로 무작정 해외에 나가는 것이 항상 좋다고 말할 수 없지만, 자신의 분야에서 글로벌하게 성장하고 싶다면, 해외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만, 남자라면 군문제가 해결되어야 하겠죠.


이상이 동생이 의과학자의 길을 걷는다면 이라는 가정에서 시작한, 의과학자 진로 조언입니다. 실제로 제 동생은 공학을 전공하고, 기업에 취직했기 때문에, 이 조언을 볼 가능성은 없겠죠. 하지만, 현실적으로 위 조언을 따라, 학부 생활을 한다면 훨씬 더 흥미롭고 재미있는 의과학 연구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일반 사람들은 이번 런던올림픽 금메달 리스트를 포함하여 박태환 선수, 추신수 선수 등 우리가 잘 아는 운동선수들이 대부분 군면제라고 생각하시더군요. 


(추신수 선수죠. 내년에 FA가 된다는데, 대박 나길 바랍니다.군면제가 아니었다면 FA도 저멀리 갔겠죠)


특히나 추신수 선수를 보면, 훈련소에 있을때만, 한국에 머무를 뿐, 대부분의 시간을 메이저리그가 진행되는 미국에서 보내니 그럴만도 합니다. 


그렇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들이 면제는 아닙니다. 그리고,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들이 군면제처럼 보이는 것은 복무의 특수성때문입니다. 이들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사회복무제도의 하나인 예술-체육요원의 혜택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한때 모나코박이라고 불렸던 박주영 선수 역시 런던 올림픽 동메달을 받기 전까지만 해도, 병역논란으로 문제가 있었죠. 물론 런던 올림픽으로 한방에 해결되었긴 하지만, 젊음이 생명인 운동선수들에게도 군문제는 상당히 인생 전반에 중요한 문제인 것만큼은 사실입니다. 


(현재 국대 주장인 박주영 선수 병역문제 때문에 마음고생이 심했을 겁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 우수한 운동 선수들은 병역 면제를 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습니다. 예술-체육요원 역시 선발되기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특히 체육요원의 경우에는 그 기준이 올림픽 동메달 이상 수상자 혹은 아시안게임 금메달 수상자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사실상 세계 최고 수준의 기량이 있어야 혜택이 가능한 것이지요. 물론 이 제도로 인해서 올림픽, 세계대회에서 국가적인 위상이 고무된 것만큼은 인정해야 하는 건 사실입니다.


그렇게 되면 예술-체육요원의 경우, 편입되고 나서, 


1. 4주간 훈련소에서 훈련을 받고

2. 관련 기관 혹은 자신의 경력을 활용한 공익 복무를 하면 병역을 필하게 되는 것입니다.


추신수 선수의 경우, 야구 선수로

박주영 선수의 경우, 축구 선수로

박태환 선수의 경우, 수영 선수로

그 외 운동 분야 선수의 경우, 해당 분야 선수로 우직히 운동을 하면 병역이 완료됩니다. 


(자랑스런 박태환 선수 )


선수로서 자신의 분야에서 2년10개월을 복무하면 병역이 만료되는 것입니다. 



(병무청 소개 자료- 자세한 것을 알고 싶으시면 클릭)


실제로 선수로 활동하지 않고 코치, 감독 등으로 종사해도 복무를 인정하는 것이 조금 특수하긴 하죠. 


스포츠로 봐야할지 애매해 보이지만, 바둑같은 경우(마인드 스포츠죠), 스포츠(체육)로 편입되면서 그 혜택이 줄어들었습니다. (이전에는 요건이 세계대회 1위 수상으로, 현재는 아시안게임 금메달 딱 하나밖에 없습니다)


1년에 체육 분야로 약 500명 정도가 나오고 있고, 예술 분야로 50명 내외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이 같은 예술-체육요원 말고 군복무를 할 수 있는 경우가, 바로 상무나 경찰청 소속으로 운동하는 선수입니다.  상주 K리그 강등 사건으로도 말이 많았지만, 기본적으로 상무나 경찰첨 소속으로 운동을 지속하는 것은 선수생명이 비교적 짧은 대부분의 스포츠에서는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선수들 특히 야구 선수들(최형우 같은 케이스)은 군복무 후에 기량이 많이 상승되었죠. 


(프로야구 삼성의 최형우)


물론 상무나, 경찰청과 같은 팀이 있는 인기 종목이 한정적인 것은 제약점이긴 합니다. 비인기 종목이나, 금메달 급에 다다르지 못하는 종목은 그런 혜택을 누리기 힘들기도 합니다. 


상무나 경찰청 소속에 있다가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면? 이라는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실제로 그런 케이스들이 종종 있었고, 소위 말하는 "현주엽 사건" 이후로 그 부분에 대해 명시적으로 바로 예술체육요원으로 전환하는 법이 시행되었습니다.


(현주엽 선수 - 바뀐 병역법 혜택을 받지는 못했죠)


상무 복무 중 메달을 따면, 바로 프로 생활이나, 해외 선수 생활을 할 수 있게끔 법이 변경되어서, 현재는 상무 복무 중에도 많은 운동 선수들이 메달을 향한 칼을 갈고 있는 중입니다. 


여담이지만 제가 훈련소 퇴소하고 나서 추신수가 바로 다음달에 복무하러 들어갔었죠. 추신수 선수의 까까머리를 볼때, 나름 동변상련의 감정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올해는 박태환 선수가 훈련소 입소를 했더군요. 조만간 박주영 선수 역시 입소할 것 같습니다. 


체육요원들은 인원이 그리 많지 않고, 각자의 대회 스케쥴이 다르기 때문에, 공익 요원들이랑 같이 훈련받는 것 같더군요. 물론, 특정 날짜를 지정해서 입소 계획이 나올 것 같긴 합니다만.


운동선수들의 경우 아시안게임 금메달, 올림픽 동메달 이상으로 딱 못을 박아뒀기 때문에, 기준에 대한 별 말이 없습니다. 사실 메달을 따는 것 자체가 상당히 어려운 일이죠.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로 인한 특례법, 그리고 WBC에 대한 혜택, 올림픽 특정 종목 폐지 등 굵직한 사건들이 사실 많이 있었긴 하지만, 이제는 병역에 대한 특례법에 대한 논의는 많이 사라진 듯 합니다. 축구, 야구 등은 오히려 문이 좁아졌죠. 다른 종목과의 형평성 문제로 인해서. 


아무쪼록 다양한 분야의 체육 선수들이 혜택을 많이 봐서 국위선양을 많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P.S) 저는 기본적으로 국가에서 다양한 분야로 대체 복무를 활성화해서, 국가 위상을 다각도로 높이는 것이 현역병 복무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을 보고 놀랐었습니다. 금메달 정도는 인정하지만, 예술요원이 뭐 필요하냐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고.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