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
수학을 잘 하지 못해도, 연구는 잘 할 수 있다 ^^Ph.D : Medical Scientist/연구 이야기 및 연구 자료들 2020. 4. 17. 15:10
좋은 과학자는 항상 수학을 잘 해야만 할까요? ^^ 월스트리트 저널에 아주 재미있는 기사가 실렸네요. 결과적으로 수학보다 과학을 대하는 자세가 더 중요하고, 공동 연구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하네요. 영어로 된 원문이긴 하지만, 재미있는 기사 읽어 보세요. E.O. Wilson shares a secret: Discoveries emerge from ideas, not number-crunching. 일부 원문의 부분을 한글로 번역해서 아래 발췌합니다. ---------------------------발췌----------------------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을 가르치는 수십 년 동안, 저는 뛰어난 학부생들이 과학적인 경력의 가능성을 외면하고, 뛰어난 수학 기술이 없다면 실패할까봐 두려워하는 것..
-
인공 지능 왓슨. 의사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For Fun Project 2016. 11. 14. 12:29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사람과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단순한 질문에 대한 답을 넘어서는 고차원적인 대답을 할 수 있고, 그 문장에서 정확한 정보를 캐치하고, 그에 따른 판단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 외에도 체스, 퀴즈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인공 지능이 개발되고 있고 아직도 현재 진행 중이다. 결국, 궁극적인 인공 지능의 목표는 "사람과 같은 사고를 하고, 사람과 비슷한 대화를 하는 존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기계가 인공 지능을 가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튜링 테스트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같은 말이라도, 말하는 상황, 뉘앙스에 따라 똑같은 문장이라도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밥은 먹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