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이 글을 처음으로 들어온다면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 보자. 

경제학은 어떻게 과학을 움직이는가?(1)

경제학은 어떻게 과학을 움직이는가?(2)

자 이제 대안에 대해 알아보자.  저자는 호기롭게 7가지 제안을 내놓는다.

1. 취업정보를 공유한다.

2. 연구비에서 교수급료로 지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 미국의 경우 non-tenure 교수 연봉은 학교에 주는 것이 아니라 연구비에서 직접 가져가야 하는 경우가 많다.한국은 따로 교수급료를 연구비에서 가져갈 수 없으니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이다.

3. 연구-훈련의 연결고리를 약화한다. 

- 인력양성소인 대학원과 연구를 위한 연구소 분리하자는 것이다. 물리학의 경우 페르미, CERN 등 유명한 연구소들이 많다. 우리나라는 GIST, DGIST 등등이 역으로 대학원, 학부기능까지 하거나, 하려하고 있다.

4. 대학원 지원금을 개편한다.

5. 연구자원센터 등 과학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정책을 만든다.

6. 공동연구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를 마련한다.

- 이것은 노벨상을 겨냥한 것인데, 3명까지만 공동수상자로 선정되는 웃기지도 않는 제한때문이다.)

7. 연구비 예산 사용처를 구체화한다.

보다시피 꽤나 현실적인 대안들이다. 몇가지 토를 달아보자. 

취업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우리나라 BK21사업이후 상당히 신경쓰고 있는 부분이다. 당연하게도 BK21사업을 통해 대학원생들에게 인건비 지원을 한 정부가 그 대학원생들이 졸업하고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지 않겠는가. 여기서 문제는 대학원생들의 취업이 졸업 직후에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그나마도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박사 졸업 후 바로 정규직 취업이 되기보다는 앞서 언급한 것 처럼 박사 후 연구원이라는 다소 불안정한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이후까지 구체적으로 추적할 필요가 있다. 몇년 동안 박사 후 과정을 거쳐 어느 대학, 또는 어느 연구소에 어떤 직급으로 취업했다는 식으로 말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분야를 막론하고 이공계 석박사 통틀어 취업 조사해 통계 발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분야 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궁금하다면 KISTEP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라)  물리, 수학, 화학, 생물, 공학 등등의 계열 별로 말이다. 그래야 각 분야에 있는 학생, 대학원생들이 구체적인 미래에 대한 기대를 하며 과학도로서의 꿈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원센터의 경우 아이디어는 괜찮은데, 개인적으로는 정부기관의 특성상 빠르게 기술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학 연구 중 글로벌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high-end 급의 연구에 대한 자원을 적시에 적절히 지원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기도 하다. 연구와 실험을 하다보면 지금 당장 지원이 필요하기도 하고, 그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항목을 미리 예상하여 신청하기는 힘든 경우가 많고, 그 지원이 연구와 발견 선점에 필수적인데, 그렇기 때문에 개별 연구자들은 정부기관을 통해 지원 받는 것을 기다리는 것보다 다른 경로를 통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시간적인 문제를 제외하고는 상당히 좋은 생각이며, (개인적으로 이용해본 경험은 없지만) 실제로 생물학자원센터가 있기도 하다.  각 대학의 연구기관이 모든 장비와 모든 형질전환 쥐를 관리할 수는 없고, 과학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며 매번 구비하기도 어려우므로 국가 차원에서 이런 자원을 구비하고 관리하는 것은 필요할 것 같다. 

참고로 미국에서 포닥을 하고 있는 오지의 마법사 이야기를 빌리자면, 미국은 이런 코어 형태의 연구자원센터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가깝게는 학교 내에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최소한 각 주별로 특히 바이오 분야에서는 마우스 facility가 이런 형태로 운영되어서 효율적으로 연구 자원을 적시에 공급하고 별도의 비용을 청구한다. 그 비용은 결코 싸지 않지만 개별적으로 구성하는 것보다는 시간적으로 그리고 비용적으로도 비교 우위에 있기 때문에 자원센터 자체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한다. 

연구비 예산 사용처를 구체화하는 것은 국가 단위에서는 필요할지도 모르지만,개인적인 경험에 근거해서 이야기하자면, "개개 과학자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리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연구와 실험의 특성상 앞으로 예산 사용을 구체적으로 예상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개괄적인 틀자체를 설정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겠지만, 인건비를 제외한, 재료비, 설비비, 회의비 등등을 더욱 구체적으로 쪼개고 항목별로 구성하는 것은 연구 능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지금도 재료비, 설비비 등으로 나눠진 연구비를 1년 단위 결산할때 억지로 맞춰 쓰고, 맞지 않으면 용도 변경 신청을 하는데 생각보다 아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맞춰서 집행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업체에 영수증 항목을 외상으로 이용하고 이월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까지 읽은 당신은 어떤 느낌이 드는가?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가? 과학이라는 학문이, 또는 분야가 사회와 동떨어져 그들만의 객관적이고 우아하고 소위 과학적인 논리로 굴러가고 있지 않고, 도저히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가? 그렇다면 필자의 서평은 성공이다. 

그런 관점에서 책에서 제시된 대안들, 그리고 필자가 단 투덜거림들의 한가지 공통점이 있다면 '국가' 또는 그에 버금가는 기관에 의해 주도되는, 또는 주도될 수 밖에 없는 대안이라는 것이다. 현대 과학의 눈부신 발전과 그 발전 양상을 보면, 그리고 경제학이라는 학문의 입장에서 보면 과학이라는 것이 국가와 결부되는 것은 당연하다. 국가는 과학을 경제 발전의 동력으로 파악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면이 있기 때문에 기꺼이 연구비 투자한다. 그렇기때문에 과학을 수행하는 주체가 표면적으로는 과학자들로 보이지만, 실상 깊이 들어가 보면 국가의 의지가 상당히 반영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주체는 국가[각주:1]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약간 관점을 바꿔보자. 과학의 결실, 그리고 부산물의 영향을 받는 것은 우리 모두, 즉 시민들이고 그 과학을 수행하는 과학자, 대학원생들 역시 시민의 일부일 수 밖에 없다. 이런 당연한 생각을 바탕으로 과학의 주체를 시민으로 재설정해서 태어난 개념이 시민과학 또는 대안과학이다. 과학의 주체를 시민으로 놓고자 하는 개념 또는 운동이라고 볼 수 있는데, 언뜻 뜬구름 잡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개념이 생소하다면, '독립'이라는 접두어가 붙는 무언가를 생각해보라. 독립영화, 독립구단, 독립예술 등등. 국가나 자본에 귀속되지 않고, 수행하는 주체 또는 영향받는 사람들만을 오롯이 위한 무언가. 이제 감이 오는가? 과학에 대해서도 같은 논리를 적용할 수 있다. 공학에서는 제 3세계를 위한 '적정기술'이라는 개념으로 알려지기도 했고, 천문학에서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의 성과로 알려지기도 했고, 환경 보건 분야에서는 '시민단체'들의 보고서나 성과로 알려지기도 한다. 이들 모두 주류과학계와는 조금 떨어져 있다. 주류 과학자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정치적인 영역이거나 사적인 영역에 속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위에서 지적한 것처럼 주류과학 역시 완전히 순수한 지적 영역에 속할 수 없고, 국가 또는 연구비 지급 기관에 휘둘리기는 마찬가지라는 면에서 충분히 '정치'이다. 

과학은 '양날의 검'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고전적이고 닳고 닳아 빠진 그런 흔한 얘기로 덮어서는 안된다. 과학은 저 멀리 앞서 달려나가고, 그 결실을 정치가나 산업에서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성격이 결정된다는 진부한 얘기는 과학자들의 주체성을 몹시 훼손하는 것과 동시에 과학을 하는 행위의 정치성을 가려버리고 만다. 과학은 수행되는 순간, 아니 그 이전 단계부터 그 검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봐야한다.

그런 과학의 정치성을 인정하고 들어가면, 과학자가 취할 수 있는 입장과 층위는 생각보다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실에서 논문을 쓰고, 파이펫을 쥐고 실험을 하는 행위가 각자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 깊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질질 끈 서평포스팅을 마친다. 


  1. 가만히 고등학교 시절 문과와 이과를 생각해보자. 국가의 의지를 수행하는 행정관의 대부분은 고등학교 시절 문과를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 과학과는 전혀 동떨어져 있을 것 같은 "문과"로 대변되는 행정관이 역설적으로 과학 연구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은 어찌보면 아이러니다. [본문으로]


학생이 아닌 Postdoc researcher 등으로 외국 대학이나 연구소에 가게 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가 바로 비자 (사증) 취득일 것입니다. 이것만큼 골치아픈 것도 없죠. 학생이 아니라면 행정적으로 "an employee" 가 되는 셈이고 이것은 곧 "취업" 이라는 의미입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여권만 있다면 미국이나 유럽 등 많은 국가에 "무비자" 로 갈 수 있지만, 그것은 "관광"을 목적으로 길어야 3개월 정도 방문할 경우에 한합니다. 무언가 외국에서 "일" 을 하려 한다면 비자를 취득해야 합니다.

복잡하기로 따진다면 미국 비자만한 것이 없겠지만 (J1, waiver, H1...), 상대적으로 미국 비자를 취득한 분들은 주변에 많이 있어서 정보를 얻기가 수월한 편입니다. 저는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로 유학을 오게 되면서 영국 비자를 취득하게 되었는데, 물론 크게 어렵진 않았지만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더군요.

제가 여기에 남기는 글은, 2012년 12월 - 2013년 3월 사이에 한국에서 Tier 2 visa를 취득하였던 '저의 경험'을 정리한 것입니다. 영국 비자 관련 문제 전체를 정리할 능력은 제게 없으니까요 :) 제 경험을 글로 남겨두는 것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리라는 믿음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영국 비자와 관련한 최신 정보는 UK Border Agency (http://www.ukba.homeoffice.gov.uk)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많은 관계 법규들이 매년 업데이트되고 있으므로 새로 비자를 취득하시려는 분은, 이 글을 참고하시되, 여기서 정보를 확인하시는 것이 필수입니다. 또한 자신이 방문하려는 기관의 도움이 필수이므로, 그곳 HR (인사과)과 긴밀한 연락을 하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많은 세부 비자 종류가 있는지 알 수 없지만, 크게 Tier 1-5, 다섯가지 group으로 나뉩니다. 이 가운데 아마도  post-doc에게 해당되는 종류는 Tier 2 (skilled workers)와 Tier 5 (Temporary workers) 일 것입니다. 미국 비자로 치면, Tier 2 가 H visa (취업), Tier 5가 J visa (교류) 정도 될 것 같습니다. 정확히 어느 Tier에 해당하는지는, Salary를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고, 자신이 취업하려는 기관 HR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문제는 HR도 잘 모르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왜냐하면, EU 국가나 영연방 국가에서 영국으로 오는 사람들을 많이 상대하다 보니, 한국에서 오는 경우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거죠. 그래서 스스로 공부를 조금 할 필요가 있습니다.


Tier 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Tier 5 Goverment Authorised Exchange (GAE) 가 취득하기 조금 더 수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야말로 지식교류/협력에 관한 비자이므로 방문하려는 연구 기관이 sponsor 해 줄 수 있다면 그 외에 크게 요구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세금 문제에 대해서도 Tier 2보다 유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면 기간이 최대 24개월로 제한적이고, 또한 영주권 취득과 관련해 Tier 2보다 불리하다고 하더군요.


저는 저희 연구소에서 Tier 2 General 로 신청해야 한다고 알려 주었습니다. Tier 2 visa는 진짜 취업-어떻게 보면 영국 국민의 '일자리'를 외국 사람에게 내어 주는 것- 이므로 상대적으로 까다롭습니다. 또한 Tier 2를 소지하여 5년 이상 영국에 있으면 (아마도) 영주권 신청이 가능하므로, Border Agency는 매의 눈을 가지고 심사를 하는 것 같습니다. 매년 Tier 2로 영국에 들어올 수 있는 사람의 수 (quota)가 결정되어 있습니다. 매년 다르겠지만, 2013년은 20,000 명 정도인 것 같네요. 중요한 것은 자신이 방문할 연구 기관으로부터 "Certificate of Sponsorship (CoS)" 를 취득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비자 취득의 8할입니다. 이전에는 "Work-permit (노동 허가서)" 취득으로 불리던 것이 이렇게 변화되었다고 하네요. 

CoS는 자신이 갈 연구소에서 신청하는 것입니다. HR에서 요구하는 정보 (이름, 여권번호, 생년월일 등등)을 알려주면, 연구소 HR에서 서류를 작성하여 Border Agency 에 CoS를 신청하게 됩니다. 이게 시간이 가장 많이 걸리는 step이지요. 저는 이 과정이 영어 성적이 나온 이후부터 (아래 설명) 한달 반-두달 걸렸습니다. HR과 긴밀히 협의하고, 필요한 정보를 빨리 전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행정적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정보가 있다면 추가적으로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겠지요.

CoS를 취득하게 되면 무슨 서류가 오는 것은 아니고, 그냥 reference number 가 하나 날아오게 됩니다. Applicant는 이 번호를 가지고 다음 step을 진행하면 됩니다.

 Point-base-system 에 의해 자신의 '점수' 가 결정되게 됩니다. 이 점수를 취득하지 못하면 Tier 2를 받을 수 없습니다. 관련 항목으로는,

 (1) Points for your attributes - CoS : 30점
 (2) Points for your attributes - Salary : 20점
 (3) English : 10점
 (4) Maintenance (funds) : 10점 입니다.

(1) CoS

"자신의 일이 영국 국민의 '일자리'를 빼앗지 않았다" 는 항목으로 보입니다. 이것을 위해서는, 
A. 연봉이 15만 파운드 (2억 5천만원 상당 -.-;;)의 고액연봉자 (중요한 일을 하고 있음!)
B. 자신이 하려는 일이 영국의 "Shortage occupation" list에 등재 (외국에서 모셔와야 하는 영국에서 부족한 직업군)
C. 자신의 sponsor (연구 기관) 이 해당 직업에 대한 "Resident labour market test"를 완료 (영국에서 마땅한 사람을 선발하고자 했으나 실패함... 뭐 이런 것 같습니다)
D. Named Researcher. '중요 연구자' 정도 되는데, '업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아니고, 이 applicant가 영국에 와야만 받게 되는 '연구비'가 있다면 이 category 가 됩니다. 

Postdoc의 경우 아마도 A, B에 해당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결국 자신의 연구 기관에서 resident labour market test를 진행한 경우이거나 아니면 자신의 연구비 (grant or fellowship)이 있어야 합니다. Nature Job 이나 관련 기관 홈페이지에 보면 postdoc에 대한 광고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마도 이런 '공채'를 통해 채용된 것이면 C에 해당될 것 같네요. 저는 EMBO fellowship을 받게 되어 들어간 경우이므로 D에 해당 되었습니다. CoS를 얻게 된다면 30점을 받게 됩니다.

(2) Salary

Salary는 안정적으로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돈이 부족하면 자신의 일에 집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국 입장에서 보면 '불법 체류자'가 될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지는 문제겠지요. 자신의 직장에서 (세 전) 연봉 20,300 파운드를 받게 되면 20점을 획득합니다. 20,300 파운드가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20점을 받을 수 있는 몇가지 예외 규정이 있긴 합니다. 하지만 생활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는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 자신의 연구소로부터 관련 서류를 받으세요.

(3) English

영국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겠지요. 영어 능력을 '검증' 받지 못하면 Tier 2로 들어올 수 없습니다. 영어능력 검증 방법은,
A. 영어가 모국어인 국민
B. 영어가 모국어인 나라에서 학사에 준하는 학위 취득
C. 영어 시험 점수
입니다. 

저는 영어 시험을 봤는데, 당연히 TEPS는 안 되고요 (-.-;;) IELTS, TOEFL, TOEIC 이 가능합니다. Tier 2 General 같은 경우에는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영역에서 최소 B1 등급을 획득해야 합니다. 참고로 저는 가장 빨리 볼 수 있었던 IELTS를 서울에서 봤습니다 (IELTS academic/general 모두 가능). B1 성적이 그리 어렵지 않은 수준이지만, 주말에 시험을 봐야 된다는 것, 영어 시험 때문에 시간이 지체(시험 등록부터 성적 나올때까지 3-4주 걸리니까요) 됨과 함께 응시료 (21만원) 가 매우 아깝더군요. 

(4) Maintenance

자기가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CoS가 있는 경우 자신의 연구기관이 보증하는 것이므로 자동적으로 10점을 획득하게 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비자 신청일 전에 적어도 90일동안 통장 잔고에 900 파운드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CoS로 해결이 될 것이지만, HR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내용을 정리하면, 아마도 가장 바람직한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이 되는 것 같습니다.

[0] (영어시험점수 획득)
[1] Postdoc 연구소 (취업) 결정
[2] 연구소 HR 과 협의. CoS 신청 및 취득 (1-2달 소요)
[3] CoS reference number 로 비자 신청.


CoS를 받게 되면 그 이후는 상대적으로 쉽고 straightforward 한 과정입니다.

먼저 관련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영어가 아닌 서류는 영어로 번역, 공증되어야 합니다)

A. 여권 (이전 여권도 필요하다고 하는데...저는 직전 여권까지는 준비했습니다)
B. 비자용 사진 2매 (45mm x 35 mm) 
C. 영어 성적표 (원본). 원본 및 사본을 같이 준비하면 나중에 원본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D. CoS reference number
E. (필요한 경우) Maintenance 증명 (통장 잔고) 등
F. (필요한 경우) 가족관계 서류. 저는 주민등록 등본을 영문으로 출력하여 제출하였습니다.
G. (필요한 경우) Fellowship certificate
H. (기타 서류) 학위, 졸업증명 (혹시 도움이 된다고 하여 준비는 했습니다)

접수는 온라인으로 하게 됩니다. (http://www.visa4uk.fco.gov.uk/ApplyNow.aspx). 심사비는 현재 494 파운드네요. (85만원 상당!) 온라인 접수 과정에서 카드로 지불할 수 있습니다.VAF9 과 Appendix 5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데, 온라인 접수를 하게 되면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자연스레 VAF9 과 Appendix 5 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접수가 끝나면 VFS global (http://www.vfs-uk-kr.com/korean/)이라는 회사를 통해 서류를 직접 제출하게 됩니다. 비자 승인을 결정하는 영사가 한국에 없기 때문에 여권을 포함한 모든 서류가 필리핀 마닐라에 갔다가 오게 됩니다. 먼저 서류 제출 날짜를 예약하고, 약속된 시간에 서류와 함께 서울 중구 남대문로 5가 120 단암빌딩 5층의 VFS global로 가시면 됩니다. 지문 인식 과정이 있습니다. 인터뷰는 없고요.

보통 심사기간은 2주 - 4주 정도 걸린다는데, 현장에서 신속심사를 신청하면 (현금 15만원 필요) 3-5일만에 결과가 나옵니다. 2000원 정도의 문자서비스 신청을 하면 자신의 서류가 어느 step에 있는지 지속적으로 보고가 옵니다. 제출한 서류와 비자가 찍힌 여권은 택배나 직접 수령을 통해 받게 됩니다. 저는 신속심사를 신청하였고, 4 working days 이후에 비자를 직접 수령할 수 있었습니다.

돌이켜 보니 별 것도 아닌 것 같은데, 비자를 받느라 총 100일 정도가 소요되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영어시험 점수 등 제 서류가 완전치 않았고, 영국 휴가기간 (연말-연초)가 끼어 있어 HR과 연락이 어려웠던 것들을 감안할 필요가 있지만요. 일을 시작하는 시점과 맞물려 fellowship 등 여러가지 행정적인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비자가 언제 나올지 전혀 예상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상당히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CoS를 얻는데 한달 반 정도가 들었고, 그 이후 step은 2주 정도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비자를 받게 되면, 비자에 명시된 시점보다 2주 먼저 그 비자를 이용해 입국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앞서서 말씀드렸듯이, 이것은 저에 대한 하나의 case에 지나지 않습니다. 누군가는 훨씬 더 고생하거나 심지어 reject되었을 수도 있을 것이고, 누군가는 너무나 쉽게 받았을 수도 있겠지요. 아무쪼록 저의 경험이 바탕이 되어, 누군가 조금이나마 더 쉽게 영국 비자를 받을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