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요약하면, 러시아의 조직적인 담합과 시스템(?)적인 도핑으로 인해서, 러시아 육상 선수가 깡그리~ 몽땅~ 이번 브라질 리우 올림픽 출전이 금지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사실상 금지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선수도, 출전이 금지당해버렸습니다. 이신바예바는 세계적인 선수였지만, 그 이전에 러시아 육상선수였기에, 마지막 올림픽 출전이 좌절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금지 약물이 만행한 것을 방조한 러시아 당국과 선수들, 그리고 코치들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신바예바는 금지 약물을 사용하지도 않았지만, 싸잡아서 한 방에 훅 가버렸습니다.
우리 나라 역시,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과학 선진국 입장에서 본다면, 국가적으로 과학 신뢰도가 많이 깍인 적이 있었죠.
아주 잘생기시고 카리스마 넘치는 황** 선생님께서 제대로 된 한방을 날리셔서, 그 이후 한국에서 수행한 재생 의학, 줄기 세포 연구는 메이져 저널에서 그 신뢰도를 항상 의심받아 왔고, 더러는 그 신뢰도 때문에 고지를 달성하지 못하고 좌절되기도 하였습니다.
10년이 지난 이제는 어느 정도 극복한 것 같지만, 조작 스캔들로, 잃어버린 신뢰도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참고로, 복제양 돌리를 처음 만든, 이언 월머트 같은 경우에는 사실상 고든의 핵치환 복제과 함께 포유류 최초 복제로 노벨상이 유력했지만, 황박사와의 독이 든 성배를 폭탄주 원샷(?)으로 들이키면서, 안타깝게도 노벨상이 좌절되었죠. 그 영광은 아시다시피, 존 거든 경과 iPS의 신야 야마나카 박사에게 돌아 갔습니다.
역설적으로 황박사의 Nuclear transfer 복제 조작으로 iPS가 태어났으니 과학의 방향성은 정말 다채롭다고 봐야겠지만, 한 국가의 정상급 과학자가 조작 스캔들에 말리면, 얼마나 큰 파급력을 줄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교과서적인 사건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그 저력이, 신뢰도가 우리와는 상대가 안 될 정도로 두터운 것을 오보카타 사건을 통해서 보여주었습니다.
신기하게도, 오보카타 STAP cell은 일본인 과학자들의 데이터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오히려, RIKEN의 후속 조치로 신뢰도를 더 얻었다는 평도 있었습니다. 안타깝게 희생된 사사이 요시키의 죽음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와 차이나는 일본의 연구 저력을 보여주는 사건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과학, 특히 바이오, 메디슨에 대한 국가적인 신뢰도. 이제는 꽤나 많은 성취를 이루었다고 생각하지만, 혹시나 모를 큰 스캔들에 휘말리지는 않을까 조마조마 하기도 합니다.
저런 신뢰도에 대한 peer review 과학에 무조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서, 크게 제재할 수 없는 것 역시 사실입니다.
개개인의 과학자가 자신의 데이터에 확신을 가지고 언제나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Science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인 이소연, 꼭 비난받을 만한 일일까? (0) | 2020.08.10 |
---|---|
과학 철학의 부재... 그리고 정책의 부재 (0) | 2020.08.08 |
쓸데없어 보이는 연구를 해야하는 이유 (0) | 2020.08.04 |
나에게도 생겨날 수 있는 일... 구상권... (2) | 2020.07.28 |
영어 발표에 대한 이야기. (0) | 2020.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