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학자 (MD-PhD) 이야기(325)
-
의대를 졸업하고 난 이후의 진로들 - 인턴과 전공의
지난 포스트에서는 의대 과정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의대의 일반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 ^^) 이번에는 의대를 졸업하고 난 이후의 진로에 대해서 설명할까 합니다. 일반적으로 의대를 졸업하면, 대다수(99% 이상으로 예상됩니다.)는 환자와 연관이 있는 임상의로서 진로를 선택하게 됩니다. 병원에서 환자를 대면하는 "의사"가 된다는 것이죠. 일부는 저희처럼 기초의학이나 연구를 하기도 하지만, 정말 극소수입니다. 임상의 길에는 크게 일반의 과정과 전문의 과정이 있고, 다수가 전문의 과정을 선택합니다. 오늘은 전문의가 되는 과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전문의 과정은 수련을 하기 전 과정인 인턴과정과 과에 소속되어서 실질적인 수련을 받는 전공의 과정으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가장 경험이 적고,..
2013.05.14 -
의대의 일반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 ^^
사실 의대나 병원에 있으면, 제일 많이 듣는 질문은 "과가 무슨 과에요?" 일 것입니다. 묻는 사람 입장에서는 "과" 라는 것이 그만큼 중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해는 가지만, 한편으로는 기초 의학을 전공하고 있는 입장에서 대답하기 난감한 혹은 곤란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그럴 때 저는 대체로 "기초 의학이라고 연구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라고 대답하곤 합니다만... 뭔가 정답을 얻지 못한 듯한 표정을 보이시는 질문자를 보곤 합니다. 그래서 시리즈물로, 의대를 들어오고 난 이후에, 겪는 일반적인 진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같은 의대생이라 하더라도 "엄연히" 학년에 따라서 예과생과 본과생이 나누어 있듯이, 의사라는 직업 안에서도 기초의와 임상의, 개원의, 교수 등 등 다양한 진로가 있습니다. 이..
2013.05.13 -
스타트업에 관한 작은 동영상
예전 예과 시절에 샌프란시스코에서 대략 보름 정도를 머문 적이 있었습니다. 사촌형이 거기서 일을 하고 있었던 지라, 갔던 곳인데, 너무나도 좋은 날씨와 유쾌한 사람들의 표정이 아직도 기억에 선합니다. 특히나 형이 일하는 분야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하고, 커뮤니티를 만드는 모습이 아주 인상적이였습니다. 물론 그 때 사촌형이 정확히 지리적으로 "실리콘밸리에서 일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런 문화가 저변에 깔려 있었던 것만큼은 사실이였습니다. 오늘 소개할 동영상은 실리콘 밸리의 문화에 대한 짧은 소개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실리콘 밸리를 너무나 좋아하고, 그 문화가 너무 좋습니다. 한국에서는 구글 본사 임원이라고 더 알려져 있는 미키김 혹은 김현유씨의 홈페이지 mick..
2013.05.09 -
이세욱 번역가에 대한 이야기. (베르나르 베르베르 그리고 움베르토 에코)
이세욱 번역가. 베르나르 베르베르를 통해서 알게된 번역가다. 번역가이긴 하지만, 나는 작가에 더 근접하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물론 완전한 창작을 하는 작가는 아니지만, 나름의 문체와 해석 등을 통해서 다른 나라의 언어로 된 원작의 의미를 우리나라 말인 한글로 번역해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이 작업은 어느 정도는 대체 가능할 지 몰라도, 최고의 작품에게는 최고의 번역이 없으면 안된다. 최근 5년간 외국 작가들이 쓴 소설이나 경영 서적을 구입할 때, 번역을 누가했는지를 먼저 보고 책을 구입하는 버릇이 생겼다. 몇몇 책에서 아주 실망하고 난 이후로 더 그러하였다. 까마귀의 향연 번역 리콜 사태라든지(사실 이건 아주 출판사가 적절히 잘 대응한 일이라 생각한다), 발번역으로 인해 소설의 호흡이 끊기는 ..
2013.04.17 -
"과감한 시작" 괴테에 대한 이야기
괴테 하우스 by Chanbeom "파우스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등을 쓴 괴테는 독일 작가로, 비교적 우리에게 친숙한 작가입니다. 그의 작품들의 이름은 잘 알려져 있긴 하지만, 생각보다 그의 작품을 진지하게 읽어본 사람들은 그다지 많지 않은 딜레마를 가진 작가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는 상대적일 수 있겠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사람들이 가진 그의 작품 인지도에 반해, 작품에 대한 이해도는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사람이 그의 책 제목은 알지만, 내용은 잘 모르는 것처럼) 일례로, (고) 최진실씨와 같은 유명인이 자살하는 경우, 일반인의 자살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베르테르 효과"라고 하죠. 괴테의 작품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란 책이 대 히트를 친 해에 독일에서 자살율이 ..
2013.04.15 -
신문에 대한 생각 ^^
나는 신문을 참 좋아한다. 신문에 적혀 있는 인쇄 글자들이 너무 좋다. 내가 신문을 좋아하게 된 것은 중학교 1학년 때 쯤인 것으로 기억한다. 그 때, 아버지께서는 경향 신문을 구독하게 되셨다. 상품권때문에 받으셨는지, 무가지 때문에 구독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당시에는 그렇게들 신문을 받아 보았다. 요새는 거의 사라졌지만. 그렇게 경향 신문을 6개월 동안 받아 보게 되었다. 경향신문 - 2 by kiyong2 내가 신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단순히 만화 때문이였다. 무슨 내용이였던지 정확하게 기억할 수는 없지만, 당시 스포츠 면 제일 마지막 부분에 연재 만화가 있었다. 나는 매일 그 연재 만화를 기다렸고, 신문이 오면 누구보다 더 먼저 가서 신문 제일 마지막 장을 읽었다. 사실상 나의 첫 신문 탐독의..
201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