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의학적 관점에서 좀비라는 것의 "생명체적 특징"에 대해서 글을 써볼까 합니다. ^^ 혹, 이 외에도 다른 특징이 있으면 댓글 추가 아주 환영합니다.


1. 죽은 형태이나, 움직인다. (살아있지 않지만, 살아있는 듯이 행동한다.)


"28주 후" - "28일 후"의 후속편 격인 "28 weeks later"에 나오는 명장면이죠. 오프닝 신은 정말 잘 만들었습니다. ^^


좀비는 "이미 죽은" 시체의 형상을 띠고 있습니다만, 움직이죠. (살아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기 때문에 "움직인다"고 표현했습니다.) 여러 영화나 드라마에서 형상화된 것들을 보면, 일단, 사람이 죽고 나서 좀비로 부활(?)하는 경우가 많죠. 대체적으로 한번은 죽어야만 좀비가 되는 것이 대세(?)입니다. 심장박동이 정지된 이후에 다시금 움직이는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좀비가 되기 위해 부팅(?)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부팅이 끝나면, 전혀 이성을 갖추지 않은 형태의 좀비가 됩니다. 그리고 누가 봐도 이 건 살아있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움직입니다. 움직이기 위해서는 에너지 동력이 필요한데. 도대체 어디서 이 동력이 공급되는지 알기가 힘듭니다. ^^ 관련 글 - 좀비의 energy source에 대한 고찰


2. 끊임없이 살아있는 사람 혹은 살아있는 생명체를 먹고자 한다.


"새벽의 저주" - "Dawn of the Dead" 리메이크 영화인데 정말 잘 만들었죠.

현대 좀비물 플롯을 제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듯


좀비는 사람을 보면 무조건 달려 듭니다. 간혹 개나 고양이, 소와 같은 포유류 생명체에도 관심이 있는 좀비도 있는데, 영화에 나오는 좀비의 타겟은 대부분 사람입니다. 그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습니다. 하나 특이한 점은 "좀비끼리는 서로를 전혀 먹거리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제가 좀비라고 가정한다면, 좀비도 사람으로 보일 것 같은데, 좀비끼리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아마도, 서로간에 좀비를 좀비로 인식할 수 있는 메커니즘 (예컨대 후각이나 시각 등의 원시적인 감각을 이용한)이 작용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여하튼, 어떤 좀비든. 어슬렁거리면서 때리다가도, 사람만 발견하면, 하던 일을 멈추고, 무조건 그 쪽을 향해 이동합니다.(영화에 따라 달리기도, 걷기도 합니다) 면역학에서 자기와 비자기(Self 와 Non-self)를 구분하는 것처럼, 사람과 좀비를 구분하는 시각적 인지 기능 혹은 후각적 인지 기능은 분명히 살아있을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관련 글 -좀비는 왜 당신을 공격하는가


3. 팔 다리가 잘려나가도, 개의치 않는다.


"워킹 데드" - "Walking dead" 1시즌 초반에 나오는 명장면 중 하나죠. ^^


대부분의 좀비류의 영화에 나오는 좀비는 머리(뇌)가 손상받지 않는 한 계속 살아나고(심지어는 머리를 공격 당해도 살아나는 좀비가 나오는 영화도 있죠), 사람을 공격하고자 합니다. 팔다리가 잘리거나, 없어져도, 심지어, 워킹데드 1편에 나오는 좀비처럼, 허리 아래 하반신이 잘려나가도, 움직입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는 혈관계를 통해서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Circulation) 좀비에게는 그런 기본적인 공급망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조금 더 상상의 나래를 펴보면, 좀비의 잘려나간 팔이나, 다리가 파충류의 꼬리와는 다르게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본다면 systemic control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두가지 점에서 본다면, 좀비는 의학적으로 역설적인 개체인 것만큼은 사실입니다.아울러, 팔이 잘리거나 다리가 부러질 때 느끼는 통증도 거의 못 느낍니다. 관련 글 - 코리안 좀비 정찬성, 통증 그리고 인식


4. 창백하다. 


개콘의 "좀비 프로젝트" 보시는 바대로 아주 창백한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


대부분의 좀비는 창백합니다. 특히 얼굴을 보면, 산 송장처럼 (실제로 좀비를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산 송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하얗거나, 거무틱틱합니다. Blood Circulation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죠. 개인적으로는 좀비의 BP(Blood Pressure)가 너무도 궁금한데, 아무도 조사한 바가 없더군요. ^^ 여하튼, 창백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제대로 된 체순환이 되고 있지 않다는 이야기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모든 사지 관절이 Brain의 명령을 받아서 일사 분란하게 움직이는지. 정말 너무 궁금합니다. ^^ 응급실에도 창백한 환자가 오면 1순위이죠. 혹시 모를 심장 질환에 대비해서, 흉통에 대한 조사를 열심히 하는데, 심장이 멎으면 생명을 유지하기가 힘들기 때문이죠. 관련 글 - Zombie's skin (부제 : 좋은 피부는 사랑을 얻는다 !!!)


5. 말을 하지 못한다.


"웜 바디스" - "Warm bodies"에서 나오는 유일한 "좀비의 대화"같은 장면.. ^^


좀비는 말을 하지 못합니다. 어~~~~어~으~~으... 와 같은 감탄사(?) 혹은 괴성을 지르긴 하지만, "언어"라고 말할 수 있는 의사 소통 수단은 존재하지 않죠. 무언가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것 같지도 않고, 사람의 의사를 전달하지도 않는 듯 하죠. 이해하는 것은 뇌안에 있는 Wernicke's area의 역할이고, 말하는 것Broca's area의 역할이죠. 즉, 어휘를 담당하는 뇌부분이 완전히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본능적인 뇌부분만 살아있을 뿐 (사실 이것도 먹는 것에만 국한되어 있죠. 자거나, 생식을 하는 욕구는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다른 기능적인 부분, 특히 언어, 인지, 기억을 거의 못하는 점을 본다면, 그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frontal area, temporal area는 기능을 하지 않고, 죽어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6. 물리면 좀비로 변한다.


"월드 워 Z" - "World war Z" 삽시간에 북한을 제외한 전세계를 초토화시킨 엄청난 전파력을 가진 좀비 바이러스


좀비에 물리면, 좀비가 된다는 것은 좀비 영화나 드라마의 절대적인 전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살이 뜯겨서 죽는다"는 고통보다, "좀비에게 물려서 좀비가 된다"는 고통이 더 클 수도 있죠. 안타깝게도 좀비에게 "물리는" 과정으로 좀비가 된다는 것은 좀비가 되는 경로가 "감염"이라는 것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사실 광견병같은 경우가 개에게 물려서 감염되거든요. 하지만, 의학적인 부분에서 조금 다른 부분은, 감염의 시간이 비이상적으로 짧다는 것입니다. 병원체에 감염되면 최소한 2-3일 숙주(Host)에서 병원체가 충분히 분열해서 세를 확장하는 시간이 필요한데, 좀비에게는 그런  것이 전혀 없죠. 물리고 나서, 짧게는 10분 내외에서 길어도 하루 내외에서 좀비로 변하게 됩니다. 좀비가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라면, 필연적으로 타액(침)으로 감염이 되고, 그 감염 전파력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좀비의 특징이 있겠죠. ^^ 대략적으로 살펴본 좀비의 의학적 특징은 요정도가 될 듯 합니다. 또 다른 좀비 clue가 있다면, 댓글을 달아 주시면 글타래로 엮어 글을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난 사실 좀비에 대해서 잘 모른다. 무섭고 역한 장면 시청을 꺼려하는지라, 이번 주제 탐구를 위해서 찾아 본 ‘Warm bodies(2013)’라는 영화가 내가 집중하고 접한 유일한 좀비물이다. 이 영화는 좀비를 다른 시각으로 보려고 한 로맨틱 코미디였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영화 초반부에 좀비들이 사람들의 생살을 뜯어먹는 장면이 보고 있기 괴로웠다. 따라서 필자가 좀비 자체에 대한 식견은 없다는 점을 양해드리며, 그래도 내가 느낀 좀비의 독특한 특성을 과학자적 시각으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좀비(Zombie)에 대한 고전적인 기술을 찾아가보자면, 좀비의 어원은 콩고(kongo)어에서 '영혼'을 뜻하는 'nzambi'에서 유래되었다. 아프리카 흑인 노예들이 미 대륙으로 이주되면서 아이티(Haiti)의 흑인 사회에서 부두교 (Vodou)가 생겼고, 'zonbi'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부두교의 강력한 사제인 boko가 시체에 주술과 마법을 걸어서 영혼이 없는 노예인 'zonbi'로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림1-1).


 반면, 우리가 영화 등에서 접하고 있는 좀비의 prototype을 만든 것은 조지 로메로 (George A. Romero) 감독의 1968년 영화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Night of the living dead)’이다. 이 영화에서 로메로 감독은 좀비에게 흡혈귀의 특성을 가미하여 공포의 존재로 만들었고, 이후의 영화 등에서도 그러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로메로 좀비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림1-2)


, 우리가 접하는 좀비는 로메로 좀비이며, 나의 과학적 고찰도 로메로 좀비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고전적 좀비와 달리 로메로 좀비는 주술과 마법이 아닌 방사능, 바이러스 감염등에 의해 좀비로 만들어지고, ‘노예가 아니라 사람을 공격하는 파괴자이다.

 

 

영화 속에서 좀비는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을 먹는다고 이야기 한다. 아마도 그러한 섭취가 그들이 ‘living dead’로서 ‘living’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일 것이다. 우리 같은 생명체가 음식을 먹으면 (ingestion) 소화기에서 효소(enzyme)를 이용해 소화(digestion)가 되고 glucose 등의 기본단위 영양소들이 세포로 전달되어 미토콘드리아에서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만들어서 생명현상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그림2). 


하지만 좀비는 기본적으로 대사(metabolism)’가 없다. 혈액순환이 없어서 총을 맞아도 피가 나지 않고, 상처가 생겨도 그 모양 그대로 남을 뿐이다. , 음식을 통해서 에너지 생산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Warm bodies(2013)'에서 좀비 'R'이 사람 '줄리'를 좀비들 사이에서 숨겨주기 위해 "좀비인 척 해"라고 해서, 줄리가 과도하게 팔다리를 뻣뻣하게 하고 걷자, 귓속말로 "오바 하지마"라고 이야기하는 장면이 있다. 이러한 영화 속 좀비의 뻣뻣한 팔다리는 아마 사후경직(postmortem rigidity)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2-1)


그림 2-1. Warm bodies에 나오는 사후경직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생명체의 모든 현상은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산되는 ATP라는 에너지 화폐를 사용하여 일어나게 되고, 근육의 수축과 이완도 물론 ATP를 사용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생명체가 죽으면 ATP 생성이 되지 않으므로 근육 섬유인 myosinactin에 수축상태로 붙어있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사후경직이다


근육을 다시 이완 상태로 돌리기 위해서는 ATP의 결합에 이은 ADP로의 전환이 필요하고, 이어서 칼슘이온(Ca2+)이 전달되면 ADP가 떨어지면서 myosin이 수축하며 actin에 붙게 된다  (그림3). 이렇게 근육은 ATP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muscle fiber 주변에 ATP공장인 미토콘드리아들이 무수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영화 속 좀비들은 좀 뻣뻣하긴 해도 잘 움직이고, 때로는 폭발적인 스피드로 움직이기도 한다. ATP를 생산할 수 없을 텐데 말이다. 그들의 에너지 "화폐"는 ATP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죽어있는 좀비의 ‘living’은 이렇듯 생명체의 ‘living’ 기전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그래도 어쨌든 걔네들이 어떻게 ‘living’하고 있는지 설명하기 위한 비과학적인 상상을 조금 해보자. 아마도 생명체의 원리와는 다른 3의 에너지 시스템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해야 할 것이다.


좀비는 도대체 어떻게 에너지를 얻을까?


추측의 단서로서, 영화 속 좀비는 살아있는 모든 것을 먹는다. 심지어 사냥을 할 때 일단 대상의 숨통을 끊고 먹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상태의 생살을 뜯어 먹는다. 좀비는 이런 신선한 생명체의 생살에서 에너지원을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이 ATP일 수도 있겠고 다른 무언가 일 수도 있겠다 (그림4)


다만 ATP는 음식물의 영양소처럼 섭취되어 온 몸으로 전달되는 개념이 아니라, 각 세포 단위에서의 자체수급을 하는 구조이므로 말이 안되긴 하지만 말이다. 그리고 단백질 등을 섭취하는 것이라고 해도, 좀비는 소화를 시킬 수가 없고, 소화된 영양분을 온 몸의 세포로 전달시킬 혈류 (blood circulation)’ 를 가지고 있지도 않다. 아무튼 그러한 생살 섭취가 좀비의 ‘living’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그로인해 섭취되는 것은 어쩌면 '활력(vitality)' 같은 무형의 에너지라고 상상할 수도 있겠다. 그리고 '혈류'가 없는 좀비가 그렇게 섭취한 에너지를 온 몸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혈류 이외의 3의 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좀비의 'living'을 통제하는 중심부에 대한 추측을 해보자. 영화 속에서 좀비의 ‘living’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소위 말하는 ‘head shot’ 등으로 머리를 공격해야 한다. 그리고, 좀비가 깨문 사람은 기본적으로 또 하나의 좀비가 되지만, 좀비가 희생자의 를 먹는 경우, 뇌가 없는 희생자는 좀비가 되지 않는다고 설정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봤을 때, 좀비도 생명체와 비슷하게  ‘living’ ‘control tower’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상상의 존재인 좀비에 대해서 과학적인 고찰을 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긴 하지만, 죽어서 생명이 없음에도 ‘living’을 하고 있는 좀비에 대한 고찰이 오히려 생명체와 생명현상의 기본적인 원리에 대한 고찰을 하는 좋은 계기가 된 것도 같다. 

 



Vivien Theodore Thomas. 토마스 비비안

영화 Something the lord made에 나오는 주인공 중 한 명이죠. 다른 주인공인 알프레드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이전 포스트 알프레드 블라락 이야기를 보시죠 ^^


그는 정식 의사는 아니었습니다.

결국 그는 존스 홉킨스 의대에서 명예 박사를 받습니다. 물론 그는 영화에서 알려진 것처럼 의학 박사를 받은 것이 아니고, 법학박사(Honorary Doctor of Laws)를 받고, Dr(Doctor)로 불리게 됩니다.그렇지만 그의 업적은 의학에 대부분 포진되어 있죠.

그는 1930년에 닥터 Alfred Blalock을 밴더빌트에서 만나면서 의학과 인연을 맺게 됩니다. 원래는 대학학을 간 후에 의과대학(정확히 이야기 하면 의전원이죠-미국시스템)을 진학할 예정이였으나, 미국이 대공황에 빠짐과 동시에, 가장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Dr.ALfred Blalock과 같이 일을 하게 됩니다.

당시만 해도 shock은 혈액내에 있는 Toxin에 의해서 생겨난다는 이론이 팽배했었죠. 외상을 입으면, 그 toxin이 activation되어서 결국 죽음으로 이른다는... 현재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이론이 팽배했던 시절이였습니다. (자세한 쇼크에 대해서 아시고 싶으신 분은 링크로)

이 이론에 닥터 블라록은 의문을 품었고, 비비안과 함께 "혈액의 부족이 결국 Shock를 만들어 내고, 그 것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라는 가설을 실험적으로 증명합니다.

당연히 이 때 비비안 토마스는 shock 동물 모델을 만들고, 실험적인 일들을 대부분 수행하게 됩니다. 사실상 토마스가 한 일은 현재의 개념으로 본다면 postdoc - 박사후 과정 혹은 senior researcher(선임 연구원)이 하는 수준이였죠.

Shock에 대한 치료법 개발로 Dr.Blalock은 존스홉킨스로 옮기게 되고, 비비안 역시 블라록의 권유로 자리를 옮기게 됩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존스홉킨스 일대는 인종 차별이 심했고, 흑인에게는 단순 노동만 시켰던지라, 비비안 역시 janitor(현재로 본다면 병원 청소부)로서 대우를 받게 됩니다. 물론 하는 일은 포닥급이였지만요.

그들을 더 유명하게 해 준 사건은 바로 Tetralogy of Fallot (blue baby syndrome)-팔롯사징의 외과적 치료입니다.당시 이 질환에 대해서는 치료법이 거의 없고 부모로서는 애가 죽어가는 과정을 지켜볼 수 밖에 없었던.. 어찌보면 아주 의사를 좌절시키는 질환 중 하나였습니다. 그 때, 비비안과 닥터 블라록이 동물 모델을 만들어 처음으로 사람에게 시도한 것이지요.

이 때 시도한 환자 이름은 Eileen Saxon. 18달밖에 되지 않은 소녀였습니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이루어 졌고, 의료법 상 의사가 아닌 비비안은, 블라록이 수술할 때 옆에서 지켜보면서 수술을 도왔다고 합니다. 

집도는 하지 않고. 지시를 했는 것처럼 영화에서는 나오지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보조자로서 수술 참관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동물은 구조적으로 많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비비안이 기여한 것은 맞지만, 수술적인 부분을 하나하나 지시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

재미있는 일화 중 하나는, 이 때 TOF를 치료하기 위해 만든 동물 모델 중 shunt 수술을 받은 Anna라고 불리는 개 초상화가 존스 홉킨스 벽에 걸려 있다는 사실이지요. 존스 홉킨스 의대에 걸린 유일한 동물 사진이라고 하네요.

비비안의 선구자적인 면모는 흉부외과 의학 기구 개발로 이어집니다. 당시 동물 수술을 하면서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은 비비안은 수술에 필요한 도구를 직접 만들어 내죠. 당시만 해도 흉부외과라는 분야가 없었기에(비비안과 블라록 이후 현재 개념의 흉부외과가 생겨납니다) 당연히 기구도 없었겠죠. 비비안은 다양한 기구들을 만들어 내고, 직접 이용하기도 합니다.

위키에 언급된 바에 따르면, 블라록이 수술한 3개의 케이스 18개월짜리 여아, 11세 여아, 그리고 6살 남자 아이에 대한 수술 보고가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에 실리게 되지만, 비비안에 대한 언급은 없죠. 수술의 기본적인 실험 모델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수술 자체나 임상 경과 결과 보고라는 논문 내용만 봤을 때는 분명히 비비안에 대한 언급을 할 필요가 없긴 합니다. 비비안 측으로는 분명히 억울할 수도 있지만, 수술 집도를 포함해 다른 임상적인 부분에는 비비안의 기여가 적거나 거의 없으니깐요. 다만, 실험적 모델 단독으로 논문을 제시했었더라면 비비안이 주가 되었을 것이라 생각하고, 현재의 저자 개념으로 본다면 공동저자로 들어가거나, 최소한 acknowledgement 에는 들어가야 했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비비안의 술기 능력은 가히 뛰어났다고 합니다. 거의 수처 라인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수술이 완벽에 가까웠습니다. 닥터 블라록은 그런 것을 보고 "이건 신이 만든 것 같군"이라고 이야기 했답니다. 영화에서도 나오죠. 그래서 결국 제목으로 선택되었지만요. (섬딩 더 로드 메이드 - Something the lord made) [각주:1]

물론 그도 정규 교육을 받아서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시간적인 면에서 너무 큰 난관이 있어서 그렇게 하지 못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계속 외과 일을 했고, 닥터 블라록이 암으로 죽은 이후에도 15년 동안이나 외과에서 일을 합니다. 결국 그는 외과 수련지도자로서 faculty 포지션을 받아서 외과 의사들을 양성하죠.

(비비안이 쓴 자서전)


그리고 결국 1968년도에는 그에게 교육받은 외과 의사 제자들에 의해서 초상화로 헌정되고, 닥터 블라록 옆에 자리하게 됩니다. 최고의 영광을 받게 된 것이지요.

스 홉킨스 의대에서는 매년 본과1학년 학생을 네그룹으로 나누어서 가르치는데 그 중 한 그룹의 이름이 비비안 토마스라고 합니다. 의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모범이 되는 faculty라는 아주 영예로운 업무를 받은 것이지요.

이런 것을 보면서 의학자가 된 사람들이 도전정신을 가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겠지요. 세계 최고의 의과대학이라는 존스 홉킨스 의대의 도전 정신사람에서도 나오지만, 그걸 만들어 내고, 칭찬하는 시스템에서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Journal of Surgical Case Reports라는 저널은 그 해 Best Report에게 토마스 상을 준다고 하는군요. 외과학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친지 알 수가 있겠죠?

비비안 토마스는 정식 의사는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의 선구자로서 흉부외과를 개척했다는 점에서 아무도 이론을 달지 않습니다. 그가 가진 의학에 대한 열정. 그리고 인종을 넘어선 실험 정신은 존경받아 마땅하고, 현재 미국을 넘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존경 받고 있습니다.

우리도 그런 정신을 가지 의학자, 의과학자가 많이 나오길 기대하면서 글을 마칩니다.



  1. 여담이지만 제목이 조금 어렵거나 일반적이지 않아서 한국 내에서 큰 흥행을 못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제목만 잘 만들었다면 정말 대박일텐데, 영어 제목은 정말 멋지거든요.근데 한글로 번역도 안하고 그대로 적은 것은 정말 치명적인 실수라 생각합니다. [본문으로]

영화 something the lord made 에 나온 두 주인공이죠.

Dr. Alfred Blalock and Dr. Vivien Thomas

편의상 알프레드와 비비안이라고 칭하고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Cardiac surgery pioneers Alfred Blalock and Vivien Thomas


이번 포스트에서는 알프레드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들의 연구 업적, 그리고 그들의 일생에 대해서 이야기할까 싶습니다. 

Dr. Alfred Blalock. 그는 존스홉킨스 의대에서 학위를 받고 수련을 받습니다. 재미있는 사실 중에 하나는 알프레드가 내과학의 전설(?)로 알려진 해리슨과 아주 친한 친구였다는 사실입니다.테니스 복식조로 Nashville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Harrison이죠 ^^ 책을 펴면 제일 앞에 나오는 ^^)



 (해리슨은 내과학에서 세실과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는 교과서 이름 중 하나죠. 거의 매년 업데이트되고 내과학 교과서로 명성과 공신력이 대단하죠.)

Edi poses a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Edi poses a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by ragesoss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홉킨스에서 수련을 마치고 벤더빌트 대학으로 자리를 옮겨서 본격적인 의학 연구에 돌입합니다. 이 때 주로 연구한 것은 Shock에 대한 것이지요. 예전에 쇼크에 대해서 포스트를 했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혈액이 적은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쇼크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치료가 수혈이나 수액 보충이라는 사실은 너무나도 당연한 상식입니다만, 당시 1930년도만 해도 외상으로 인한 출혈성 쇼크에 대해 마땅한 치료가 없었죠. 쇼크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한 사람이 바로 알프레드였던 것이죠.

영화에도 잠시 언급이 되지만, 외상이나 출혈로 인해서 혈압이 낮아졌을 때, 도대체 뭘 해야 하는지 의학적으로 처음 밝힌 것이 그였죠.(정확히 따지자면, 처음 밝혔다기 보다는 치료적 방법론 설정이 더 정확한 표현일껍니다)

 당시 수혈이 외상성 쇼크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동물(개)모델을 이용해서 처음 보여 주었고, 그 연구는 후에 2차 세계 대전에서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었습니다. 당연히 전쟁 중에는 외상으로 인해 출혈성 쇼크를 나타내는 환자가 많았고, 그 환자들을 수혈함으로써 살릴 수 있었던 것이죠.

안타깝게도 그는 밴더빌트 대학에 있는 동안 결핵에 걸리게 되고, 죽음 직전까지 간 경험도 있었습니다. 이런 죽음에 가까운 경험이 결국 그를 더욱 더 의학에 매진하게 하였겠죠.

1941년 그는 비로소 존스 홉킨스 의대로 초청받아 오게 됩니다. 거기서 그는 다양한 외과 기술을 이용해서 순환기 계열 질환을 치료하게 됩니다. 당연히 비비안도 같이 와서 다양한 실험을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

ToF.AVSD
ToF.AVSD by HeartBabyHome 저작자 표시비영리


Tetralogy of Fallot (팔롯사징-TOF)이라는 선천성 심기형을 치료하기 위해서 세계 최초로 심장에 칼을 댑니다. (실제로 심장에 칼을 대는 것은 아니고, 그 주변부에 일늘 subclavian artery와 pulmonary artery를 연결하죠) 여하튼 선천성 심질환인 TOF를 "수술"로서 극복하게 되는 것이지요.  현재는 이 수술(Blalock-Thomas-Taussig shunt)는 더이상 이용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당시에는 획기적인 수술이였죠.

이 수술을 기점으로, 흉부 외과라는 과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즉 심질환을 내과적 치료가 아닌 외과적 수술로 극복하는 개념이 드디어 시작된 것이지요. 현대 흉부외과의 효시인 셈이지요.


이 수술로 1954년도에 임상 의학 부분으로 라스커 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안타깝게도 토마스 비비안은 빠져 있죠.
 



그리고 현재 존스 홉킨스 병원에는 그의 이름을 딴, Alfred Blalock Clinical Science Building도 있죠. 그리고 존스 홉킨스 의대에서는 Helen B. Taussig-Alfred Blalock Research Prize로 명명된 상도 있죠.

한 분야에 대해서 효시라는 타이틀을 얻는 것은 정말 명예로운 일인 것만큼은 사실이죠. 그리고 알프레드는 흉부외과의 선구자로, 의학자로서 그 명성이 아주 대단했습니다. 당시 존스 홉킨스로 몰려온 선천성 심장질환 소아 환자가 아주 많았습니다. 이는 결국 "세계 최고의 의대가 어느 곳이냐" 하는 논쟁에서 존스 홉킨스 의대가 하버드 의대를 한발짝 앞서 나간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한가지의 임상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실 대단히 많은 실험적 증거가 필요하고, 당시 심장질환의 외과적 접근 역시 당연히 실험적 근거에 기반해서 수행되었습니다. 물론 현재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실험에서 수행되었지만, 당시에도 동물 실험과 같은 근거는 필수적이였습니다. 

그리고 그 수술 역시 상당한 리스크가 있는 무모한 도전일 수도 있지만, 결국은 성공하였습니다. 집도의 개인의 실험적 근거 확신, 그리고 근거가 있는 도전에 대해서 관대한 교육적 문화, 의학과 환자 치료에 대한 열정을 가진 다양한 사람이 결국은 한계를 극복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알프레드는 실제로 조금은 shy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에 대한 열정과 남다른 시야로 현대 흉부 외과학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의과학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임상의학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근거 없는 경험이 아니라, 확실한 근거를 가진 과학으로 임상을 다룬 알프레드.

"당신의 열정이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였습니다."

Alfred Blalock M.D.

(1899.4.5 - 1964.9.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