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의 구성
① 줄거리
② 내용
③ 결과 및 데이터
④ 결과 섹션의 조직
모든 실험이 미리 디자인되는 연구
한 실험이 다음 실험을 결정하는 연구
⑤ 강조
⑥ 길이
⑧ 그 외 고려해야할 세부사항들
자, 이제 결과의 작성법 2번째 시간이다. 이번 시간에서는 어떻게 강조할 것인지, 그리고 고려해야 할 세부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⑤ 강조
결과섹션에서는 당연히 결과가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강조를 하는 방법은 당연히도 문장의 도입부에서 "이제부터 결과 시작합니다."하는 신호를 주면 된다. "We found", "We observed", "We examined", "We detected", "We identified" 등등 결과를 기술하는 단락의 첫문장의 도입부에 이러한 신호를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이 것외에 결과섹션에서 흔히 실수하는 것들만 줄여도 충분히 결과를 강조할 수 있다.
데이터는 생략하고 결과는 압축하라.
대부분의 데이터는 figure, table에 포함이 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텍스트로 다시 기술할 필요는 없다. 물론 중요한 수치의 경우는 텍스트로 다시 기술함으로써 강조를 할 수는 있으나, 대부분의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다시 기술할 필요가 없다. 또한, 결과를 최대한으로 압축함으로써 불필요한 반복을 피해야 한다. 자,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Group1: Serial development of alveolar hypoxia followed by alkalosis. The pulmonary artery pressure increased to 65 ± 21 (SD) % above baseline during hypoxia but then decreased to 37 ± 16 % above baseline when alkali was infused into the lungs of 12 rabbits. Similarly, the pulmonary artery pressure increased to 41 ± 17% above baseline during hypoxia but then decreased to 21 ± 13 % above baseline when PICO2 was decreased (Fig. 2). Thus, both metabolic and pulmonary alkalosis decreased the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fter it had increased in response to hypoxia.
Group2: Serial development of alkalosis followed by alveolar hypoxia. The baseline pulmonary artery pressure decreased from 9.4 ± 1.8 to 8.4 ± 1.5 cm H2O when NaHCO3 was infused and from 9.0 ± 2.1 to 7.9 ± 1.5 cm H2O when PICO2 was decreased in the lungs of 20 rabbits. The pulmonary artery response to alveolar hypoxia at a pH of 7.35-7.42 was no different from the response to alveolar hypoxia at pH of 7.50-7.65 (Fig. 3). These results were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alkalosis was induced by decreasing PICO2 or by infusing NaHCO3 (Fig. 3). Thus, although both metabolic and respiratory alkalosis decreased baseline pulmonary resistance, they did not decrease constriction of the pulmonary artery in response to subsequent alveolar hypoxia.
Group3: Simultaneous development of alkalosis and alveolar hypoxia. The pulmonary artery response to alveolar hypoxia was significantly lower at pH of 7.50-7.65 than at a pH of 7.35-7.42 in the lungs of 8 rabbits (Fig. 4). Thus, simultaneous alveolar hypoxia and respiratory alkalosis decreased constriction of the pulmonary artery.
일단 위의 예문은 보는 것만으로도 숨이 막힌다. 이런식으로 데이터를 나열하는 것은 결과섹션의 올바른 글쓰기가 아니다. 자, 각각의 단락을 조금 살펴보기 전에 핵심어구를 좀 살펴보고 넘어가자. metabolic alkalosis (NAHCO3 infusion), respiratory alkalosis (PICO2),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 (pulmonary artery pressure), hypoxia 정도가 핵심어구가 될 것이다. 자 단락을 하나 하나 살펴보자.
첫 단락: Alveolar hypoxia 이후의 alkalosis. hypoxia동안 pulmonary artery pressure가 증가했다가 (65 ± 12 %), alkali를 infusion하였을 때 떨어지며 (37 ± 16%), 비슷하게, hypoxia에서 증가했었던 pulmonary artery pressure (41 ± 17%로 )가 PICO2가 감소하면 떨어졌다 (21 ± 13%). 따라서, metabolic and pulmonary alkalosis가 hypoxia에 의해 증가된 vascular resistance를 떨어뜨렸다.
이 단락에서는 마지막줄 빼고는 사실 데이터의 나열이다. 마지막 문장만 살려도 된다.
두번째 단락: Alkalosis 이후의 alveolar hypoxia. NAHCO3가 infusion되면 pulmonary artery pressure가 감소하고 (9.4 ± 1.8 to 8.4 ± 1.5), PICO2 감소에 의해서도 조금 감소한다 (9.0 ± 2.1 to 1.5 ± 1.8). pH 7.35-7.42사이에서 alveolar hypoxia에 대한 pulmonary artery의 반응은 pH 7.5-7.65에서의 그것과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alkalosis가 PICO2 감소나 NAHCO3 infusion에 상관없이 비슷하게 나왔다. 따라서, metabolic이나 respiratory alkalosis가 baseline pulmonary resistance를 감소시켰더라도, subsequent alveolar hypoxia에 반응하는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이 단락 역시 마지막 줄 빼고는 데이터의 나열이다.
세번째 단락: Hypoxia와 alkalosis의 동시반응. Alveolar hypoxia에 의한 pulmonary artery response는 pH 7.50-7.65에서 pH 7.35-7.42에서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따라서, simultaneous alveolar hypoxia와 respiratory alkalosis는 pulmonary artery의 constriction을 감소시켰다.
이 단락 역시 마지막 문장이 주제문이다.
자, 주제문들만 모아보자.
① Hypoxia 이후 metabolic alkalosis (NAHCO3 infusion) 와 respiratory alkalosis (PICO2 decrease)는 pulmonary resistance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 를 감소시켰다 (Fig. 2).
② Hypoxia 이전의 metabolic alkalosis (NAHCO3 infusion)와 respiratory alkalosis (PICO2 decrease)는 pulmonary resistance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Fig. 3).
③ alkalosis (metabolic + respiratory)와 hypoxia를 동시에 주었을 경우에는 pulmonary artery resistance (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이 일어났다 (Fig. 4).
거참 글 한번 요란하게 써놓았는데 사실 위의 주제문들이 글의 전부이다. 나머지 문장들은 필요없는 문장들이다. 이에 따라서 글을 다시 써보자.
The induction of either metabolic or respiratory alkalosis after hypoxia reduced pulmonary resistance in response to hypoxia (Fig. 2). In contrast, The induction of either metabolic or respiratory alkalosis before hypoxia did not reduce pulmonary resistance in response to hypoxia (Fig. 3). However, simultaneous respiratory alkalosis and hypoxia reduced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 in response to hypoxia (Fig. 4).
뭐 대충 쓰면 이렇게 될 것 같은데, 이를 조금만 더 교정해보자. 문장에서 제일 중요한 단어가 앞으로 오는 것이 좋기 때문에 pulmonary resistance를 주어로 교정하고, 첫 문장과 세번째 문장은 결과가 같기 때문에 합쳐버리자. 그리고 metabolic/respiratory alkalosis 사이 결과에 별 차이가 없으므로 걍 alkalosis로 퉁치자. 그리고 simultaneous는 문맥상 쉬운 단어인 during으로 바꿔도 될 것 같다. 그러면 대충 다음과 같이 교정할 수 있다.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 was reduced when alkalosis was induced either after (Fig. 2) or during (Fig. 4) hypoxia. However,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 did not change when alkalosis was induced before hypoxia (Fig. 2).
뭐 여기에서 좀 더 나가면 다음과 같이 교정할 수 있고 말이다.
Pulmonary artery constriction was reduced when alkalosis was induced either after (Fig. 2) or during (Fig. 4) hypoxia, but not when alkalosis was induced before hypoxia (Fig. 2).
그러면 22줄이 단 2줄로 변하는 놀라운 마법을 부릴 수 있다. 너무 짧은 것 같으면 윗 문장을 기준으로 몇 가지 좀 추가해도 괜찮고 말이다. 자, 결과 섹션은 데이터를 기술하는 자리가 아니다. 결과를 기술하는 자리라는 점을 명심해둘 필요가 있다.
그림의 범례와 표의 제목
주제문으로 그림의 범례와 표의 제목을 사용하는 것은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니다. 다음의 예들을 살펴보자.
A summary of renal function data is presented in Fig. 2.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7.5 cm H2O) in newborn goats decreased urine flow, sodium excretion,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As summarized in Figure 5, C5a regulates allergic inflammation of asthma in many ways, including proinflammatory and chemotactic activities, regulation of Th1/Th2 responses, remodeling of damaged lung tissue, and induction of brochospasm.
뭐 이런 표현들이 잘못된 표현은 절대로 아니고, 첫 문장에서 범례를 표현하는 것 같아 단락의 강려크함이 좀 반감된기 때문에 이런 표현을 지양하자는 이야기이다. 주제문을 더 강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범례를 생략하고 결과를 바로 기술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음과 같이 교정해보자.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7.5 cm H2O) in newborn goat decreased urine flow, sodium excretion,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Fig. 2).
C5a regulates allergic inflammation of asthma in many ways, including proinflammatory and chemotactic activities, regulation of Th1/Th2 responses, remodeling of damaged lung tissue, and induction of bronchospasm (Fig. 5).
뭐 이렇게 결과를 기술하는 식으로 바꿔버리면 쓸모없는 군더더기 문장을 없앨 수 있어서 좋은 측면이 있다. 그리고 단락을 시작하는 주제문을 쓸모없는 군더더기 문장으로 시작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좋고 말이다. 정 이러한 표현을 넣고 싶으면 단락의 맨 뒷 문장에 쓸 수도 있기는 하겠지만, 걍 쓰지 말자. 별로 안 좋다.
대조상태 (control)의 결과의 기술
논문에서 가장 중심되는 기술은 실험군의 결과에 대한 기술일 것이다. 하지만, 대조군의 결과를 명확하게 설명해줌으로써 실험이 안정적이였다는 사실을 확립시켜줘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들이 있다. 자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During the acute period of lipid infusion, lung lymph flow increased from 2.44 ± 0.32 (mean ± SD) to 4.00 ± 0.72 ml/h (p < 0.05).
이 경우에는 2.44 ± 0.32가 baseline이고 4.00 ± 0.72로 유의하게 (p < 0.05) 증가했다는 기술이다. 이처럼 대조군의 결과를 기술할 경우 실험군이 얼마나 증가했는지가 더욱 명확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그래프 등에서 안정적인 baseline 상태의 대조군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강조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굳이 이를 텍스트로 기술할 필요는 없다.
주제문을 활용하라
지난 단락의 구성 등을 통해서 누누히 이야기한 바와 같이 단락의 첫 문장은 주제문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In three of the cats in the second series, the inhibitory effect of 1 μg isoproterenol was examined when baseline tension was induced exclusively by either cholinergic neurotransmission, exogenous acetylcholine, or exogenous 5-hydroxytryptamine. Injection of 1 μg isoproterenol evoked a differential inhibitory response, relaxation being greater when tension was induced by cholinergic neurotransmission or exogenous 5-hydrotryptamine than by exogenous acetylcholine (Fig. 5).
위 예문의 첫 문장은 실험을 기술하는 내용이다. 실험이 정말로 신기 묘묘한 실험이라 반드시 기술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윗 단락은 두번째 문장만으로도 충분히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신기 묘묘한 실험이라도 할지라도 우리는 이미 material and methods에서 기술했을터인데, 이를 구구절절 설명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만일 실험에 대한 기술을 포함하고 싶다면 다음의 방법들을 사용하면 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A. 방법을 주제문으로 쓴 바람직하지 못한 예
We administered propranolol during normal ventilation. This beta-blocker decreased phospholipid.
이 경우에는 단락의 첫 문장이 실험을 기술하는 문장이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교정할 수 있다.
B. 방법은 주어에 부가적으로 설명하고 결과는 동사+목적어로
Propranolol administered during normal ventilation decreased phospholipid.
이처럼 방법을 주어구로 만들어 버림으로써 첫 문장이 결과를 기술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C. 방법은 연결구에, 결과는 주어+동사에
After administration of propranolol during normal ventilation, phospholipid decreased.
after부터를 그냥 뒤로 돌려도 된다. "Phospholipid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propranolol during normal ventilation"처럼 말이다. 그 외에는 연결절로 방법을 기술하는 방법이 있다.
D. 방법은 연결절에, 결과는 주절에
When propranolol was administered during normal ventilation, phospholipid decreased.
뭐 방법은 여러가지이지만 일단 A같은 경우는 되도록 지양해야 한다.
중요한 결과를 먼저 제시하라 - 주제문을 이용해 전체적인 조망을 제시하라
결국 동어 반복이다. 결과 섹션에 제일 중요한 점은 바로 중요한 결과를 주제문으로 먼저 제시하라는 것과, 이러한 주제문을 이용해서 전체적인 조망을 제시하라는 이야기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We further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utophagy-mediated survival and pro-tumourigenic effects of neutrophils. In fact, a comparison of the kinetics of neutrophil apoptosis (Fig. 4B) and pro-metastatic OSM production (Fig. 4F) revealed that blockade of autophagy in TSN-exposed neutrophils led to a rapid and radical reduction of OSM but a delayed upregulation of cell apoptosis. Of note, such enhanced tumour neutrophil autophagy also correlated with an augmented release of MMP9 and increased motility of hepatoma cells (Fig. 4G). Finally, we evaluated the consequences of the siRNA-mediated autophagy suppression in neutrophil-like differentiated HL-60 cells. Knockdown of ATG5 efficiently inhibited TSN-mediated autophagy and the production of OSM and MMP9 at the early time point with marginal apoptosis (Fig. 4H and Supplementary Fig. 4). These data indicate that increased neutrophil autophagy promotes malignant cell metastasis independent of its pro-survival effect.
위의 예에서 살펴보듯, 첫 문장이 단락의 모든 내용을 조망해주고 있다. 이 단락에서 저자들이 autophagy-mediated survival과 neutrophil의 pro-tumorigenic effect의 연관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조망하고 있다. 이처럼 결과섹션의 단락은 중요한 결과를 먼저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그 중요한 결과는 대게 전체적 조망을 하는 문장일 것이다.
⑥ 길이
줄여라. 결과 섹션에 모든 실험결과를 시시콜콜 제시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결과의 의미에 대한 기술을 하고 싶은 욕망을 참아내고 고찰 섹션으로 넘겨줘라. 결과섹션은 최대한 간결하고 명확하게 쓰여져야만 독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⑦ 그 외 고려해야할 세부사항들
동사의 시제
대부분의 논문의 시제는 과거시제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실험 자체가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기 때문이다.
통계학적 세부사항
데이터는 그림과 표의 형태로 제시되며, 통계는 수학적 측면에서 데이터의 기술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통계학적 세부사항은 그림과 표에 존재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텍스트에 포함싴밀 경우 그에 수반되는 통계학적 사항도 표시되어야 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Blood flow was redistributed more toward the right ventricle than toward the left ventricle (26.3 ± 2.9 vs 19.5 ± 1.5 %, mean ± SD, n = 6, p < 0.01)
위의 예를 보면 다섯가지의 정보가 들어있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척도 (%), 평균값 (mean), 표준편차 (SD), 샘플의 규모 (n), 유의값 (p value). 이처럼 데이터를 기술할 경우에는 위의 통계학적 정보를 제시하여야 한다. r그리고 통계학적으로 p value를 얻은 경우에는 significant, significantly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
정리하면서 - 결과의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결과섹션은 실험의 결과를 기술하고, 가설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를 그림이나 표를 인용하는 역할을 한다.
① 줄거리
- 미리 디자인되는 가설검증연구, 방법논문의 경우는 결과섹션은 결과를 제시한다.
- 우리가 작성하는 하나의 실험이 다음 실험을 결정하는 가설검증논문의 경우, 수행한 실험과 결과를 모두 제시한다.
② 내용
- 질문에 적합한 결과만을 보고하라.
- 가설을 뒷받침하는 데이터 + 뒷받침하지 않는 데이터 모두 결과에 포함시켜야 한다.
- 대조 (control)의 결과나 데이터 역시 포함되어야 한다.
③ 결과 및 데이터
- 텍스트에는 데이터를 최대한 적게 기술하라. 데이터는 그림/표를 통해 제시해라
- 실제 데이터의 인용보다는 퍼센트 변화/차이의 퍼센트로 보고하여 차이에 대한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
④ 결과 섹션의 조직
- 하나의 실험이 다음 실험을 결정하는 가설검증논문의 경우, 질문 > 실험의 개요 > 대답 > 보충설명의 순으로 각 단락이 구성된다.
- 미리 디자인되는 가설검증연구의 경우 연대기, 중요한 순서대로 기술하라.
⑤ 강조
- 결과를 강조하라.
- 강조하는 신호로 we found 등의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 데이터는 생략하고 결과는 압축하라
- 그림의 범례와 표의 제목 등은 결과 섹션의 문장에서 지워라. 대신 괄호 안으로 인용해라.
- 대조상태의 결과의 기술 역시 강조할 필요가 없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생략해버려라.
- 주제문을 활용해라.
- 중요한 결과를 먼저 제시하고, 이를 이용해서 전체적으로 조망해라.
⑥ 길이
- 짧고 간결하게
⑦ 세부사항
- 동사의 시제는 과거형이다.
- 데이터를 기술할 경우 통계학적 세부사항을 빼먹지 말아라. 척도, mean, SD, n, p value이다.
자, 오늘까지 우리는 결과섹션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 시간부터는 그래프와 표, 그리고 약간의 통계학적 고려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자.
자, 한동안 쉬었으니 빠르게 달려봅시다.
'Research Tips > English for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작성법 (6) 그래프,표 그리고 통계 part II (6) | 2015.09.22 |
---|---|
논문작성법 (6) 그래프,표 그리고 통계 part I (2) | 2015.09.15 |
논문작성법 (5) 결과의 구성 part I (0) | 2015.08.31 |
논문작성법 (4) 서론의 작성법 part II (0) | 2015.06.09 |
논문작성법 (4) 서론의 작성법 part I (2) | 201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