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전문의"라는 과정이 있다는 사실은 모든 국민이 아시는 사실이죠?
근데, 도대체 전문의가 뭔지에 대한 정확하게 말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막연히, 그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있겠지. 하는 분이 대부분이실 것 같아 이 글을 포스팅 합니다.
앞에 언급한 두 글 ,
도대체 언제 진로(과)를 정할까? 와 의대는 과연 몇 년 과정일까? 를 먼저 읽으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읽으셨다면, 대략 의대-의사 과정에 대한 밑그림이 나오실 껍니다.
의사는 그 자체로 전문성을 가집니다. 국가가 보증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진료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런데, 분야에 따라서, 좀 더 자세히 필요가 있는 과들이 존재합니다.
감기와 같은 단순한 질환만 치료한다면,(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감기도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의대를 졸업한 자라면 누구나 치료할 수 있습니다만...
만약 고도로 숙련된 사람이 필요한 응급 수술 같은 것은 단순히 의대를 졸업한다고 해서 쉽게 할 수 있는 일은 아닌 것이지요.
그래서 전문의 과정에 생겨났습니다.
조금 더 배우고, 조금 더 진보된 의료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것이지요.
아래 열거된 과들이 바로 전문의 과정들입니다.
내과,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성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영상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재활의학과, 결핵과, 가정의학과, 핵의학과, 직업환경의학과, 응급의학, 예방 의학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비로소 국가에서 전문의 자격을 주는 것이지요.
전문의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환자를 치료하는데 조금 더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전문의에게 치료받는게 당연시되고 있긴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만 그러하고, 외국의 경우에는 비교적 적은 수의 전문의만 양성하기도 합니다.(호주나 유럽 쪽의 나라들이 그러하고, 미국과 같은 경우는 통상적으로 짧은 기간의 수련(일반적으로 3년)으로 1차 진료를 위한 전문의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전문의 과정은 4년 동안 진행하고, 의대를 마치고, 인턴 1년 후 결정한다. 그리고 더 자세하게 한 과목에 대해 배운다" 가 결론이 되겠습니다. ^-^
보충 설명) 일반적으로 불리는 레지던트는 이 전문의 과정을 밟고 있는 의사를 이야기 합니다. 수련의라고 하기도 하고 전공의라고도 합니다.
FineQ_OJ
( 2012.9.13 Update )
'MD : Doctor > Medical Doc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가 되면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것들 (2) | 2013.06.19 |
---|---|
의과 대학에서 받는 학위의 종류와 과정에 대한 이야기 (9) | 2013.06.15 |
떨턴 선생님들~ 군의관도 할 만 합니다. 너무 좌절하지 마세요. 새옹지마라는 말도 있잖아요. (7) | 2012.12.14 |
인턴에서 전공의(레지던트) 다가가기 ^-^ (2) | 2012.09.13 |
도대체 언제 진로(과)를 정할까? (0) | 2007.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