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알파카 글 모으기(10)
-
셀지 제공 landmark Cell Review 논문들 소개
셀에서 제공하는 리뷰 시리즈입니다~ 다양한 분야에 많은 리뷰가 걸려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Mdphd.kr/posts/1004074582988178 현재 공짜인 상태이니, 유료로 풀리기 전까지 많이 많이 받아가세요. 특히, 최근 나온 perspective는 아주 도움이 될 겁니다. ^^ 재미있게 읽으세요~ 참고로, 사진을 클릭하시면 안되고, 댓글에 달아 놓은 아래 링크를 가시면, 바로 관련 분야를 열수 있습니다. ^^ 이게 셀 홈페이지에 대문처럼 걸려 있어서(조금 불편하게 만들어 두었네요. 하기사 좋은 것일수록 간판에 달아야 하니깐) 사진을 클릭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면 추후에 사라질 가능성도 있어서 아래 댓글로 각각의 링크를 연결해 두었습니다. 링크 자체는 절대 주소를 가지..
2020.05.03 -
호사분면.. 이것만 제대로 알면 인생사 만사형통??
바이오 분야에서, 특히나 이공계에서 3D로 인정받는 이 분야에서, 좋은 사람과 함께 일한다는 것은 아주 큰 행운이겠지요. 특히나 많은 지식을 통해서 자신의 이론을 확립해가는 이론 물리나 수학이랑은 달리, 바이오, 생명공학 분야는 누군가를 통해서 일을 배우고, 실험적으로 증명해야하기 때문에, 어떤 선배, 어떤 사수, 그리고 어떤 교수를 만나느냐에 따라서, 자신의 진로가 상당히 달라지기도 합니다. 제일 좋기로는 친절하면서도, 많이 알고 그러면서도 일까지 잘하는 사람과 함께 하면 좋겠지만, 항상 그럴수는 없겠죠. ^^ 모두들 호인이 되도록 노력해 봅시다. ^^ 나름 유명한(?) 호사분면(?)이라고 하는데.. 혹시 여러분들은 공감하시나요?
2020.04.23 -
짧은 제목이 훨씬 더 Citation이 많다!!!!!
또 하나의 소식이네요. 오늘은 일이 좀 많아서, 쉬운 주제로 갑니다. 네이처에서 새로운 하이라이트 페이퍼를 소개했네요. 이건 뭐랄까.. 사이언스 관련이라기 보다는 흥미를 당기는 "기사" 정도라고 평가할 수 있겠네요. 결론부터 말하면, "짧은 논문이 인용이 많이 되더라." 라는 겁니다. 물론... 논문 자체의 내용이 더 중요하겠지만, 생각보다 그 빈도간의 관계가 크더라고 보는 것이 이 기사의 핵심입니다. 기사를 주욱 읽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또.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살짝 요약을 첨언하자면.. 논문의 내용이나, 논문 제목과, 인용도만을 가지고 함수를 그려본 결과, 제목이 짧으면 짧을수록, 인용 회수가 크더라. 근데, 또 누가 그럼 저널마다 방침이 달라서 그럴 수도 있지 않느냐 라고 해서, 저널에 따라서도..
2020.04.13 -
해외에서 한국 연구 환경을 보는 눈 (from Nature)
Nature에 실린, 해외에서 한국을 보는 눈이랄까요. 외국인들의 눈에는 한국이 기회의 땅으로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여러가지 불합리한 점이 있는 나라로 인식되는 듯한 느낌입니다. 글이 좀 길면서, 한편으로는 영어이기 때문에, 그래프만 보셔도 대충 느낌이 오실 듯 합니다만, 혹시 안 읽으실 분들(?)을 위해서... 제가 생각하기에(?) 중요한 부분만, 대충(?) 요약합니다. 첫째, 외국인들의 눈에 보기에는 메이져 저널 에디터들이, 최근에 생긴 Fraud 사건(다들 아실만한 분들은 아실 사건..) 때문에, 탑 저널에서 Sceptical(Nature는 영국 저널이니깐 ^^)한 눈빛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실리기 힘들지만, 한국은 커가는 과정이 많아 보이니, 그런 걸 즐기고 싶은 사람이라면 고고싱하라~ 둘째, 여..
202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