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생각들(43)
-
전원주택, 보는 것처럼 낭만적이지 않다. 그리고 과학자와 의사도 마찬가지...
안녕하세요 MDPhD.kr 의 오지의 마법사, 오마입니다. 전원주택은 얼핏 보면 참 아름다워 보입니다. 도심의 번잡함을 뒤로 하고, 자연과 벗삼아 사는 인생. 내가 가꾸어 논 유기농 채소와 푸른 잔디를 바라보면서, 가끔 친구들을 불러서 바베큐도 같이 먹고, 진도개와 오리,닭이 마당에서 자유롭게 뛰어다니고, 가족들이랑 벽난로로 따뜻하게 지내면서 오순도순 이야기하는 풍경. 이게 바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전원주택"의 삶입니다.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죠. 링크로 연결된 블로그 글을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유기농 채소를 키우기 위해 전업 농부보다 더 힘든 농사를 지어야 하고, 장마철 푸른 잔디는 자기가 마치 벼인양 쑥쑥 자라나니, 일주일 관리를 못하면, 숲이 되어버리고, 놀러온 친구들과 행복한 시간과는 별개인..
2020.06.01 -
오픈 액세스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
논문을 쓰면서 나오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해보고자 해요. 다양한 출판사들이 있고, 일부 어처구니 없는 기사들을 읽기도 한 김에, 논문과 얽혀 섥혀 있는 이야기 썰을 하나 풀어볼께요. 일반적인 학술 논문은 이런 형태를 통해서 흘러 갑니다. 1. 정부에서 과제 신청을 통해서 연구비를 받는다.(연구비 수주) 2. 연구비를 통해서 신나게... 혹은 꾸역꾸역...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 활동) 3. 데이터가 좀 쌓이고, 무언가 보고할 만한 밑밥(?)이 생긴다. (학술적 발견) 4. 그 밑밥을 내 줄 출판사를 알아 본다. (취미 생활(???)) 5. 출판사에 그 밑밥을 던져보고, 덥썩(?) 무는지 알아본다. (서브미션) 6. 출판사가 밑밥을 물면, 리비전과 여러 서신 교환(혹은 쥐어짜기)을 통해서,..
2020.05.30 -
교과서를 대하는 자세와 학문을 위한 공부하는 방법(의학,생물학)
이번에, 기회가 되어서 책정리를 했는데, 다양한 책들이 나왔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책들은 의대 다닐 때 교과서들이구요. 정리를 하면서, "교과서에 대한 글"을 하나 쓰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글을 포스팅합니다. 추가로 최근 책에 대한 문의들이 많이 와서 겸사 겸사 글을 써 봅니다. ^^ 쓰고 나니깐, 글에 좀 기네요. 페북에서는 글이 길면, 반응이 좋거나, 아니면 그냥 클릭만 하고 안 읽는 경우가 많던데.. 걱정입니다. 이 글은 대부분의 의대생에게 도움이 되지만, 일부 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나, 교과서를 통해서 학습을 하는 모든 자연과학도 학생들에게도 도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디까지나 이 글은 개인적인 견해를 밝힌 것이고, 후배들이 책에 관해서 물어올 때 마다 대답해 주는 이야기입니다. 학교에서..
2020.05.22 -
동서양의 차이, 작지만 아주 큰 ^^
양 리우(Yang Liu)라는 독일에 있는 중국인 교수가 만든, 동서양의 차이를 미니멀하게 보여주는 포스터입니다. 파란색은 서양을, 빨간색은 동양을 의미합니다. 화가 났을 때, 동양인은 속에는 열이 나지만 웃으면서 말하는데 반해, 서양은 화를 그대로 표출하는 것이라든지.. 보스의 위상이라든지, 무언가를 언급하기 위해서 둘러서 표현하는 동양의 문화와 직접적으로 언급해버리는 서양의 문화. 시간에 대한 개념과 누군가를 기다릴 때 서성거리는 발걸음.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에 대한 동서양의 접근법 차이 역시 공감하는 바가 많습니다. 특히, 여행을 갔을 때, 동양 사람들이 사진으로 남겨서 추억을 되새기고 싶어하는데 반해, 서양 사람들은 눈으로 많은 것을 남기고자 한다는 그림에서는 정말 무릎을 탁 쳤습니다. 날카..
2020.05.20 -
과학고, 영재고, 과연 의대 진학을 막아야만 하는 것일까?
최근에 나온 소식 중에서 정말 바보같은 소식을 하나 공유하고자 합니다. 지금, 과학고와 영재고에서 이공계 Vs 의대, 이런 식의 대결구도를 만들고, 과학고와 영재고 학생 중에서 의대를 가는 학생에게 제한을 주겠다는 엉뚱한 상상을 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는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정말 근시안적인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생각하는데.. 페북 글치고는 좀 길지만, 제 썰 좀 들어 보시겠습니까? 제가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 중에 연구를 제일 잘하는 과학자 두 사람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두 사람다, 세계적인 인재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몸소 그 사실을 연구 실적으로 보여주는 사람입니다. 이 두 사람을 보면서 항상 많은 것을 배우고, 연구란 이런 것이구나를, 그리고 이런 태도를 가지고 연구를 해야하는구나를 배..
2020.05.18 -
비전을 가진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그는 애플이라는 거대 기업을 만들었고, 아이폰과 아이패드와 같은 편리한 도구를 개발하였습니다. 비전이란 이런 것이 아닐까요? ^^ 이제 의학. 의과학 분야에서도 이런 비전있는 사람이 등장했으면 좋겠네요. 그가 가진 비전을 영상으로 감상해 보시죠. https://youtu.be/VwB9oahf8xc 한글로 번역된 동영상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web.facebook.com/690954702/videos/10151829876674703/ 번역을 해 주신, 번역자: Mikey J Lee http://www.youtube.com/goodboy1384 에게 감사드립니다.
202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