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시스템
-
"분야"라는 테두리... 일반인의 관심? 전문 분야?생각들/일상의 생각들 2012. 11. 12. 00:30
얼마전에 블로그 방문자와 독자에 대한 글을 포스팅 했는데, 글을 쓰고 얼마 안되어서 방문객이 1600명이 넘어 버렸다. 당시 800명이 와서 참 뿌듯했는데, 1695명이라고 하니깐 솔직히 얼떨떨하긴 하다. 그렇지만 이 사건은 단순한 방문객 천명 이상의 인사이트를 주는 사건이었다. 사실 그 이유는 포스팅 시스템이라는 일반인 혹은 야구에 좋아하는 사람들이 조금 더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로 글을 썼기 때문일 것이다. 일종의 도전을 해 보았는데, 도전이 성공한 셈이다. 아울러 네이버의 강력함을 또 한번 실감한다. 네이버 검색어 1위가 되니깐 사람들이 줄줄이 들어온다. ^^ 현재 포스팅 시스템이라고 치면 블로그 검색 1위이다. ^^ 역시 "네이버 검색이 강하긴 강하구나"란 것을 새삼 느꼈다. 일반 대중이 의과학이나..
-
포스팅 시스템이란 도대체 무엇인가?생각들/Sports 2012. 11. 10. 23:39
이전 Exit(출구) 전략 관련 글에 의외로 포스팅 시스템이라는 키워드로 들어오신 분들이 많아서 참고 포스팅을 올립니다. 포스팅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리나라나 일본 야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FA 경매 제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순히 이 용어로 정의내리긴 쉽지 않지만, 이 용어가 제일 합당하게 보입니다. 모든 야구 리그에 적용가능하지만, 프로 야구가 발달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채택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시장이 큰 메이저 리그에서 선수를 수급할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포스팅 시스템은 "조건부 FA"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야구 선수의 경우, 일정 기간(대개는 드래프트 이후 9년 대학 졸업자는 8년)이 지나야, 모든 구단과 거래할 수 있고, 소속 구단을 이동할 수 있는 FA(Free agent)자격..
-
비지니스 세계에서의 Exit(출구 전략) 그리고 M&A생각들/Business 2012. 11. 10. 12:03
비지니스를 한마디로 말을 하자면 "재화나 서비스를 이용해서 이득을 취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득을 취하는 것은 직접적인 형태의 돈을 버는 것일수도, 무형적인 자산을 얻는 것 등 모든 유무형적 이득을 다 포함합니다. 사실, 이득을 취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입니다. 재화를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따지고 보면 아주 단순한 행위이고, 크게는 기업을 판매하는 행위 역시 이득을 취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행동 중 하나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기업을 통해서 이득을 보는 행위, 그리고 그것을 통해 손을 터는 것(혹은 일부만 터는 것)을 Exit (출구) 전략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자본화가 많이 진행된 나라일수록 예컨대, 미국과 투자가 발달된 영국에서는 이런 출구 전략이 많이 활성화되어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