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학자 (MD-PhD) 이야기(334)
-
Episode 2 "Microbiome, STAP cells 뒷이야기, 그리고 실리콘 벨리의 Breakthrough award"
안녕하세요. Biotalk.kr 입니다. 두번째 에피소드입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Microbiome, STAP cells 뒷이야기, 그리고 실리콘 벨리의 Breakthrough award"를 주제로 이야기합니다. . 2회 내용 Research highlight 1 Microbiome 박테리아의 보편적 복지 - Biofilm에 대한 이야기. 엄마의 손맛 Research highlight 2 오보카타 하루꼬 STAP cells 학위 취소 그리고 STAP cell 비하인드 스토리. 대충 탐구 실리콘 벨리 - Breakthrough award 2회 에피소드는 강원도 에이치 바이오, 그리고 BSK 바이오와 함께 합니다. (클릭하시면 에이치 바이오로 갑니다) (클릭하시면 BSK 바이오로 갑니다) http:..
2020.04.21 -
(글소개) 의사. 인턴의 삶. 그리고 얻을 수 있는 것들.
의사가 되고난 이후, 처음 임상을 접할 때, 대부분 인턴이라는 일로 시작하죠. 인턴 경험은, 연구자를 되는 것과는 상관없어 보이지만, 때로는, 평생을 기억할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하기도 합니다. MDPhD.kr의 필진 중 한 명이었던 분이, 자신의 인턴 경험을 공유합니다. 글을 클릭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원본 글로 이동합니다. "의사가 되면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것들."
2020.04.20 -
수학을 잘 하지 못해도, 연구는 잘 할 수 있다 ^^
좋은 과학자는 항상 수학을 잘 해야만 할까요? ^^ 월스트리트 저널에 아주 재미있는 기사가 실렸네요. 결과적으로 수학보다 과학을 대하는 자세가 더 중요하고, 공동 연구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하네요. 영어로 된 원문이긴 하지만, 재미있는 기사 읽어 보세요. E.O. Wilson shares a secret: Discoveries emerge from ideas, not number-crunching. 일부 원문의 부분을 한글로 번역해서 아래 발췌합니다. ---------------------------발췌----------------------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을 가르치는 수십 년 동안, 저는 뛰어난 학부생들이 과학적인 경력의 가능성을 외면하고, 뛰어난 수학 기술이 없다면 실패할까봐 두려워하는 것..
2020.04.17 -
CRISPR-Cas9 하고 난 이후의 Whole Genome Sequencing
요건 살짝 된... 5월에 Nature methods에 나온 논문입니다. 논문이라고 보기보다는 correspondence라고 봐야 하겠지만서도.. 데이터가 있으니 일단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다. 기술적으로 광풍(?)으로 봐야할 CRISPR-Cas9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의 gene-editing의 가장 큰 단점은 의도하지 않는 gene editing이겠지요. 나는 A라는 유전자를 교정하려는 시도를 했는데, A가 교정된 것까지는 좋지만, 공교롭게도 교정하고자 하는 A와 비슷하게 생긴 B라는 녀석까지 교정(?)이 되어버리는 것이 Off-target effect입니다. 아무리 specific한 기작을 이용한다고 해도, 이런 off target effect는 예상하기 힘든 방향으로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을 ..
2020.04.15 -
짧은 제목이 훨씬 더 Citation이 많다!!!!!
또 하나의 소식이네요. 오늘은 일이 좀 많아서, 쉬운 주제로 갑니다. 네이처에서 새로운 하이라이트 페이퍼를 소개했네요. 이건 뭐랄까.. 사이언스 관련이라기 보다는 흥미를 당기는 "기사" 정도라고 평가할 수 있겠네요. 결론부터 말하면, "짧은 논문이 인용이 많이 되더라." 라는 겁니다. 물론... 논문 자체의 내용이 더 중요하겠지만, 생각보다 그 빈도간의 관계가 크더라고 보는 것이 이 기사의 핵심입니다. 기사를 주욱 읽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또.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살짝 요약을 첨언하자면.. 논문의 내용이나, 논문 제목과, 인용도만을 가지고 함수를 그려본 결과, 제목이 짧으면 짧을수록, 인용 회수가 크더라. 근데, 또 누가 그럼 저널마다 방침이 달라서 그럴 수도 있지 않느냐 라고 해서, 저널에 따라서도..
2020.04.13 -
행운은 그렇게. Ovarian cancer에 이용되는 beta blocker!
또 하나의 serendipity drug 의 발견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글을 올립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소개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간략히 설명하면, 난소암에 걸린 환자 중 우연하게 고혈압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더니, 1세대 베타 블로커가 난소암 환자 생존에 아주 큰 영향을 주었다는 보고입니다. 여기서 이용한 1세대 베타 블로커는 NSSB(Non selective beta antagonists)인데요. 이게 난소암 환자들의 수명을 연장했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그리고 그 인과 관계를 마우스에서 일부 증명했구요, 실제로, 난소암은 암 중에서도 그 진행이 조용하면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발견 당시 대부분의 경우 치명적인, 즉 치사율이 상당히 높은 암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그룹의 치사율이..
2020.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