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연구결과(3)
-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2)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두번째 시간 -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오늘도 어김없이 약을 팔러 왔다. 오늘 같이 살펴볼 내용은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을 어떤 구조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거창하게 말하기는 했지만, 사실 크게 설명할 부분이 없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는 논문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은 논문과 동일한 구조로 만들면 된다. 끝. 다음시간에 만나요~ 날로먹은 포스팅. 데헷~♥ ...라고 쓰면, G1에게 혼나겠지? 여러분들 이 블로그의 주인장인 G1은 되게 무섭습니다. 호랑이같이 무서워요. 근데 곰돌이 푸우 닮은건 함정ㅋ 자, 다 아는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찬찬히 같이 공부해 보자. 1. 발표를 준비하기 전, ..
2015.03.12 -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1) 들어가면서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첫번째 시간연구자들의 주된 역할 중 하나는 자신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하게 되는 프리젠테이션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과학적 발견(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에 대한 제안형 프리젠테이션이다. 이 중 먼저 과학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당신도 이 글을 읽고 나면, 이렇게 멋진 프리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 1.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에 흔히 하는 실수들사실 프리젠테이션 방법에 正道는 없다. 사람마다 고유의 발표 철학을 가지고 있게 마련이라, 잡스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빌게이츠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틀린 발표를 하고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과학연구결과를 프리젠테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 잘..
2015.03.09 -
연구실을 방황하는 연구자를 위한 안내서 - 들어가면서
연구실을 방황하는 연구자를 위한 안내서 연구실 안에서 박사과정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장 지적능력이 탁월하며, 모든 실험을 관장한다는 착각에 빠져 살고는 하는데, 사실 연구실 안에서 그들은 네번째로 똑똑한 존재들이다. 은하계의 현인들인 생쥐들은 실험실에서 두번째로 똑똑한 존재들이다. 인간보다 우월한 지적능력을 가진 개체들은 이들은, 애써 세운 가설과 다른 정반대의 행동을 보임으로써 연구자들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을 관찰하는 실험을 세우고는 한다. 따라서, 연구실에서 지적능력에 따라 순위를 나누어 보자면, 생쥐 - 포닥 - 박사 - 석사의 순이다. 애석하게도 교수라 불리우는 생물들은 순위에 들지 못한다. 그들은 주로 작은 녹색 종잇조각들을 연구실로 모아오는 역할 밖에는 하지 못하는 낮은 지적능력을 가..
201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