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PHD(34)
-
전문연구요원 논산 훈련소 프롤로그
프롤로그 이 글을 쓸까 말까 많이 망설였던 것이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금새 구글링을 하면 4주 보충역 관련 글들이 이미 많고, 그다지 새로울 것도 없을 것 같다는 생각에 글을 올릴까 말까 많이 망설였습니다. 아울러 다른 사람들은 2년에 가까운 기간동안 군생활을 하는대 반해, 전문연이나 공보의 같은 경우는 4주간의 훈련으로 짧게 하기 때문에 고작 4주 훈련하면서 글을 길게 쓴다는 말을 듣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입니다. 이 글에 앞서, 대한 민국의 남자로서 현역으로 군인 생활을 하는 모든 분들께 감사와 응원의 박수를 보냅니다. 당신들이야 말로 진정한 영웅의 자격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저의 경험이 또 다른 사람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주변의 조언에..
2012.09.14 -
상큼한 오렌지 쥬스 의과학자 (MD-PhD) 이야기 OJ
안녕하세요 저는 Mdphd.kr의 주인장 FineQ_OJ라고 합니다. 이렇게 저의 블로그를 찾아 와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부터 전하겠습니다. 이 블로그는 "상큼한 오렌지 쥬스 의과학자 (MD-PhD) 이야기 OJ"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의과학자 블로그입니다. 의과학자라는 용어가 비교적 생소하기도 하지만, 이렇게라도 블로그를 통해 소개를 할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예전에는 의대를 졸업하면 대부분 진료를 보는 "임상 의사"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가적으로도 의학을 HT(Health Technology)라고 하고 신성장 동력으로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HT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직종이 바로 의과학자(Medical Scientist)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의학이라..
2012.09.14 -
의대는 과연 몇 년 과정일까?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의대는 의과 대학의 약자입니다. 근데 이 의과 대학이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현재 2원화 되었지요. 말이 어렵지만, 쉽게 생각하면, 의학전문대학원 체제와 의과 대학 체제입니다. 두 개의 차이는 추후에 이야기 하도록 하고, 일단 몇 년 과정인지에 대해 알아 봅시다. 대한민국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 과정이나, 의대 과정을 졸업한 자 혹은 졸업 예정자에 한해서 의사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을 줍니다. 그리고 그 자격을 획득한 후 국가 고시를 쳐야 비로소 의사(소위 말하는 GP)가 됩니다. 따라서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일단 의대나 의전원을 졸업해야 겠죠. 일단 의대의 경우에는 학부를 마치는 과정으로 6년이 걸립니다. 일단 졸업하는 동안 휴학(폴)을 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요. ..
2007.12.15 -
의사가 이야기하는 의대생 이야기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FineQ_OJ" 입니다. 이 블로그 이름은 " 상큼한 레몬 쥬스 의과학자(MD-PhD) 이야기" 입니다. 사실 의대생이라는 존재는 주위에 흔하디 흔하지만, 그 생활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막연히 "바쁘다" 더라, "해부가 징그럽다" 더라 하는 소위 말하는 "카더라 통신"이 대다수 입니다. 물론 의대생 친구들을 둔 사람들에게는 다른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의대생 끼리는 그 집단의 폐쇄성으로 인해 특유의 문화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그런 문화가 각 학교마다 있을 것입니다. 고등학교를 지나고 대학생이 되면서 얻게 되는 자유라는 것도 의대생에게는 6년 동안 마치 같은 반으로 지내는 고딩 생활로 대치됩니다. 6년 동안 같이 지내는, 그리고 대부분의 ..
200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