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영어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하고, 영어에 대해서 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과연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어떤 기준일까?

 

여전히 나는 영어에 대해서 너무나도 목마르고, 부족함을 매일매일 느끼면서 벽을 치고 있다.

 

나보다 영어를 훨씬 잘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영어 발표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살짝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조금 용기를 내서, 영어 발표에 대해 bullet 형식으로 이야기하자고 한다.

 

특히, 이는 나와 함께 공부하고 있는 우리 방 친구들이 영어로 발표를 준비할 때 항상 하는 이야기이다.

 

1. 발음보다는 논리이고, 문장이다.

발표를 할 때는, 대부분의 내용이 Presentation file에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소한 발음 실수는 청자가 충분히 알아서 듣는다. 그렇기 때문에, 문장과 논리를 제대로 구성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발표의 흐름에 논리성을 중점으로 둔다는 이야기이다. 논리만 확실하면, 영어를 잘 못해도 청자가 이해를 잘 한다. A라는 이야기를 한 이후에, A'을 펼치고, 그 안에서 B를 펼쳐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대부분 문장에서 그게 벌써 결정된다. 발음이 아무리 좋다하더라도 발표의 논리성이나 스토리가 없으면 꽝일 뿐이다.

 

2. 발표를 하기 전에 문장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발표 전에 충분히 어떤 단어를 어떻게 구사할지 미리 예행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이 실수하는 것 중 하나인데, 예행 연습은 아주 중요하다. 무조건 녹음기 처럼 발표하거나, 글을 읽는 것은 문제가 있겠지만, 문장 흐름을 발표 전에 정해서, 연습하는 건,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에게 아주 중요하다. 발표전에 한 번 쯤은 Script를 짜는 것이 꼭 그렇게 발표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발표를 하는데 그 자체로 도움이 된다.

 

3. 발음은 굴리기 보다는 명확하게.

영어를 잘하는 사람일수록, 그리고 원어민에 가까울수록, 타인의 영어 발음에 관대하다. 즉, 어떤 사람이 발표하는 처음 몇 문장을 가지고, 그 안에서 단어 발음을 조합해서, 저 사람은 R을 요렇게 발음하니깐, 이렇게 알아들어야지 하면서, 신경을 써서 듣는다. 즉, 미국인들은 화자가 비영어권 사람이라면, 그에 맞추어 적응을 어느 정도 한다. 마치 우리가 정겨운 전라도 사투리를 듣거나, 구수한 경상도 사투리를 들을 때, 그 사람이 표준어를 쓰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처럼.

그렇기 때문에, 발음을 굴리는데 신경쓰기 보다는 명확하게 똑같은 형태로, Consistent하게 발음하면서 발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 R 발음이 잘 안되는데, 진짜 잘 안된다면, R을 L과 차별화해서 Consistent하게 발표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청자들은 대부분 발표에 이용되는 단어를 알기 때문에, 발음은 큰 문제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명확한 발음과 인토네이션(억양)이 훨씬 더 중요하다.

 

4. 정확한 단어를 적재 적소에 구사하기.

의학이나 과학은 그 분야만이 사용하는 단어가 있다. 예컨대, genetic imprinting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하지만, 만약 발표 중간에, 이런 단어를 적절하게 구사한다면, 많은 부연 설명을 줄일 수 있다.

단, 너무 전문적인 용어만 난무하면 문제가 된다. 적재 적소에, 자신의 배경 지식 수준에서 적절한 용어를 쓰는 것은 의사 전달에 아주 효율적이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이런 전문 용어일 수록 발음에 엄격해야 한다. 그래야만 알아듣기 때문이다. 역설적이지만 낯선 용어일수록 발음에 신경 쓰자. 아니면, 그 단어를 presentation에 넣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다.

 

5. 섣부른 농담은 하지 말자.

어색한 분위기를 만회하거나, 청중의 관심을 끌고자 중간에 농담을 하거나, 재미있는 슬라이드를 넣는 경우가 있는데, 영어를 못하면 오히려 역효과만 날 뿐이다. 피식 웃고 지나갈 정도의 그림 정도라면 괜찮겠지만, 설명이 필요한 그림이라면 생략하는 것이 훨씬 더 낫다.

 

6. 한국인들 앞을 두려워하지 말자.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은 영어로 친구들에게 발표하거나, 랩 사람들에게 발표하는 것을 부끄러워한다. 그리고 발표장에 한국인이 있으면 왠지 실수가 더 부끄럽게 느껴진다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런 걸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한국 사람들이 제일 무서워하는 경우가, 한국인들 앞에서 영어로 발표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그런 상황에 많이 노출되는 것이 중요하다. 절대 두려워할 필요도 없고, 부끄러울 필요도 없다. 실제 발표장에 가기 전에 랩에서 많은 시행착오, 리허설을 하길 권장한다.

 

7. 정말 모르겠다면, 단어만 나열하자.

이런 경우가 있다. 정말 열심히 준비했는데, 발표장 앞에 가니깐 세상이 까맣게 변하고, 하나도 기억이 안나는 경우. 크게 두가지 해결책이 있는데, 하나는 대사가 될 만한 것을 슬라이드에 다 적어 두어서, 아주 재미없지만(?) 안전하게 읽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냥 발표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제대로된 발전을 하려면, 시행착오가 있더라도 후자를 권장한다. 이 때, 발표를 잘 못하더라도, 시제에 구애받지 말고, 또박또박 단어로만 전달하길 권장한다. 첫 두세장만 지나가면, 희안하게도 자신이 연습한 것들이 생각이 난다.

 

8. 질문을 미리 생각하고 답안을 준비하자.

의학 발표에서 질문은 학회의 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낯선 질문이 전혀 생각 못했던 아이디어로 연결되기도 하고, 내 논리의 단점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아주 창의적인 질문을 제외하고는, 질문은 대부분 예상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발표 전에 어떤 질문이 나올지 대략 5개 정도의 질문과 답변을 준비해 두길 권장한다. 그리고 그걸 연습하다 보면 발표 자체에도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질문을 못 알아 들었으면, 다시 한번 물어보라. 전혀 엉뚱한 답을 하는 것보다 그게 훨씬 더 낫다. 그래도 못 알아 듣겠다면, 정중히 그 질문에 대해서는 답을 모르겠다고 말하고, 개인적으로 다가가서 이야기하길 권장한다.

 

물론, 영어를 잘하면 아주 좋다. 하지만, 시간이라는 한계와 한국에서 나고 자란 태생적인 이유로 영어를 영어권 대학원생 수준으로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학 발표 영어를 못해서는 안되기에, 어느 정도 레벨은 필요하다. 그 수준까지만 가자. 

 

여기에 내가 아주 존경하는 과학자이면서 pedigree 상의 나의 할아버지 과학자 한 분을 소개하겠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발음이 정말 꽝이다. 하지만, 청중을 들었다 놓았다 하고, 농담도 하신다. 그리고, 발표의 논리가 아주 확고하다. 참고로, 이 분은 매년 CNS 두 세 편을 교신저자로 내고, 자신의 지도교수가 노벨상 수상자다. ^_^노벨상 수상자에게 엄청 까이면서 박사 과정을 했다고 하시니, 논리적일 수밖에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K5FjtYEArEI&feature=youtu.be

 

P.S. 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자면, 한국에서 태어났고,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대학 전까지 외국어권에 산 적이 없다. 다행히 학교의 프로그램으로 예과 기간 한학기 정도 미국에서 교환학생 및 영어 프로그램을 다녔고, 그 이후 미국에 다시 포닥으로 나오기 전까지는 또 영어권에서 산 적이 없다.

 

대학교 시절에 미드를 즐겨 보았고, 여전히 미드 보는 걸 즐겨 했지만, 요새는 시간이 나지 않아서 너무 아쉽다.

영어에 대해서는 지금도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끼지만, 그렇게 쫄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나만의 방식이 있기 때문이다.근데, 요새는 머리가 굳었는지... 영어가 참 어렵다. 여전히 어렵고, 한국어를 많이 쓰다 보면 영어가 잘 안나오지만, 그러려니 한다 ^^

 

어쩌겠어요. 나는 한국에서 태어났는데 ^^

안녕하세요. 알파카입니다. 오늘은 누구나가 다 알고 있지만, 한번쯤 되새길만한 과학 정보를 접하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쓰고자 합니다. 

 

생물학과 의과학을 공부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접하는 것은 대부분 논문입니다.

 

사수나 교수님을 통해서 여러가지 주어 들은(?) 정보들 역시, 주옥같은 정보이겠으나, 이런 정보들을 꾸준히 업데이트해 나가지 않으면, 자신만의 우물에 갖히게 됩니다.따라서, 자신만의 정보 소스를 가지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아래에 언급된 것은 제가 현재 하고 있는 것 중 제일 기본적인 사이트로, 저에게 특화되어있는 것일수도 있지만,충분히 범용성이 있다고 파악되어 공유합니다. 참고로, 대부분의 사이트는 영어입니다.

 

큰 틀에서 본다면, 큰 틀에서 general하게 접하는 정보의 소스와, 꾸준하게 내 분야를 업데이트 한다는 느낌의 소스 두가지로 나누어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아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첫번째,나의 의지와는 상관 없이 팝업되거나, 신문처럼 랜덤(?)한 정보들이 제공되는 사이트

 

1. CNS 그리고 NEJM, Lancet.

 

이들은 사실상 과학과 의학을 리드하는 저널입니다. 기본적으로 이들은, 특정 주제를 커버하기도 하지만, General interest를 가진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기때문에, 꽤나 신선한 소식들이 많습니다. 특히, 이슈가 되는 주제나 논문들은 Feature가 되거나, 커버가 되기 때문에, 돈을 내고 봐야되는 것과는 별개로, 들어가서 그림과 제목을 보는 것만으로도, 어떤 주제가 핫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http://www.cell.com/

http://www.nature.com/index.html

http://www.sciencemag.org/

http://www.nejm.org/

http://www.thelancet.com/

 

2. 보스턴 촌동네(?)에서 런칭한 바이오 헬스 매거진 STAT

 

약 4년정도도 안 된 것 같은데, 제일 핫한 소식을 접하고, 최근에 많이 성장한 매거진입니다. 기본적으로 기사의 내용이 알차고, 이슈되는 주제에 대해서 중립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기사가 많습니다. 즉, 치고박는 이야기를 잘 다룬다는 것이지요. 어떤 기술이 이슈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발전성을 가지고 있는지. 추가로, 이 기술이 어떤 형태의 윤리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까지 심도있게 다각도로 다루는데, 아주 좋습니다.

 

https://www.statnews.com/

 

STAT

Reporting from the frontiers of health and medicine

www.statnews.com

 

3. 영국의 대표 덕후(?) 매거진 WIRED

 

일단 여기 기사들은 재미있습니다. 깔끔하게 구성된 잡지답게, 기사도 알차고, 재미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7년정도 전부터 잡지를 구독했는데, 잡지 기사보다 더 맛깔난 인터넷 기사들도 존재합니다. 과학이라고 보기에는 조금 제너럴한 정보들이 많고, 기술이라고 보기에 적합한 글들이 더 많긴 하지만, 충분히 재미삼아 읽을 건덕지(?)가 있는 사이트입니다.

 

http://www.wired.com/

 

WIRED

Culture How This Artist Makes Magnetic Fluid Sculptures Ferrofluid is a liquid with nano-sized iron particles that was developed by NASA in the 1960s. Artist Eric Mesplé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his magnetic liquid in his art for the past dozen years,

www.wired.com

 

4. 개별화된 자기 분야 논문 사이트.

 

이 건 아마도 주제별로 다를 것입니다. 예컨대, neuroscience를 하는 사람이라면, neuro를 테마로, 피부 과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JID 같은 사이트를, 각 분야별로 중요한 사이트가 있을 것인데, 한달에 한 번 정도, 혹은 페이스북 구독을 해서, 업데이트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두번째,내가 의도를 가지고, 키워드를 넣거나, 찾아보는데 적합한 사이트.

 

1. Google scholar

 

사실상 pubmed는 많은 분이 쓰고 있어서 소개하는 건 의미가 없을 듯 하고, 구글 스칼라는 사용하시는 분이 많지 않은 듯 합니다. 하지만, 구글 스칼라의 가장 큰 장점은, 그 논문을 인용한 다른 논문을 찾아보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즉, 내가 아는 중요한 논문이 어떤 형태로 확장되었고, 내가 하고자 하는 주제를 혹시 다른 사람이 하지는 않았는지를 확인하는데 최고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scholar.google.com

 

Google 학술 검색

COVID-19에 관한 기사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 - 아이작 뉴턴 죄송합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지 않으면 일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적의 상태로 사용하려면 브라우저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도록 설정 해 주세요.

scholar.google.com

 

2. science direct 사이트.

 

이 사이트는 엘스비어에서 제공하는 논문 통합 페이지입니다. 엘스비어 출판사에서 나온 모든 논문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특히 좋은 기능은 연계 논문을 제공한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내가 찾고자 하는 논문과 제일 비슷하거나, 내가 찾는 논문과 비슷하거나 controversial한 논문을 제시해 주는데, 내가 몰랐던 논문을 알게되는 재미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meta site 중에서 제일 유용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아울러 구독료가 다른 출판사에 비해 저렴(?)해서, 한국 대학 대부분에서 열린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http://www.sciencedirect.com/

 

ScienceDirect.com | Science, health and medical journals, full text articles and books.

Over 1.2 million articles on ScienceDirect are open access Articles published open access are peer-reviewed and made freely available for everyone to read, download and reuse in line with the user license displayed on the article.

www.sciencedirect.com

 

3.말이 필요없는 Youtube 구독

 

사실 Youtube는 동영상을 보는데 적합하다고 알려졌지만, 의외로 저는 노래를 들을 때도 이용하고, 강연을 들을 때도 이용합니다. 특히 아주 주옥같은 렉처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많은데, 이는 사람들마다 서로 다른 채널을 구독해서 성취할 수 있을 것이기에 자세히 언급하지는 않지만, 제가 구독하거나 찾아 보는 채널은 아래와 같다. 아끼는 리스트인데, 특히 칸과 leading strand는 아주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user/LeadingStrand

 

CSHL Leading Strand

Keynote lectures from CSHL Meetings.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user/khanacademymedicine

 

khanacademymedicine

Our mission is to provide a world-class education for anyone, anywhere. This channel includes Khan Academy videos on Medicine, presented by Rishi Desai, MD. ...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user/MIT

 

MIT OpenCourseWare

Whether you’re a student, a teacher, or simply a curious person that wants to learn, MIT OpenCourseWare (OCW) offers a wealth of insight and inspiration. The...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user/broadinstitute/videos

 

Broad Institute

A unique, collaborative community pioneering a new model of biomedical science.

www.youtube.com

 

 

일단, 오늘은 이정도로 하도록 하고, 반응이 좋다면, 조금 더 보따리를 풀어볼 예정입니다. 사실상 이것말고도, 많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이고, 내공있으신 다른 분들은 각자 맞는 정보 안테나를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혹시 댓글로 공유를 해 주신다면, 추후에 이용을 해 보고, 소개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나라 의료 제도는 비정상적인 구조가 많다.

비정상적인 의료 수가, 비정상적인 전공의 삶. 비정상적인 환자 전달 체계 등.

 

어느 분야인들, 비정상적인 일이 없겠나만은.. 우리 나라 의료 제도는 비정상적인 구조가 아주 많다고 볼 수 있다. 너무나도 잘못된 점이 많아서, 쉽게 바꾸어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잘못을 지적하지 않을 수도 없다.

 

그렇게 지적하면 달라지는게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많다.

 

맞다. 사실상 의사 결정권자들이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절대 바뀌어지지 않을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은 알아야만 한다. 오늘은 그 비정상적인 구조 중에, 전문의라는 타이틀 하나만을 바라보고, 5년이라는 시간 동안, 병원의 노예, 자기보다 연차 높은 선배의 노예, 그리고 지도 교수의 노예가 되어 있는 전공의의 삶을 바라보고자 한다.

 

이 글을 쓰는 것은 조심스럽다. 하지만, 5년 전부터 써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에서야 글을 쓰는 내 자신이 부끄러울 뿐이지, 글 자체에 대해서는 충분히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내 글에 대해서 전혀 부끄럽지 않다.

 

아울러, 모든 교수들이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자신이 임상 전공의 지도 교수이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이 글이 조금 과장되었다고 생각할 수는 있겠지만, 다른 액션을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대로, 자신이 너무나도 딱 맞아 보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은 이 글을 비판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나를 공격할 것이다.

 

그리고... 이 글을 공감하는 사람은 어떠한 형태로든지 공유를 하거나, 좋아요를 누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감히 전공의 신분으로는 누르기 힘들겠지만, 나는 이 글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전파되어, 지금도 쪽잠을 자면서 자신의 젊음을 윗사람들에게 착취당하는 젊은 전공의들에게 "너희들이 힘든 거 나 한사람이라도 알고 있다. 그리고 바꾸고 싶어하는 인간이 존재한다"고 알리고 싶다.

 

전공의는 왜 노예가 되었나....

 

일부 아닌 병원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대형 병원들에서 전공의는 없어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존재들이다. 그들이 가진 값싼 노동력이 없으면, 병원이 절대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병원은 진료를 통해서 수익을 버는 이익 집단이다. 법적으로 비영리 법인이라고 이야기하지만, 그 건, 달을 보고 해라고 하는 것과 같을 정도로, 말뿐인 허상이다. 병원이 수익을 위해 장례식장, 주차장 등을 운영한다는 것을 공공연한 비밀이고, 그 수익의 첨병이 되는 것이 바로 전공의들이다. 값싸고 고급 인력이기 때문이다.

 

보통 대형 병원, 수련 병원에 환자가 오면, 초진은 대부분 전공의가 본다. 연차별로 차이가 있거나, 인턴이 보는 과가 있을지 언정, 전공의가 1차적으로 환자를 거른다. 그리고 그 거른 상태를 토대로, 교수가 잠시 환자를 본다. 그리고 다시 그 교수의 "지도"에 따라 여러가지 처치를 하거나, 검사를 하고, 처방을 낸다. 그 "지도"조차 없는 경우도 많다. 그나마 검사나 처방을 내면 다행이다. 교수 담배 심부름을 하거나, 밥주문도 한다. 행정 서류를 처리하거나, 교수 회식 장소를 대신 잡기도 한다.

 

얼핏보면, 아주 멋진 의학 교육의 과정처럼 보인다.

 

천만에, 이 상황은 사실, 병원이 전공의라는 값싼 의사 노동력을 착취하고 있는 현장이다.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

 

수련 병원이 아닌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저런 초진과 처치를 위해서 전문의를 고용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전문의는 많은 연봉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문의는 병원 입장에서 정말 절대적으로 "의사"가 해야할 일에만 활용되고, 그 외적인 일들은 파라메딕이라고 불리는 다른 진료 보조 인력들이 담당한다.

 

하지만, 대학 병원의 경우에는 대부분 그렇지 않다. 진료 보조 인력이 존재하긴 하지만, 병원 입장에서 전공의는 무슨 일이든 척척해내고, 쪼아도 쪼아도 견뎌내는 슈퍼 인간이다. 똑똑하기도 하면서, 스트레스를 견뎌내는 역치도 높다. 인간들 중에서 가장 선별된 집단이 바로 전공의 집단인 셈이다. 그리고 시키면 시킨대로 다 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전공의가 전문의가 되기 위한 목줄을, 병원이... 더 정확하게는 담당 지도 교수가 잡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병원의 전공의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지도 교수의 노예가 될 수 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이 전문의가 될 기회가 박탈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나마 양심있는 임상 지도 교수들은 제대로된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천만에, 그들도 알고 있다. 대부분 대학 병원에서 이용되는 처치나 치료는, 개인 병원이나 진료 일선에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다. 예컨대, 말기암이면 그 암을 진단할 정도의 수준을 로컬 병원이 담당하지, 전문 병원이 아닌 한, 로컬 병원이 말기암을 전문적으로 수술하거나, 생사를 넘나들면서 밤샘 치료는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논문도 그러하다. 대학 병원의 스텝이 되거나, 의과학자가 되고자 하지 않는 한, 논문을 읽으면서 지식을 얻는 과정은 필요하지만, 굳이 90%가 넘는 전문의가 로컬 병원으로 가는 이 상황에서, 논문을 직접 쓸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리고 영악하게도, 그들은 논문을 쓰면, 자신들인 임상 지도 교수들에게 학교나 병원 차원에서 인센티브가 떨어진다는 사실 역시 알고 있다. .

 

하지만, "전문의"가 되고자 하는 전공의에게는 이런 처치나 논문을 쓰는 과정이 필수적이다고 설명한다.

그런 상황에서 전공의는 어쩔 수 없다. 자신이 원해서 온 과이고, 그 과의 생리를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그 과정에서 부조리함을 고발하거나, 비판이라도 할 경우, 당연히 소리없는 보복이 돌아온다. 병원에 소속된 임상 교수들은 똑똑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저 인간은 교육에 부적합하다고 이야기 하거나, 우리과에 맞지 않다고 말하거나, 그 인간의 다른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그것을 토대로 그 전공의를 중도 탈락시킨다. 하지만, 알 사람들은 알고 있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표면적이라고.

 

사실, 전공의는 피교육자 신분이긴 하지만, 전문적인 직업을 수행하는 고급 인력이다. 하지만, 자신의 목줄을 쥐고 있는 병원이나, 임상 지도 교수들 앞에서는 어디까지나 고양이 앞에 있는 "쥐" 신분일 뿐이다. 방울을 전혀 달 수도 없다.

폭력을 행사하는 윗년차 혹은 교수, 개인적인 심부름을 시키는 지도 교수, 다 너 좋은 일이다면서 강요하는 논문, 학위를 받아야 진정한 임상 의사가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하며 학위를 강제하는 것.

 

그리고 의사가 하지 않아도 되는 일을 단지 교수 입장에서 시키기 편하다는 이유로, 혹은 일을 시키면 빨리 잘한다는 이유로 많은 전공의들이 의료 외 적인 부분에서 착취 당하고 있다.

 

아울러, 목줄을 잡고 있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 구린 일들을 시키기에 딱, 안성맞춤이다.

여러가지 심사 관련 서류 조작 같은 일은, 전공의 만이 할 수 있는 일이고, 전공의만 관여된다. 물론 아닌 그룹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이 시간에도 서류를 만드는 그룹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런 서류를 대신 만들어 주는 업체도 존재한다.

 

전공의도 본의 아니게 공모자가 된다. 공공의 목적으로, 이런 서류를 조작하면, 결과적으로 내년에 나 말고, 더 부릴 수 있는 노예가 내 밑에 생기는 일이기 때문에, 묵시적으로 동의하고 일을 진행한다. 모두가 거짓이지만, 이득보는 사람들은 항상 존재한다.

 

전문의를 따기 위해서는 최소한 3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 시간은 어찌보면, 암묵적인 교수와 전공의의 고용계약인셈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전공의는 자신의 인생을 그들에게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교수를 하늘과 같이 여길 수 밖에 없다.

 

만약, 3년차에 문제가 생겨서, 병원을 나가야하는 일이 생긴다면, 전공의가 보낸 이전 3년은 그냥 허공으로 날아가 버린다. 교수가 폭력이나, 언론에 노출될 만한 일을 하지 않았다면, 당연히 교수에게는 아무런 해가 가지 않는다. 그냥 또 다른 노예를 구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수십년 예전보다 많이 나아졌고, 최근 5년간만해도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전공의들을 영국 산업 혁명 시절의 어린아이들보다도 더 많은 근무 시간을 소화해내고 있다. 그 건, 근무가 아니라 착취이고, 노예 제도이다. 남북전쟁시, 미국 남부 지역 노예도 하루 14시간 이상 일하지 않았다.

 

현재와 같은 제도에서, 임상 각과의 교수는 전공의에게 무소 불위와 같은 권력을 휘두르고자 마음 먹으면, 그렇게 할 수밖에 없다. 즉,전공의 입장에서는 그런 일이 바라지 않게 하늘에 대고 기도를 하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당연하게 지켜져야할 일임에도 불구하고, 임상 지도 교수라는 한 개인의 양심에 맡겨져서, 전공의 개인의 노예 생활이 결정된다는 사실은, 우리 사회의 쓴 맛을 보여준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상황은 전혀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

해철이 형... 마왕의 새벽 목소리가 너무 듣고 싶어요.

"날아라 병아리" 라는 노래는 중학교 시절 내가 아주 좋아했던 노래였다. 죽음이란 과연 무엇인지 너무나도 궁금해서 죽어보고 싶어도 했던 중학생인 나에게, 날아라 병아리는 죽음을 대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기도 했다. 그리고 신해철은 나에게 우상이 되었다.

 

포닥을 한참하면서 실험을 하던 그 어느날, 인터넷 지상에는 신해철 사망이라는 기사가 떴었다. 나의 차에는 여전히 라젠카의 씨디가 틀려져 있었고, 그의 죽음이 너무나도 안타까워서 그의 노래를 처음부터 다시 들었다. 그리고 그의 죽음이 의사의 잘못으로 특정되어질 때는 그 누구보다, 내가 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실을 알기 위해서 이곳 저곳을 기웃거렸다.

 

그리고는 대략 1년 반이 지났다. 그리고, "신해철 법" 이라는 의료 사고 관련 새로운 법이 제정되었다.

 

사실, 나는 연구를 주로 하는 의사이고, 진료나 수술의 경우에도 외래에서 진행할 수 있는 "미용"목적의 수술이기 때문에, 신해철 법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 그리고 그의 목소리로 색깔이 칠해진 나의 10대와는 별개로, "신해철 법"을 반대한다.

 

모든 법안은 그 나름의 의미가 있고, 개선방향도 있다. 더군다나, 신해철이라는 음악인의 죽음을 매개로, 법안은 급물쌀을 타고 있다.

 

신해철 법은, 표면적으로는,

"의료 분쟁시 피해자가 분쟁 조정을 신청하면, 의료인의 동의 여부와 상관 없이 조정이 시작된다."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물론, 이 법이 생기면, 환자의 권익이 향상되는 것처럼 보인다. 분쟁이 생겼을 때, 피해자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믿져야 본전이라는 심정으로 조정을 신청하면, 의사는 강압적으로 그에 응해야 한다. 의료 정보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환자에게 아주 좋은 제도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법안의 맹점은, "의료 분쟁시"라는 점이다. 의료 분쟁이 생기지 않으면, 환자들은 조정을 신청할 수가 없다.

나쁜 마음을 먹으면, 의료 분쟁을 만들지 않고, 평생 아주 친절한 의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은 많다. 그리고 환자를 치료해서 분쟁으로 가는 것보다, 병원입장에서는 장례식장으로 돈을 버는 것이 더 쉬운 일일 수도 있다.

 

이런 글을 올리면, 또 법안을 비틀고, 꼬아서, 더 복잡하게, 빼도 박도 못하게 만들고자 노력할 것이다. 항상 그래왔듯이.

하지만, 때로는 덧셈의 너저분함보다, 뺄셈의 미학이 훨씬 더 아름답다. 전문가로서 의료 면허를 주었다는 것은, 그들의 철학과 그들의 전문성을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현재의 덕지덕지한 법안으로, 일부는 구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분명 법안의 혜택을 보는 소수가 생길 것이다. 하지만, 그 뿐일 것이다. 선의의 피해자는 아무런 영문도 모른채, 신해철 법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다가, 친철한 의사들 앞에서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게 될지도 모른다. 과연 그것이 행복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그 어느 누구도 쉽게 하지 못할 것이다.

 

쪼글쪼글한 풍선의 한 쪽을 아주 세게 누른다고 해서, 풍선이 터지지 않는다. 다만, 반대쪽이 팽팽하게 부풀어질 뿐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X41UVzR1qI

 

 

"슬기로운 질문 생활"

 

안녕하세요. MDPhD.kr입니다. 오늘부터 가끔씩 의료 윤리에 관한 질문을 하나씩 올리고자 합니다.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만한, 그렇지만, 쉽게 답을 내기 힘든 의료 상황이나, 과학적 상황에 대해서 질문을 올리고자 합니다.

 

정답은 정해져 있지 않아요. 당연히 이 부분은 오픈되어 있습니다. 때로는 법률적으로 정답이 있을 수 있겠죠. 하지만, 그 법률적 정답은 사회적 합의에 의한 정답으로 언제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자가 가지고 있는 정답에 대해서 최대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반대편 의견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자신이 그 상황이라면 어떤 액션을 취할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 "질문 한토막" 코너의 취지입니다. 상황 자체의 가정에 대한 논의도 환영입니다. 그리고 글 자체가 언제든 시대 상황이 바뀔 수 있고,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게시한다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지난 글에도 답을 해 주실 수 있으면 답해 주셔도 됩니다.
-------------------------------------------------------------------------
오늘의 슬기로운 질문 한토막 입니다.

 

상황입니다.

 

당신은 치프 레지던트입니다. 겨울이 다가오고, 이제 인턴들이 당신의 과에 몰려와서 던트 시험을 치겠다고 합니다.

총 2명을 뽑을 수 있고, 지원하는 인턴은 원내턴 6명과 원외턴 4명을 합쳐서 10명이 지원했다고 합니다.

 

1년 동안 어플라이턴의 일처리 능력과 성적, 성격 그리고 전반적인 교수님의 평을 통해, 대략 어떤 사람을 뽑을지 의국 내에서는 결정이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즉, 이 사실을 모르는 8명이 던트 시험을 치면, 1년이라는 기회를 날릴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8명에게 시험을 치지 말라고 조언한다면, 그 중 일부가 교육 수련부에 이 상황을 보고하면, 징계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8명의 인턴들에게 우리 과를 지원하지 말라고 조언해줘야 할까요. 아니면, 그냥 내버려둬야 할까요?

과연 어떤 선택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인턴선생님들에게 좋은 것일까요?

홍길동의 친자 확인 검사~ 민감도와 특이도.

 

홍길동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였다고 하였다고 하면서, 서자의 설움을 토로하였죠.

 

만약 홍길동이 지금처럼 의학과 법률이 발달한 현대 사회로 온다면, 첫번째로, 친자인지 확인 소송을 걸어야 겠고, 그 확인 소송을 통해서 두번째로 유전자 검사를 하여 "친자"인지 확인부터 해야할 것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이 친자 확인을 하는 유전자 검사가 부정확하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검사를 여러번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검사를 믿지 못하는 일이 생길 것입니다.

 

그리고 의사나 과학자가 어떤 하나의 검사가 "부정확"하다 혹은 "정확"하다는 결정은 어떻게 내릴까요? 여기에 바로, 의학적 통계가 녹아들어가 있습니다.

 

이 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Specificity)라는 개념입니다.

 

민감도는, "있는 것"을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홍길동 사건으로 보자면, 친자인데 친자라고 결정을 내리는 것입니다. 이게 낮다면, 질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찾아내는 능력이 아주 많이 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친자임에도 친자가 아니라는 잘못된 결론에 이르게 되겠죠.

 

특이도는 반대로, "없는 것"을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친자가 아닌 사람을 친자가 아니다 라고 하는 것이죠. 만약 이게 낮다면, 친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친자라고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가 높은 검사가 아주 좋은 검사입니다. 당연하겠죠. 있는 것을 있다고 말하고, 없는 것을 없다고 말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실제로는, 이런 두가지를 모두 만족하는 검사는 비용이 높기 때문에다양한 의학적 선별 검사(스크리닝 테스트)에서는, 한쪽만 높은 것을 일단 적용하기도 합니다.

 

예컨대, 어떤 질병 자체를 대규모로 빠른 시일에 검출해서 자세한 추가 진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민감도가 높은 검사를 쓰는 게 효율적이겠죠. 일단, 있는 사람을 골라내는 것이 목적이 되니깐요. 반대로, 확실한 결론을 얻어서, 이제 더이상 이사람은 이런 질병이 없다는 결론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특이도가 높은 의학적 검사가 필요하게 되겠죠.

 

사실, 일반인들은 두개가 결국은 같은 것이 아니냐 라고 하는데, 실제로 그렇지 않습니다.

 

"있는 것을 있다고 말하는 것은 민감도, 없는 것을 없다고 말하는 것은 특이도"

 

따라서, 홍길동은 민감도와 특이도 중 굳이 하나만 선택해야한다면, 민감도가 높은 유전자 친자 검사를 해야하는데, 실존하는 친자 확인 검사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아주 높아서 오판할 확률이 거의 없습니다.

 

단, 제대로된 샘플을 가지고 왔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간혹 샘플을 속이는 경우가 있어요.

 

더 참고하실 분들은, 요기~

 

https://www.technologynetworks.com/analysis/articles/sensitivity-vs-specificity-318222

 

Sensitivity vs Specificity

When developing diagnostic tests or evaluating result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reliable those tests and therefore the results you are obtaining are. By using samples of known disease status, values such a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an be calc

www.technologynetworks.com

 

https://www.yna.co.kr/view/AKR20160518127200014

 

軍, 이공계 전문인력 활용방안 모색…병역특례 폐지 후속대책 | 연합뉴스

軍, 이공계 전문인력 활용방안 모색…병역특례 폐지 후속대책, 김귀근기자, 정치뉴스 (송고시간 2016-05-18 16:28)

www.yna.co.kr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병역 의무를 완료한 사람으로, 사라져야할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징병제라고 생각하고, 군에서 이공계를 "활용"한다는 것에 대해서 아주 큰 우려를 표하는 바입니다.

 

말이 좋아서 탈피오트이지, 사실상 바보 만든다는 것과 다름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사실, 국방부에서 젊고 파릇파릇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해야할 20대 젊은 남자를 데리고 가서 "시다바리" 시키고, 바보 만들어서 제대 후 경직된 사고를 제거하는데 드는 사회적 비용, 그리고 창의적인 사고와 유연한 사고를 할 기회를 빼앗는 기회 비용을 따지고 본다면, 저는 현재의 징병제는 아주 구시대적인 발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군인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도 등장할테고, 아무리 쪽수가 많아봤자, 제대로 만든 미사일이나 폭격 한 방에 훅 가는 것이 현대 전투인데, 지금 별달고 "장군"하는 사람들이 70년대 "내가 해봐서 아는데..."를 살고 있으니, 이런 대책이 나오는 거 아닌가 싶네요. 물론, 주변에 딸랑이들도 많겠죠.

 

사실상 국방의 의무는 남녀 차별의 가능성도 존재하고, 모든 무기들이 현대화되고, 기술의 첨병을 달리고 있는 전투에서는 1년-2년짜리 발통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모병제를 통해서 숙력되고, 제대로 된 군인을 만들어서 장기적으로 활용한다는 관점으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데, 답답한 마음 뿐입니다.

 

눈이 오면, 삽질을 군인들에게 시키는 것이 정답이 아니라, 눈을 치울 수 있는 장비를 "제대로!!!" 사주고, 이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면 됩니다. 그러면, 100명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2명 정도면, 많아도 5명 정도면 충분히 100명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제대로 돈만 쓰면, 뭐든지 제대로 할텐데 말이죠.

 

지금 군인은, 눈 치울 장비와 숙련된 인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눈 올 때는 삽질하고, 비 올 때는 천막치고, 평소에는 내무반을 청소할 "SCV"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거 아닌가요? 가끔 군인 코스프레하면서 완전무장하고 뺑뺑이 돌... SCV

사람이 많아 보이면 뭔가 있어보이고, 없으면 "가오"가 안서서, 사람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발상. 이제 접을 때도 되지 않았나요. 예전 6.25때는 인해전술이다 뭐다 했지만, 이제는 백병전도 그리 많이 하지 않아요.

 

화장실 청소도 군인들 시키고, 빨래도 손빨래 시키고, 바느질도 군인이 하고, 내무반 청소도 군인이 하고, 모든 것을 군인이 하게 만드는 "군인 정신"을 버려야 할 때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저는 기억합니다. 전국에서 가장 똑똑한 인재들을 모아 놓고, 한달 만에 바보를 만들어 버리는 "군인 정신"을 말이죠.

가장 창의적인 인재들이, 세상에서 가장 수동적으로 변신하는 장면도 보았습니다.

 

그리고 아주 똑똑한 "발통들"을 자기들 편하자고, 쓸데없어 보이는 반복적인 노가다에 넣어서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결과를 얻는 "군인 정신"을 보았죠.

 

나라를 지켜주는 일은 아주 고마운 일입니다만, 그거 다 우리 세금으로 돌아가고 있는 거 아시죠. 기껏 나무 침상 현대화하려고 6조 8000억원 준게 아니란 말입니다.

 

그리고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도 아셔야 합니다. 국방부 한 해 예산은 39조입니다. 이게 얼만큼 큰 돈이냐 하면, 3년만 모으면, 코스닥 시장에 있는 모든 기업을 살 수 있는 금액입니다.

 

감이 안오신다면, 자동차로 유명한 "페라리" 라는 회사를 4개나 살 수 있는 금액이구요.

 

서울에 있는 제2롯데월드를 10개정도 지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그래도 실감이 잘 안오죠.

 

국민 모두에게, 오늘 태어난 신생아부터 시작해서, 100살 먹은 할머니까지 대한민국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80만원짜리 아이패드 혹은 갤럭시 s20 신형을 공짜로 줄 수 있는 금액이 바로 39조입니다. 4인 가족이면, 한대가 아니라 4대에요. 이런 금액이 바로 국방부가 한 해 쓰는 예산이라는 말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우리는 매일 국방부 예산이라는 미명 아래, 저 "군인 정신"을 지켜주기 위해서, 일년에 한번씩, 아이패드 혹은 갤럭시 s20 하나씩, 갓난 애기까지 포함해서, 100살 먹은 할머니까지, 세금으로 바치고 있는 겁니다.

 

그러니 뻘짓하는 거, 자기들만 생각하는 거, 국방의 의무라는 이름으로 건장한 젊은이들 착취(?)하는 거. 이제는 보고 있기가 힘드네요..

 

 

그리고 이에 관한 두번째 글..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6/05/351714/

 

[단독] "이공계 병역특례 2023년까지 폐지" - 매일경제

국방부가 산업기능요원, 전문연구요원 등 이공계 출신들에게 부여해온 병역특례제도를 2023년까지 전면 폐지키로 결정했다. 특히 이공계 박사 과정 학생들이 꾸준한 연구를 위해 선택하는 전문연구요원 박사 과정에 대한 병역특례는 2019년

www.mk.co.kr

 

스타크래프트를 하는데 최고의 전략은 적절한 유닛들을 적시 적소에 만들고, 그들을 조화롭게 만들어서, 적의 기술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예전에, 어떤 바보들은, 주구장창 서플라이 디폿과 배럭만 만들어서 200이 꽉 찰때까지, 마린과 메딕만 만들어서 떼로 공격하기도 했다.

 

더 바보같은 사람들은 마린만 미친듯이 만들어서, 돌격 앞으로 하기도 했다.

 

그러다 뭐.. 다크템플러 같이 안보이는 유닛으로 공격하면, 뭐 할 말 없이 바보가 되거나, GG치는 것이지.... 그리고 친구들한테 평생 병-신 이라는 소리를 가루가 되도록 들을 것이다.

 

제대로 하려면, 사이언스 베슬도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요새 국방부에서 하는 일들을 보면, 마린보다 못한 "저글링"들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눈덮힌 산에 삽질할 인력.

 

그리고 부대 청소만 하고자 하는 인력. 가끔씩 똥을 치우는 인력.

 

아.. 맞다. 이런 아이디어라면, 저글링 조차도 필요 없을테지.... 그냥 SCV나 드론 정도로 200 채울 분위기~

 

정말 인재를 대우해주고, "쪽수"로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닌, 효율과 융통성을 발휘해서 고급으로 적절하게 쓸 수 있는 제도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대학교수’ 라는 타이틀에 마음이 가있는 경우라면 누구나 한번쯤 해봤을법한 이야기를 꺼내봅니다. 오늘의 주제는 ‘영어’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의사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영어는 의과대학 입시, 본과 진입, 대학원 석박사 졸업 등 몇가지 단계를 제외하곤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물론 영어로 된 원서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 등을 포함하여 평범한 대한민국 국민 수준의 영어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말입니다. 그러나 ‘교수’라는 타이틀을 달고 싶다면 문제는 달라집니다. 아무리 잘 가르치고, 아무리 연구능력이 뛰어나고, 아무리 진료실적이 우수해도 ‘논문’이라는 장벽을 넘을 수 없으면 시작할 수 없고, 설령 시작하더라도 유지할 수 없는 것이 교수라는 타이틀입니다.

 

근래 외국에서 살다온 경험을 가진 의대생들도 많고, 영어공부에 대한 강조가 계속 되어 와서 지금의 의대생들 영어실력은 제가 의과대학 입학할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우수합니다. 적어도 서류상으로는 그렇습니다. 그러나 그때나 지금이나 영작문에 대한 부담감은 여전한 것 같습니다. 수려한 문장을 자랑하는 우리말 한문단을 번역했는데 영어로 두세줄 되는 경험.. 다들 있지 않으신가요? ^^


서론이 길었네요. 오늘 제가 올리는 글의 주제는 한국사람이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할 때 '영어'는 그 본문(논문)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비중(기여)을 차지하는 걸까요?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중엔 이른바 논문 영어 교정 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해 보신 분이 계실겁니다. 이에 대해서는 영어 교정에 대해서는

 

1) 단과대학 혹은 대학차원에서 지원하는 경우
2) 저널(특히 국내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의 경우) 편집국에서 지원하는 경우
3) 개인적으로 투고 전후에 (영문법에 대한 리비전도 있음) 사설 영문교정 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 안그래도 논문 저자에 대한 기여도 문제가 뜬금없이 정계 진출하는 사람들 때문에 이슈가 되곤 하는데..
1) 만약 어떤 사람이 1인이 순전히 이 논문의 영어화 에만 기여했다면 저자가 될 수 있을까요?
대개 논문의 팀으로 만들어지게 되는데 다섯 명이서 논문을 썼다고 가정해보죠. 그런데 이중 한명은 논문을 영어로 쓰는 작업에 100% 기여하고 다른 기여는 없다고 가정해봅시다. 이사람은 논문의 저자인가요 아닌가요?

 

1) 번의 경우에서 이 사람을 논문 저자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다음 상황을 생각해 봅시다.
다섯 명이 실험결과는 멋지게 나왔는데 영어가 서툰 다섯 사람입니다. 이들이 대충 영문으로 논문을 작성하고 사설 영문 교정업체에 교정을 맡겼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영어가 틀린곳이 많아서 대폭 수정된 결과를 받았고, 이를 다 반영하여 투고했다고 해보죠. 2) 이런 경우 사설 영문 교정업체에서 이 논문을 수정해준 사람은 이 논문에 대한 기여도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2) 번의 경우가 헤깔리는 경우 좀 더 세분해서 생각해 봅시다.
3-1) 영어가 너무 서투른 나머지 우리말 논문을 쓰고 이의 번역 자체를 업체에 맡긴 경우
3-2) 서투르나마 아무튼 저자 5인의 손으로 영어 논문을 쓰고 업체에서 대폭 (50% 이상의 문장을 수정?) 뜯어 고친 경우
3-3) 영어 논문을 써서 교정을 맡겼는데 소폭 (10% 미만?) 교정의 결과가 와서 반영한 경우
위의 세가지로 대충 간략히 나눠봤는데 이런 경우는 교정업체의 교정자가 논문에 대한 기여도를 주장할 수 있을까요?

3-1)의 경우는 이런경우를 생각해보죠. 국제 학술지에 투고하는데 1인 투고를 가정하고, 이사람이 논문의 내용은 다 만들었는데 영문은 전문 번역업체에 맡겨서 투고했다면 이를 1인 논문이라고 봐야 할지 아니면 영문으로 번역한 사람에게 저자로서의 기여를 인정해서 2인 저자 논문으로 해야 연구윤리에 위배되지 않는건지..


여기까지는 사설 번역업체 이야기만 한건데요. 논문을 투고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메이저 리비전, 마이너 리비전이 오는 경우 지적사항 중에 영어가 부실하다 손좀 봐라 라는 지적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영어가 부실하면 대개의 경우 내용 읽지도 않고 리젝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내용이 아주 성실하고 괜찮은데 읽기가 힘든 수준의 영어다 그러면 아주 착한 리뷰어가 문장 하나 하나 고쳐가면서 메이저 리비전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어가 부실한데 마이너 리비전이 오는 경우는 거의 없더군요.).

 

논문 투고 했는데 메이저 리비전이 왔고, 메이저 리비전으로 선정된 주 이유가 영문법에 대한 사유로 정말 친절한 리뷰어가 거의 논문을 뜯어 고치다시피, 원래 투고한 사람의 문장이 거의 안남게 빨간펜 교정을 해주는 경우도 드물게 있습니다.

 

이런 경우 내용은 원저자의 것이지만 글은 리뷰어의 수정사항을 거의 반영하게 되지요. 거의 리뷰어가 써준거나 다름 없는 경우라고 봐도...

 

자, 3번과 마찬가지 상황을 여기서도 적용해보죠. 리뷰어가 아주 조금 손봐준 경우부터 리뷰어가 한 50% 정도의 문장에 손을 댄 경우까지 가정했을 때 이 리뷰어는 저자입니까?


이렇게 놓고 생각해보니 왠지 영어 문장을 손봐준 교정업체, 리뷰어 혹은 한글 논문을 번역해서 영문으로 만들어준 번역가 는 논문의 ‘저자’라고 하기에는 좀 부족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논문의 저자 목록에 있는 사람 중에 순전히 논문의 영어화에만 기여한 사람은 저자라고 할 수 있을까요?

 

반대로, 영어 능력이 부족해서 우리말 논문을 완성한 후 번역업체에 맡겨서 영어 논문을 만들어 투고한 사람들은 영어 논문의 저자인가요 아닌가요? 저자들의 논문이 되려면 팀 안에 누군가가 영어 초안이라고 내 놓아야 인정될까요? 아니면 우리말로 된 논문 초고가 있으면 저자들의 논문일까요? 또한 번역자의 기여는?


언젠가 일본에서는 영어를 거의 모르는 과학자를 위해 논문 투고를 전문으로 도와주는 시스템 (일문 - 영문의 번역 및 교정)이 있다고 들은것 같기도 한데 확실하지는 않습니다만 아무튼...

 

모국어로 논문을 쓰라고 하면 쓸 수 있는 많은 좋은 표현들이 영문 투고를 위해 날아가는 경험을 다수 해보다가 뜬금없이 생각나서..


마지막으로 영어 한마디 못하지만 노벨상을 받았다고 해서 화제가 된 일본의 과학자 이야기를 링크 걸어봅니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472562.html

 

영어 한마디 못하지만 그는 노벨상을 받았다

2008년 물리학상 공동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수 카이스트 100% 영어수업에 빗대 트위터 등에서 다시 화제 수상식 참가 전까진 여권도 만든 적 없어…소감도 일어로

www.hani.co.kr

 

200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수(교토산업대)는 영어 논문의 작성은 공저자인 다른사람에게, 불가피하게 본인이 작성한 경우는 알파벳이 틀릴 정도라고 합니다. 또한 노벨상 수상시까지 여권을 가져본적도 없고, 노벨상 수상식에서 처음으로 일본어로 연설했다고 하네요.

 

페이스북에 달린 댓글들.

 

1)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논문의 주된 아이디어가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영어로 논문을 쓰는 문제는 그 다음의 문제겠지요. 이쪽 바닥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것이 영어이다보니, 당연히도 다른 연구자들에게 자신의 연구결과를 발표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논문을 쓸 수 밖에는 없을테이고, 그래서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국가의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영어논문작성이 큰 산으로 다가오는 것일텐데, 이를 위해서 많은 사설 영문교정업체들이 생겨났고, 많은 도움들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단순히 교정을 해주었다고 해서 저자에 넣느냐는 너무 오소독스한 이야기인것 같아요. 사설 교정업체에게는 영문교정을 해준 댓가를 이미 지불한거기 때문에 논외로 해야할 듯 싶습니다. 이외 단순히 영작을 해줬다고 저자목록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는 반대합니다만, 이건 교신저자의 마음이겠죠. 정말 저자 중 영문작성을 담당한 사람의 표현을 통해서 연구결과를 보다 독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줬다면야 교신저자의 재량에 따라 저자에 넣을 수도 있고, acknowledgement에 감사인사를 할 수도 있는거고. 만일 리뷰어가 논문첨삭을 해줬다면야 백번 감사할 일이지만, 현재의 peer-review 시스템상 저자로 참여할 수는 없는 상황 아닌가요?이런 경우에는 감사의 편지와 함께 떡이라도 한상자 택배로 보내면 될 듯 싶기는 합니다만.

 

2)

추가로, 논문 저자의 핵심은, 논문에서 주장하는 새로운 발견의 "지적 기여"입니다. 영어가 분명 지적 기여로 간주될 수는 있지만, "새로운 발견"을 하는데 이용된 것은 아니지요. 분명히 실험을 하고, 그 실험을 분석하고, 그림을 만들어 내고, 글을 쓴 사람에게 저자가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애매한 것 하나가, 언급하신 예시의 리뷰어처럼 영어로 "비판적"인 지적 기여가 들어가서, 새로운 발견의 가치가 올라간 상황입니다. 이 부분은 교신저자의 철학과 개인적인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3)
쓰다보면, 사람들이 특히 학생들이 "영어"로 논문을 잘 못 쓰겠다고 하는데, 실제로 논리력 부분에서 허점이 있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영어에 부담을 느낀다고 착각하지만, 실제 논문의 뼈대나 문장력은 "영어" 글쓰기와는 별개로 학습되어야 하는 부분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

사실 우리나라가 유난히 공저자 기준이 관대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어요. 따지고 보면, "영어" 하나로는 공저자가 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결국 저자의 결정은 교신저자의 선택이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일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현재 저자에 대한 관대함 때문에 생겨난 일이지, 결코 일반적인 일일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한국에서도 한글로 글을 작성하고, 전문 번역업체에 맡겨서 논문을 쓸 수 있는 날이 와야 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개개인이 영어로 논문을 쓰는 것은 전적으로 "선택"에 맡겨야 하겠지만...

 

5)

영어는 당연히 아무런 비중이 없죠. 의사전달의 툴에 불과하고 논문의 영어 문장을 작성한 것은 서비스의 일종이지 논문의 아이디어나 실행이 아니기 때문에.

 

6)

10000% 공감합니다. 자신의 모국어로 논리적인 사유를 할 수 있고 논리정연한 깔끔한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 곧 영어(외국어)로도 작문을 잘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7)

 Acknowledgment 섹션이 그래서 편리한 것 같아요. 저자로 넣기 애매한 사람들 이름 우르르 다 밀어넣을 수가 있으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