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의학적 관점에서 좀비라는 것의 "생명체적 특징"에 대해서 글을 써볼까 합니다. ^^ 혹, 이 외에도 다른 특징이 있으면 댓글 추가 아주 환영합니다.


1. 죽은 형태이나, 움직인다. (살아있지 않지만, 살아있는 듯이 행동한다.)


"28주 후" - "28일 후"의 후속편 격인 "28 weeks later"에 나오는 명장면이죠. 오프닝 신은 정말 잘 만들었습니다. ^^


좀비는 "이미 죽은" 시체의 형상을 띠고 있습니다만, 움직이죠. (살아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기 때문에 "움직인다"고 표현했습니다.) 여러 영화나 드라마에서 형상화된 것들을 보면, 일단, 사람이 죽고 나서 좀비로 부활(?)하는 경우가 많죠. 대체적으로 한번은 죽어야만 좀비가 되는 것이 대세(?)입니다. 심장박동이 정지된 이후에 다시금 움직이는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좀비가 되기 위해 부팅(?)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부팅이 끝나면, 전혀 이성을 갖추지 않은 형태의 좀비가 됩니다. 그리고 누가 봐도 이 건 살아있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움직입니다. 움직이기 위해서는 에너지 동력이 필요한데. 도대체 어디서 이 동력이 공급되는지 알기가 힘듭니다. ^^ 관련 글 - 좀비의 energy source에 대한 고찰


2. 끊임없이 살아있는 사람 혹은 살아있는 생명체를 먹고자 한다.


"새벽의 저주" - "Dawn of the Dead" 리메이크 영화인데 정말 잘 만들었죠.

현대 좀비물 플롯을 제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듯


좀비는 사람을 보면 무조건 달려 듭니다. 간혹 개나 고양이, 소와 같은 포유류 생명체에도 관심이 있는 좀비도 있는데, 영화에 나오는 좀비의 타겟은 대부분 사람입니다. 그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습니다. 하나 특이한 점은 "좀비끼리는 서로를 전혀 먹거리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제가 좀비라고 가정한다면, 좀비도 사람으로 보일 것 같은데, 좀비끼리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아마도, 서로간에 좀비를 좀비로 인식할 수 있는 메커니즘 (예컨대 후각이나 시각 등의 원시적인 감각을 이용한)이 작용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여하튼, 어떤 좀비든. 어슬렁거리면서 때리다가도, 사람만 발견하면, 하던 일을 멈추고, 무조건 그 쪽을 향해 이동합니다.(영화에 따라 달리기도, 걷기도 합니다) 면역학에서 자기와 비자기(Self 와 Non-self)를 구분하는 것처럼, 사람과 좀비를 구분하는 시각적 인지 기능 혹은 후각적 인지 기능은 분명히 살아있을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관련 글 -좀비는 왜 당신을 공격하는가


3. 팔 다리가 잘려나가도, 개의치 않는다.


"워킹 데드" - "Walking dead" 1시즌 초반에 나오는 명장면 중 하나죠. ^^


대부분의 좀비류의 영화에 나오는 좀비는 머리(뇌)가 손상받지 않는 한 계속 살아나고(심지어는 머리를 공격 당해도 살아나는 좀비가 나오는 영화도 있죠), 사람을 공격하고자 합니다. 팔다리가 잘리거나, 없어져도, 심지어, 워킹데드 1편에 나오는 좀비처럼, 허리 아래 하반신이 잘려나가도, 움직입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는 혈관계를 통해서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Circulation) 좀비에게는 그런 기본적인 공급망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조금 더 상상의 나래를 펴보면, 좀비의 잘려나간 팔이나, 다리가 파충류의 꼬리와는 다르게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본다면 systemic control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두가지 점에서 본다면, 좀비는 의학적으로 역설적인 개체인 것만큼은 사실입니다.아울러, 팔이 잘리거나 다리가 부러질 때 느끼는 통증도 거의 못 느낍니다. 관련 글 - 코리안 좀비 정찬성, 통증 그리고 인식


4. 창백하다. 


개콘의 "좀비 프로젝트" 보시는 바대로 아주 창백한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


대부분의 좀비는 창백합니다. 특히 얼굴을 보면, 산 송장처럼 (실제로 좀비를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산 송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하얗거나, 거무틱틱합니다. Blood Circulation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죠. 개인적으로는 좀비의 BP(Blood Pressure)가 너무도 궁금한데, 아무도 조사한 바가 없더군요. ^^ 여하튼, 창백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제대로 된 체순환이 되고 있지 않다는 이야기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모든 사지 관절이 Brain의 명령을 받아서 일사 분란하게 움직이는지. 정말 너무 궁금합니다. ^^ 응급실에도 창백한 환자가 오면 1순위이죠. 혹시 모를 심장 질환에 대비해서, 흉통에 대한 조사를 열심히 하는데, 심장이 멎으면 생명을 유지하기가 힘들기 때문이죠. 관련 글 - Zombie's skin (부제 : 좋은 피부는 사랑을 얻는다 !!!)


5. 말을 하지 못한다.


"웜 바디스" - "Warm bodies"에서 나오는 유일한 "좀비의 대화"같은 장면.. ^^


좀비는 말을 하지 못합니다. 어~~~~어~으~~으... 와 같은 감탄사(?) 혹은 괴성을 지르긴 하지만, "언어"라고 말할 수 있는 의사 소통 수단은 존재하지 않죠. 무언가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것 같지도 않고, 사람의 의사를 전달하지도 않는 듯 하죠. 이해하는 것은 뇌안에 있는 Wernicke's area의 역할이고, 말하는 것Broca's area의 역할이죠. 즉, 어휘를 담당하는 뇌부분이 완전히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본능적인 뇌부분만 살아있을 뿐 (사실 이것도 먹는 것에만 국한되어 있죠. 자거나, 생식을 하는 욕구는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다른 기능적인 부분, 특히 언어, 인지, 기억을 거의 못하는 점을 본다면, 그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frontal area, temporal area는 기능을 하지 않고, 죽어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6. 물리면 좀비로 변한다.


"월드 워 Z" - "World war Z" 삽시간에 북한을 제외한 전세계를 초토화시킨 엄청난 전파력을 가진 좀비 바이러스


좀비에 물리면, 좀비가 된다는 것은 좀비 영화나 드라마의 절대적인 전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살이 뜯겨서 죽는다"는 고통보다, "좀비에게 물려서 좀비가 된다"는 고통이 더 클 수도 있죠. 안타깝게도 좀비에게 "물리는" 과정으로 좀비가 된다는 것은 좀비가 되는 경로가 "감염"이라는 것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사실 광견병같은 경우가 개에게 물려서 감염되거든요. 하지만, 의학적인 부분에서 조금 다른 부분은, 감염의 시간이 비이상적으로 짧다는 것입니다. 병원체에 감염되면 최소한 2-3일 숙주(Host)에서 병원체가 충분히 분열해서 세를 확장하는 시간이 필요한데, 좀비에게는 그런  것이 전혀 없죠. 물리고 나서, 짧게는 10분 내외에서 길어도 하루 내외에서 좀비로 변하게 됩니다. 좀비가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라면, 필연적으로 타액(침)으로 감염이 되고, 그 감염 전파력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좀비의 특징이 있겠죠. ^^ 대략적으로 살펴본 좀비의 의학적 특징은 요정도가 될 듯 합니다. 또 다른 좀비 clue가 있다면, 댓글을 달아 주시면 글타래로 엮어 글을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좀비의 피부와 관련된 글을 써달라는 오지의 마법사 청탁(?)을 받,  달여 전쯤에 일단 영화를 하나 보았다. 최근 개봉한  바디스 라는 영화였다. 유치한 따뜻함(?) 같은  있어 보고 나서 후회하지는 않았지만, 남자 주인공 (좀비 R)  니콜라스 홀트(Nicholas Hoult)가 여자 주인공(줄리) 테레사 팔머(Teresa Palmer)의 마음을 얻는 과정에서 나는 다시 한번 피부의 (?) 느낀다. 


심장이 뛰기  니콜라스 홀트(Fig.1)  본판(?) 좋으나, 여자가 사랑에 빠지기에는 일단 피부가 너무  좋다. 너무 창백하고 왼쪽 뺨에는 hypertrophic scar  있으며 양쪽 목에는 도드라진 혈관(telangiectasia or vascular malformation) 있다. 

(Fig.1 R의 hypertrophic scar와 telangiectasis) 

(Fig.1 R의 hypertrophic scar와 telangiectasis) 

그러다 심장이 뛰기 시작하면서 피부 톤이 밝아지고, hypertrophic scar  telangiectasis등이 사라진다. (Fig.2) 나는 이렇게 좋아진 피부 테레사 팔머의 마음을 얻게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믿는다. 

(Fig.2. 심장이 뛰면서 밝아진 피부톤 - 한결 나아 보이고, 본판(?)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외모는 돈으로 환산될  있고, 훌륭한 외모의 구성 요소  깨끗한 피부 비교적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지라 사람들은 건강하고 매력적인 피부를 얻는데 돈을 지불할 준비가 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피부과들이 성업할  있으며, 실제로 피부과 의사가 아닌 의사들도 진료과목을 ‘피부과’  하여 개원하는 것이 현실이다. (Fig.3,4)


(Fig.3. 길거리를 보면 미용 관련 병원이 성황중이다.)


 나는 고차원적이든, 그렇지 않든 이러한 인간의 기본적은 욕구를 가장 예민하고 빠르게 읽어서 상품화하는 자본주의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람들이 ‘건강하고 매력적인 피부’  지불하는 재화의 크기도 문제삼고 싶지 않다. 피부과 의사가 강요에 의해’ 원하지 않는 사람들의 주머니를 털어가는 것은 아니니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재화를 받고 대가를 지불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그 것은 책처럼 유형의 것이 될 수도 있고, 지식처럼 무형의 것이 될 수도 있다. 오늘 저녁에 맛있게 먹은 김치찌개 역시, 내가 원해서 "돈을 지불하고 먹는 것"이니깐, 의료 비용 역시 환자가 원하는 합당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가를 지불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Fig.4. 강남에 "피부과"라는 이름으로 검색하면 나오는 병원들 -본 내용과는 상관 없음)


 다만, 의료인으로서 그리고 의료인이기 이전 양심을 가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적어도 환자에게 " '거짓말 하면  된다" 생각한다. 효과가 없는 치료를 효과가 있다고 이야기 하거나, 매출을 올리기 위해 환자에게 필요하지 않은 적절히 않은 시술을 전문적인 지식을 무기 삼아 권유해서는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나 의사와 환자 관계에서는 의료 정보라는 가치 체계에서 정보의 편중이 심한 편이기 때문에, 이는 도덕적으로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물론, 병의 치료에는 다양한 근거 있는 치료 방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의사에 따라서 어느 정도의 편차는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선을 넘어가는 (소위 말하는 상도를 어기는) 행위는 분명히 지탄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마다 적절한 진료의 기준이 다르므로 나와 생각이 다를  있겠지만, 병원에서 종사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도 자본 주의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에, 매출이나, 수익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나는 적어도 양심적인 피부과 의사라면 환자에게 "정도를 벗어난 치료" 권유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현재 의료 체계와 의학의 큰 틀은 "근거 중심 의학"이기 때문에, 의학 교육을 받은 누가 보아도, 어떤 시술이 "정도"를 벗어났는지 그 테두리에 있는지, 혹은 근거가 있는지를 조금만 찾아보면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의학"에서는 그런 월권(?)행위가 비교적 적은 편이긴 하다.


그리고 많은 피부과 의사들이 "어떤 치료를 하더라도 좀비의 피부를 사람의 피부로 만들 수는 없다"고 자신 있게 환자 앞에서 말하고 있다 생각한다. 배가  고프더라도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