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학자 (MD-PhD) 이야기(325)
-
사랑을 MRI로 확인할 수 있을까? functional MRI에 대한 이야기 ^^
functional MRI (fMRI) 라고 들어보셨나요?? 한글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이라고 불리고, 뇌의 기능을 영상으로 볼 수 있는 MRI를 말합니다. 뇌(Brain)는 조직 특성상, 침습적인 접근이나 손상을 주게 되면, 다시 회복되기 힘들기 때문에, 간접적(비침습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학문이 발전해 왔습니다. 어떻게 뇌가 활동하고 있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을까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때 그 기능에 관련된 영역의 기관뿐 아니라 뇌 또한 활동을 합니다. 활동을 하려면 에너지가 있어야 겠죠? 그 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해 관련된 뇌 영역에 포도당 대사가 늘어나며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해서 그 부위의 혈류와 혈액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혈류 내에서 일..
2013.01.07 -
Nas 하드 충돌 사건 3 ^^
Hard가 날라갈 뻔한 사건. 하드 충돌 사건 - 3 그렇게 그냥 NAS를 1 Bay로 뒀으면 되었을 텐데.... 그냥 집에 남는 500 기가 짜리 하드를 하나를 위에 물렸습니다. 당연히 단일 볼륨으로 구성시킬 것이였으니깐, 용량 차이가 나도 상관 없을 것이라 생각했고, 그리고 실제로 설치 과정이나 하루 정도 사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날 어김 없이 2TB 시게이트 하드에 충돌이 납니다. 헐.... 헐 .... 헐.... 두번째 하드 충돌.. 이번에도 역시 완전 충돌이였습니다. 하드 구성이 전혀 보이지 않고, 이 하드에는 더 중요한 데이터들이 있었는데,(다행히도 1.2TB 밖에 쓰지 않았고, 그나마 600기가는 중복 백업이라.... 600기가 정도만 있으면 되었죠) 또 난..
2013.01.07 -
전기생리학에 관한 짧은 소개
전기생리학. 이 단어를 들으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처음 들어보신 분들은 전기. 생리. 학? 이렇게 따로 따로 단어를 떼어 생각하실테고… 배워본 적이 있으신 분들은 호치킨, 헉슬리, 오징어축삭, 나트륨, 칼륨…등등…에서 심전도까지 생각 나실 수도 있겠습니다. 오늘 제가 소개해드리려는 것은 바로 전기생리학으로 연구하는 실험실은 어떻게 굴러가나? 하는 실질적인 내용입니다. 전기생리학은 어떤 학문이다! 라고 하는 건 너무 지겹기도 하고…어렵기도 하니깐요. ^^ 그렇다 하더라도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전기생리학은 살아있는 세포, 조직, 기관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살아있는 생물에서 전기적 활동이 생기나? 하실 수 있는데요. 우리 인체는 70%가 물이고, 그 물에녹아있는..
2013.01.06 -
Nas 하드 충돌 사건 2
Hard가 날라갈 뻔한 사건. 하드 충돌 사건 - 2 리눅스에 인식시키면 될 꺼라는 생각에 이르고, 하드가 다 날라가도 상관없다는 과감한 생각(?)에 이르니 무서울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를 서치했었죠. 이 당시만 해도 리눅스를 사용하지 않았기에, 어쩔 수 없이 윈도우에서 리눅스 파티션을 읽어내는 프로그램을 구할 수 밖에 없었죠. (사실 10여년 전에 리눅스를 쓰려고 한 달 정도 삽질 한 적이 있긴 하지만, 그리 오래 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서 리눅스를 다시금 부활시켜서 현재는 OSX 다음 두번째로 많이 쓰는 운영체제가 되었죠.) 그렇게 찾은 프로그램이 R linux였죠. 다 버릴 생각을 하고, NAS에서 WD 하드를 분리하고, 외장하드로 연결해서 R linux 프로그램에 물렸습니다...
2013.01.06 -
Nas 하드 충돌 사건. ^^ 1
Hard가 날라갈 뻔한 사건. 하드 충돌 사건 - 1 NAS를 사용하면서 하늘이 하얗게 변한 적이 딱 한 번 있었습니다. 어느날 외국에 출장을 다녀오고 나서(따로 NAS를 껐던 기억이 없는데 접속을 하지 않아서 몰랐었습니다.) 보니깐 NAS가 꺼져 있었습니다. NAS를 켰는데, 무언가 이상한 느낌이 드는 것입니다. 부팅이 계속 시간이 걸리고... 사실 예전에도 그런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갑작스러운 정전 때문에 NAS에 무리가 올 것 같다고 생각해서 급하게 UPS를 샀었습니다. (UPS에 대해서는 나중에 한 번 포스팅 하기로 하구요.) 그리고 UPS를 연결해 둔 상황이였기에 별 문제 없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죠. 실제로 조금 지나니깐 잘 되더군요. 여기서 조금이라고 하기엔 시간이 제법 걸렸죠. 한 25분..
2013.01.05 -
MD-PhD 과정에 대한 소개 ^^
의전원과 MD-phD ? 2002년 의학 입시 제도에 큰 변화가 있습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바로 의과대학으로 들어가 의사가 되는 길과 더불어 일반대학을 졸업 해 학사학위 취득 후 의학공부를 할 수 있는 길이 새로이 생겨났습니다. 그 것이 바로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스스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도입하고, 실습위주의 교육에 중점 두며,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받아들여 기초 의학의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로 도입 되었습니다. 이러한 의전원 시스템이 2003년을 시작으로 한국 대부분의 국공립 대학교와 일부 사립대에 도입 되었고, 의대/의전원 병행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의전원 전환 시 중요한 이유가 되었던 것이 기초의학의 활성화였고..
201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