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PHD(34)
-
중개의학(Translational Research - 중개 연구,병진 의학)이란 무엇인가?
의학을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에 대해서 들어본 바가 있을 겁니다. 실제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은 의학의 근간을 이루는 두개의 축이죠. 기초의학은 말그대로 기초입니다. 사람의 질병을 다루기 위해서 이용되는 직접적 치료 방법이 아닌 원리나 기전에 대해서 공부하는 분야입니다. 분자 수준에서 세포의 현상을 해석하는 생화학이라든지, 인체 감염의 근거가 되는 다양한 병원체에 대해서 연구하는 미생물학이나, 인체 방어 기전에 대해서 연구하는 면역학, 그리고 의대생하면 떠오르는 인체 해부학까지 다양한 학문이 기초의학이라는 테두리 안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1975년 노벨의학상을 수상한 Dr.Renato Dulbecco) 그에 반해 임상의학은 인체를 직접적으로 다루른 치료방법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2012.11.13 -
Dr. Alfred Blalock and Dr. Vivien Thomas 알프레드 블라락 이야기
영화 something the lord made 에 나온 두 주인공이죠. Dr. Alfred Blalock and Dr. Vivien Thomas 편의상 알프레드와 비비안이라고 칭하고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Cardiac surgery pioneers Alfred Blalock and Vivien Thomas 이번 포스트에서는 알프레드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들의 연구 업적, 그리고 그들의 일생에 대해서 이야기할까 싶습니다. Dr. Alfred Blalock. 그는 존스홉킨스 의대에서 학위를 받고 수련을 받습니다. 재미있는 사실 중에 하나는 알프레드가 내과학의 전설(?)로 알려진 해리슨과 아주 친한 친구였다는 사실입니다.테니스 복식조로 Nashville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Harrison이..
2012.11.10 -
의대생도 현역으로 군대를 갈 수 있을까?
4.현역병 (카츄사 포함) 현역병을 고려하는 사람은 거의 없겠지만, 제 주변에는 현역을 간 케이스가 2-3명 정도 있습니다. 자의로 간 사람도 있고, 타의로 간 사람도 있습니다. 자의라고 하면, 공보의를 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3 PK를 마치고 현역으로 가서 국군군의학교에서 의무병 교육을 한 케이스이구요. 타의라고 하면, 나이가 차서 어쩔 수 없이 현역으로 가거나, 졸업은 했으나 국시에 계속 떨어져서 어쩔 수 없이 현역으로 간 케이스를 말합니다. 타의로 간 케이스는 대부분 자신이 원해서 가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논외로 하고, 자의로 현역을 선택하는 사람에 한해서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역으로 가능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말그대로 현역으로 가는 방안, 카츄사로 가는 방안, ..
2012.11.08 -
의과학이란 무엇일까? ^^
의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해오면서, 정작 의과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포스트를 쓴 적이 없더군요. 어찌보면 의과학이라는 분야에 대해서, 사람들이 당연하게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더군요. ^^ 일반인들도 생각보다 많이 들어오고 있다는 점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의과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글을 써 볼까 합니다. 의과학은 크게 의학과 과학이 합쳐진 분야입니다. 사실 의학이라고 해도 크게 다른 점은 없습니다. 다만 최근에 생명과학 분야에서 나온 다양한 실험적 테크닉이 의학과 접목되면서 확장된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영어로 의학은 Medicine. 의과학은 Medical Science입니다. 생명과학은 biology 혹은 biological science로 불리죠. 즉 의과학은 생..
2012.11.06 -
의대생~ 과연 군대는 어떻게 해결할까? 군의관이 최선인가?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군문제에 대해서 한번은 고민합니다. 1991.1.3 동티모르-의료진료 by 대한민국 국군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저역시 그러했었고, 저는 고민 끝에 연구를 하면서 복무할 수 있는 전문연구요원으로 현재 복무 중에 있습니다. 사실 저 역시 의과대학에 들어올 때, 군대 문제에 대해서는 어련히 "군의관으로 가면 되지 뭐" 하는 단순한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예과 시절에 공보의라는 제도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본과 2학년 때는 군의관도 중위 군의관이랑, 대위 군의관이랑으로 나누어 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본과 4학년 때는 전문 연구 요원 제도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해외 봉사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졸업 후 공보의를 선택할 ..
2012.10.26 -
NAS trouble shooting에 들어가기 전 마음가짐
2. NAS trouble shooting에 들어가기 전 마음가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을. 특히 설정하는 것... 하지만, 제가 해보니깐, 생각보다 쉽지 않고, 빡셉니다. 처음에 사고 나서 설정하는 대로 딱 되면 뭐 이런 쉬운 게 있어 하겠지만, 정말 이건 초보자의 운 같은 것이고(저 역시 초보자의 운이 있었죠) NAS 특성상 문제 안 생기는 경우는... 제 주변을 보면, 거의 없었습니다. 무슨 문제든 꼭 생깁니다. 사소한 인터넷 회선 교환 문제부터 시작해서, 포트, 외부 접속, 파일 공유,시스템 업그레이드, 하드 교체 등... 생각보다 많은 문제들이 발생했고, 앞으로도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생각을 일단 해 두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문제들은 해결..
2012.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