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학(5)
-
Lasker award 수상자.
Lasker award는 상 자체로도 유명하지만, 노벨상에 선행해서 받는 상으로 더 유명합니다.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래스커 어워드를 수상하면, 노벨상에 더 가까이 갔다고 사람들이 생각하죠. 역설적으로 본다면, Lasker award는 그 자체로 꽤나 노벨상보다 더 선행해서, 떡잎을 보는 안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노벨상 이전에 될성 싶은 사람을 딱!!!! 잡아서 먼저 줘버리니깐요. 미국에서는,Bio와 관련하여, Howard Hughes로 40대에 연구비를 타고, 그 연구비를 토대로, Lasker award를 탄 이후, 60-70대 노벨상을 타는 코스도 마련되어 있어요. Albert Lasker 상은 전통적으로 Basic research 뿐만 아니라, 임상 Clinical reserach..
2020.09.11 -
집착맨 (김용희) 이야기 ^^
안녕하세요. MDPhD.kr의 Main editor "오지의 마법사"입니다. 가끔 이메일로 필진들에 대한 문의글이 가끔 오기도 합니다. 개별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대부분 운영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분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기회가 없기도 합니다. 본 블로그의 운영 취지가 "다양한 연구를 하는 의과학자들의 교류 활성화"와 "의과학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시행착오를 줄이자"는 것이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각기 다른 필진들에 대한 소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간략한 프로필 소개는 요기 링크에 있습니다만 ^^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자 합니다. 그래서 연속적으로 필진들에 대한 소개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순서는..
2013.06.17 -
1> 마수걸이 글
이렇게 6개월만에 첫 글을 쓰게 되네요.지난 12월, 필진에 참여해 달라는 주인장의 부탁에 흔쾌히 수락했지만, 여러가지 바쁘다는 핑계로 (딸아이 출산, 전문연구요원 종료, 영국에서의 적응 등등) 차일피일 시간을 미루어 왔습니다. 마음의 여유가 없었달까요.글에 대한 생각 역시 저를 가둔 면도 있습니다. 몇개월을 고민고민해 쓴 논문이라도, 1년후에 읽어보면 아쉬운 부분이 군데군데 발견됩니다. 10년전에 어디엔가 쓴 제 글을 다시 읽으면, 마치 초등학교 시절 일기장을 읽는 것 마냥 부끄러워 얼굴이 화끈거릴 때가 많습니다. 전문가가 아니면서 '명쾌하게 써놓은 글'의 오류에 대한 책임을 질 자신이 없었습니다.그럼에도 이런 공간의 필요성에 공감한 이유는, 이 분야 (의학/의학 연구)에 대한 정보가 너무나도 부족하다..
2013.06.16 -
MD-PhD 과정에 대한 소개 ^^
의전원과 MD-phD ? 2002년 의학 입시 제도에 큰 변화가 있습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바로 의과대학으로 들어가 의사가 되는 길과 더불어 일반대학을 졸업 해 학사학위 취득 후 의학공부를 할 수 있는 길이 새로이 생겨났습니다. 그 것이 바로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스스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도입하고, 실습위주의 교육에 중점 두며,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받아들여 기초 의학의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로 도입 되었습니다. 이러한 의전원 시스템이 2003년을 시작으로 한국 대부분의 국공립 대학교와 일부 사립대에 도입 되었고, 의대/의전원 병행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의전원 전환 시 중요한 이유가 되었던 것이 기초의학의 활성화였고..
2013.01.03 -
중개의학(Translational Research - 중개 연구,병진 의학)이란 무엇인가?
의학을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에 대해서 들어본 바가 있을 겁니다. 실제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은 의학의 근간을 이루는 두개의 축이죠. 기초의학은 말그대로 기초입니다. 사람의 질병을 다루기 위해서 이용되는 직접적 치료 방법이 아닌 원리나 기전에 대해서 공부하는 분야입니다. 분자 수준에서 세포의 현상을 해석하는 생화학이라든지, 인체 감염의 근거가 되는 다양한 병원체에 대해서 연구하는 미생물학이나, 인체 방어 기전에 대해서 연구하는 면역학, 그리고 의대생하면 떠오르는 인체 해부학까지 다양한 학문이 기초의학이라는 테두리 안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1975년 노벨의학상을 수상한 Dr.Renato Dulbecco) 그에 반해 임상의학은 인체를 직접적으로 다루른 치료방법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2012.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