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11)
-
의대생 군복무를 공중 보건의로 선택하려면? ^^
2.공중 보건의 사실 면제가 아닌 남자 의대생으로서 바로 생각하는 것이 군의관이지요. 혹, 미국행이나 다른 직업(커리어 전환)을 생각하시고 계시는 많은 분들이 취하는 선택이기도 합니다. 학교를 졸업하면 바로 신청 가능하니, 조기에 진로를 결정하신 분은 대부분 공중 보건의로 결정하죠. 의대졸업과 함께 복무하거나, 또는 인턴, 전문의를 마치신 분이 운좋게 또는 특정과(산부인과, 소아과 등)의 특성상 군의관을 뽑지 않아서 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공중보건의의 지원대상은 다음과 같으나 ,공중보건의에 대한 나이제한은 현재까지 두지 않고 있습니다. ㅇ 현역병입영대상자로서 의무분야 현역장교 병적에 편입을 지원하였으나 그 편입이 되지 아니한 사람 ㅇ 의무사관후보생의 병적에 편입된 사람으로서 의무분야 현역장교의 병적에 편..
2012.11.05 -
인턴에서 전공의(레지던트) 다가가기 ^-^
오늘 각 병원마다 전공의 발표가 났더군요. 그래서 이렇게 글을 써 보네요. 일단 앞서 글에서 전문의는 도대체 뭐야? 에 대한 글을 읽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단 전문의가 되려면 인턴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인턴... 바쁘게 다양한 일을 단순히 시키는대로 해야만 하는 좀비같은 존재.. 매일 잠이 모자라고, 힘든 고생에, 위에서 오는 타박....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라는 첫 발을 내밀며, 환자에 대한 사명감으로 하루 하루를 살아갑니다. 그리고 전문의(레지던트 수련) 과정에 뽑히기 위해서, 자기가 지원하려는 과에 잘 보여야 할 의무(?)도 있습니다. 여기 저기서 치이기도 하지만,(환자에게 불평 듣고, 간호사에게 꾸중 듣고... 전공의 1년차에게 꾸지람 듣고... 그나마 교수님들은 머라 그러시지 않죠...
2012.09.13 -
도대체 언제 진로(과)를 정할까?
지난 포스트 "의대는 과연 몇 년 과정일까?" 에서 의대의 과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제가 의대를 다니면서 제일 많이 들었던 질문 중의 하나는 "그럼 무슨 과야?" 혹은 "전공은 뭐야?" 였습니다. 물론 "시체 해부하면 무섭지 않아?"도 당연히 많았습니다만, 그 이야기는 나중에 하도록 하고요. 과를 정하는 시점을 정확히 이야기 한다면, 인턴이 마친 시점에 진료과목을 정합니다.물론 저와 같이 기초의학을 전공하거나, 다른 분야로 진로를 정하는 경우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면허증을 받은 후에 진로를 정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인턴이 마친 시점에 자신의 전공을 정합니다. 즉 의대(의전원 포함)를 졸업하고, 1년 인턴 과정을 마친 후에 과를 정한다는 이야기이지요. 여기서 말하는 과는 내과, 외과, 정신과 ,정형..
2007.12.26 -
전문의는 도대체 뭐야?
일단 "전문의"라는 과정이 있다는 사실은 모든 국민이 아시는 사실이죠? 근데, 도대체 전문의가 뭔지에 대한 정확하게 말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막연히, 그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있겠지. 하는 분이 대부분이실 것 같아 이 글을 포스팅 합니다. 앞에 언급한 두 글 , 도대체 언제 진로(과)를 정할까? 와 의대는 과연 몇 년 과정일까? 를 먼저 읽으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읽으셨다면, 대략 의대-의사 과정에 대한 밑그림이 나오실 껍니다. 의사는 그 자체로 전문성을 가집니다. 국가가 보증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진료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런데, 분야에 따라서, 좀 더 자세히 필요가 있는 과들이 존재합니다. 감기와 같은 단순한 질환만 치료한다면,(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감기도 심각한 합병증을 ..
2007.12.15 -
의사가 이야기하는 의대생 이야기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FineQ_OJ" 입니다. 이 블로그 이름은 " 상큼한 레몬 쥬스 의과학자(MD-PhD) 이야기" 입니다. 사실 의대생이라는 존재는 주위에 흔하디 흔하지만, 그 생활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막연히 "바쁘다" 더라, "해부가 징그럽다" 더라 하는 소위 말하는 "카더라 통신"이 대다수 입니다. 물론 의대생 친구들을 둔 사람들에게는 다른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의대생 끼리는 그 집단의 폐쇄성으로 인해 특유의 문화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그런 문화가 각 학교마다 있을 것입니다. 고등학교를 지나고 대학생이 되면서 얻게 되는 자유라는 것도 의대생에게는 6년 동안 마치 같은 반으로 지내는 고딩 생활로 대치됩니다. 6년 동안 같이 지내는, 그리고 대부분의 ..
200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