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 포워딩(2)
-
NAS Trouble shooting !!! - 포트 포워딩 개념 2
포트 포워딩 두번째 이야기 포트 포워딩하는 일반적인 규칙에 관해 시놀로지(synology)에 맞춰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포트 규칙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제 공유기는 포트 포워딩을 15개만 제공하더군요. (일반적으로 60개 정도까지는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제가 쓰는 포트 중심으로 간략히 설정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제 기준에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지만, 똑같이 적용하셔도 됩니다. ^^ 5000 : Admin 관련 포트입니다. 5001 : Admin HTTPS 이 것은 전체 접속을 위한 포트로 DS portal system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bc.com:5000 이렇게 들어가든지, 아니면 123.456.789.3:5000 이렇게 연결..
2012.10.24 -
NAS Trouble shooting !!! - 포트 포워딩 개념
이제 포트 포워딩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한 셜명을 위해서 네이버를 예로 들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에 접속해서 내가 궁금해 하는 정보를 입력해서 데이터를 받는 과정을 분해 해서 보면 이렇습니다. naver.com에 가서 접속하면 자연히 서버 222.122.195.6에 있는 정보를 받아 와서 시작 페이지를 보여 줍니다. 그 이후 검색어를 넣으면 다시 222.122.195.6에 있는 컴퓨터가 일련의 연산을 해서 그 결과를 다시 보여주게 됩니다. 이 때 네이버 입장에서는 정보를 어디로 줘야 하는지의 문제가 생겨 납니다. 바로 정보를 요청한 공유기의 IP로 정보를 보내면 이 문제는 해결됩니다. 그리고 공유기 역시 정보를 요청한 컴퓨터로 정보를 주면 되는 것입니다. 네이버 정보 서버..
201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