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 : Doctor(61)
-
JID 논문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저는 석사 시절 면역학 교실에서 인간 항체를 만들기 위해서 매일같이B cell을 fusion 하면서 면역학을 진지하게 연구했습니다.그러다가 학위 과정의 연구 주제로는 너무나도 상업적이다는 판단하에,박사 시기부터 모발 줄기 세포로 분야를 바꾸었습니다.모발이라는 세상에 들어오면서,처음 접한 논문은 Journal of Investigative of Dermatology (JID)라는 논문이었습니다.피부과학 전문 저널로 아주 재미난 연구 결과들을 출판하는 동네로,모발 연구를 시작한 저로서는 일종의 보물섬과도 같은 존재였습니다.JID에 언제 한 번 논문을 낼 수 있을까 하면서 파이펫질을 하던 시절이었지요.빨간색의 JID 마크가 찍힌 논문을 보면서,의욕을 불태우던 시절이 어제 같은데 벌써 1..
2025.11.04 -
해부학 수업에 대한 글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해부학은 독특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많은 의대생이 본과에 진입하면서 처음 배우는 과목이 해부학이기에, 이를 통해 비로소 ‘의대생이 되었다’는 실감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예과 과정에서 해부학을 배우더라도 이러한 느낌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이는, 인체의 구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해부학 실습을 통해 ‘돌아가신 분’을 맞이해야 한다는 특성 때문일 것입니다.또한, 해부학이 수백 년간 의학과 동의어처럼 여겨졌던 역사적 배경도 한몫할 것입니다.우리 대학에서는 3월과 4월 동안 해부학, 조직학, 해부 실습, 발생학(태생학), 영상 해부학을 통합하여 가르칩니다. 장기가 형성되는 과정부터 미세 구조, 거시적 형태까지 배우며, 학문적 연계성과 흐름을 고려한 교육 과정이지만, 학생들에게는 상당한 부..
2025.10.21 -
교과서 공부
오늘은 대부분의 의대생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지만, 일부 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나, 교과서를 통해서 학습을 하는 모든 자연과학도 학생들에게도 도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견해를 밝힌 것이고, 후배들이 책에 관하여 물어올 때마다 대답해 주는 이야기를 공유해 봅니다.저는 개인적으로 책을 아주 좋아합니다.책이 주는 향기를 특히 좋아해서, 정말 많은 책을 사거나 모았습니다. 지금도 이어지고 있지요.1년에 이틀정도는 날을 잡아서 하루 종일 책을 사는데 시간을 보냅니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를 구입하여 가지고 있었고, 항상 이사를 갈 때마다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너무 무거워서 이사해 주시는 분들이 좋아하지 않으시더라고요 ^^;) 의대에서는 많은 책을 보게..
2025.10.14 -
의예과 시절을 어떻게 보내면 좋을까?
이 글을 보는 친구들은, 고등학교 3학년 수능 입시를 마치고, 수시든 정시든 의예과로 입학하는 친구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은 고등학교 시절(혹은 재수시절)까지 열심히 공부해서 원하는 학교에 합격한 것을 또는 의과대학에 합격한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제부터 곧 여러분들은 의대생이 됩니다. 물론 요즈음 재수를 해서 더 좋은 의대로 가고자 하는 드라이브가 있어서 수능 공부를 다시 한다거나 또는 수시를 다시 치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희 때에 비해서 그런 이동이 조금 더 많이 늘어난 것 같긴 합니다. 제가 의대를 다니는 시절에는 재수로 다른 의대를 가고자 하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았던 것 같아요. 오늘의 글은 재수를 하는 학생들을 제외하고, 고등학교에서 의예과로 진학하는 학생들에게..
2023.12.23 -
기네스북에 오르는 공보의 예방접종 제도! (부제, 그럼에도 친절도가 가장 중요하다!)
우리나라 "공보의 제도"를 기네스 북에 추천합니다. 강호동은 먹는 게 아닌 "악수"로 기네스 북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지난 1993년 대전 엑스포에서 8시간 동안 무려 2만 8233명과 악수해 세계 기네스 북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대단하죠. 하지만 더 대단한 행위가 있습니다. 그것도 국가적으로 칭찬할 만한 업적입니다. 우리나라의 공보의 제도, 특히 예방접종 부분은 하루 800명 접종이 기본으로, 기네스 북에 이름을 올려야 합니다. 하루 800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회수이고, 3000명 정도 예방 접종을 한 공보의도 있다고 합니다. 간단한 산수 들어갑니다. 하루 8시간 근무라 치고, 얼추 800명이라고 계산하면, 시간당 100명. 시간당 60분이라고 치면, 분당 1.6명. 1분이 60초니깐, 대략 1사람당 ..
2020.09.26 -
화상을 입었을 때, 응급 처치법
다리미질을 하다가, 혹은 뜨거운 냄비를 잘못 잡았다가, 혹은 뜨거운 커피에 손을 다치신 점, 여러 번 있으시죠? 인류 문명이 발전되면서, 프로메테우스가 전해준 불이라는 유용한 도구를 잘 활용하게 되었지만, 반대로, 불이 인체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심심찮게 발생합니다. 이런 손상을 화상이라고 하죠. 여기 MDPhD.kr에서 화상을 입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응급 처치법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화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화상의 정도이다. 사실, 일반인들이 화상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피부가 붉어지고, 부어오르는 정도면 1도, 물집이 생기면, 2도라고 봅니다. 그 이상인 3도, 4도인 경우에는 검게 변하거나, 흰색으로 변하거나, 평상시와 다른 피부를 가지고 있습니..
202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