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학자 (MD-PhD) 이야기(324)
-
짧은 제목이 훨씬 더 Citation이 많다!!!!!
또 하나의 소식이네요. 오늘은 일이 좀 많아서, 쉬운 주제로 갑니다. 네이처에서 새로운 하이라이트 페이퍼를 소개했네요. 이건 뭐랄까.. 사이언스 관련이라기 보다는 흥미를 당기는 "기사" 정도라고 평가할 수 있겠네요. 결론부터 말하면, "짧은 논문이 인용이 많이 되더라." 라는 겁니다. 물론... 논문 자체의 내용이 더 중요하겠지만, 생각보다 그 빈도간의 관계가 크더라고 보는 것이 이 기사의 핵심입니다. 기사를 주욱 읽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또.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살짝 요약을 첨언하자면.. 논문의 내용이나, 논문 제목과, 인용도만을 가지고 함수를 그려본 결과, 제목이 짧으면 짧을수록, 인용 회수가 크더라. 근데, 또 누가 그럼 저널마다 방침이 달라서 그럴 수도 있지 않느냐 라고 해서, 저널에 따라서도..
2020.04.13 -
행운은 그렇게. Ovarian cancer에 이용되는 beta blocker!
또 하나의 serendipity drug 의 발견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글을 올립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소개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간략히 설명하면, 난소암에 걸린 환자 중 우연하게 고혈압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더니, 1세대 베타 블로커가 난소암 환자 생존에 아주 큰 영향을 주었다는 보고입니다. 여기서 이용한 1세대 베타 블로커는 NSSB(Non selective beta antagonists)인데요. 이게 난소암 환자들의 수명을 연장했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그리고 그 인과 관계를 마우스에서 일부 증명했구요, 실제로, 난소암은 암 중에서도 그 진행이 조용하면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발견 당시 대부분의 경우 치명적인, 즉 치사율이 상당히 높은 암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그룹의 치사율이..
2020.04.11 -
해외에서 한국 연구 환경을 보는 눈 (from Nature)
Nature에 실린, 해외에서 한국을 보는 눈이랄까요. 외국인들의 눈에는 한국이 기회의 땅으로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여러가지 불합리한 점이 있는 나라로 인식되는 듯한 느낌입니다. 글이 좀 길면서, 한편으로는 영어이기 때문에, 그래프만 보셔도 대충 느낌이 오실 듯 합니다만, 혹시 안 읽으실 분들(?)을 위해서... 제가 생각하기에(?) 중요한 부분만, 대충(?) 요약합니다. 첫째, 외국인들의 눈에 보기에는 메이져 저널 에디터들이, 최근에 생긴 Fraud 사건(다들 아실만한 분들은 아실 사건..) 때문에, 탑 저널에서 Sceptical(Nature는 영국 저널이니깐 ^^)한 눈빛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실리기 힘들지만, 한국은 커가는 과정이 많아 보이니, 그런 걸 즐기고 싶은 사람이라면 고고싱하라~ 둘째, 여..
2020.04.10 -
Human Neuron 만들기 from Human skin cell.
중국의 두 그룹에서 human skin cell을 이용해서 활동하는 Neuron을 만들었네요. 이 뉴스만 본다면, 새삼스러운 일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미 이런 형태의 실험들은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이죠. 이 논문에서 주의해서 봐야할 사실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이런 형태의 reprogramming을 chemical만을 이용해서 만들었다는 사실입니다. 두번째는, 아울러 또 주목해야할 포인트 중 하나는 Alzheimer’s patients sample을 이용해서 그의 회복을 꾀했다는 점입니다. 즉 translational research를 했다는 점이지요. 첫번째 사실에 대한 썰을 풀면... 기존의 Yamanaka 방법이랑 그 후속 논문들의 맹점은 바로, reprogram을 하는데 있어서, 바이러스..
2020.04.08 -
PCR과 같은 개념의 Mutagenic chain reaction. 새로운 유전학적 도구
아주 좋은 논문이네요. 유전학과 관련해서 아주 강력한 도구가 될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원샷 원킬(시간적으로 homo 를 만드는 것이 엄청나게 줄어듭니다)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맞춤형 아기 생산(?)에도 훨씬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무서운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우려되는 점은 off-target effect이겠죠. 자신이 타겟한 gene을 가이드할 녀석이 들어갔는데, 우연하게,의도와는 다르게 다른 유전자를 건드리는 가능성. 또는 세대를 거쳐가면서, 들어간 유전자가 아주 우연하게 mutation이 일어나면서 또 다른 유전자를 건드릴 가능성. 그리고 아주 우연히 그런 과정이 lethal gene을 건드리거나 random off-target effect가 생겨서 완전히 gene 여러개가 뭉터기로 ..
2020.04.07 -
호암상을 장식한 의과학자, 이세진 존스홉킨스대 교수
근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myostatin을 발견한 우리나라 의학자. 그의 이야기를 들어 보세요. ^^ Myostatin은 아마도 이런 동물로 아주 유명하죠 ^^ Myostatin이 없으면, Muscle이 아주 비대해지고, 정상적이지 않은 비대한 형질을 가지게 됩니다. HelloDD에서 호암상 수장자 릴레이 인터뷰를 진행하였는데, 상당히 읽어볼 만 한 주제들인 것 같습니다. 5살에 미국으로 이민가서 존스홉킨스 의대에서 MD-PhD로 트레이닝 받고, 연구에 몰입하는 의과학자의 이야기를 들어 보시지요. ----------------------------------------------------발췌 ------------------------------------------------------- 이세진..
202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