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학자 (MD-PhD) 이야기(325)
-
삼말년만화 - 포닥 제갈공명전 中
과거 회상 중 현재 (하)에서 계속
2015.03.10 -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1) 들어가면서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첫번째 시간연구자들의 주된 역할 중 하나는 자신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하게 되는 프리젠테이션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과학적 발견(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에 대한 제안형 프리젠테이션이다. 이 중 먼저 과학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당신도 이 글을 읽고 나면, 이렇게 멋진 프리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 1.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에 흔히 하는 실수들사실 프리젠테이션 방법에 正道는 없다. 사람마다 고유의 발표 철학을 가지고 있게 마련이라, 잡스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빌게이츠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틀린 발표를 하고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과학연구결과를 프리젠테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 잘..
2015.03.09 -
논문작성법 (2) 문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part 3
① 주어와 동사, 목적어 및 보어군에 핵심 메시지를 표현하라. ②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 ③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 ④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 ⑤ 대비되는 개념은 대비되는 형태로 배열하라. 자 오늘도 어김없이 약을 팔러 돌아왔다.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와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에 대해서 공부했다. 오늘은 문장 구성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같이 공부를 해보자. 영문 지적질 당하지 않는 그날 까지 열심히 공부하자. 그 전에 막 들이대고 그러면 안 된다. 4.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 대명사는 명사 단어이며, 당연히도 명사를 가르키는데 사용된다. "it", "that", "those", "this", "which" 등이 바로 그것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
2015.03.02 -
공동연구에 관한 생각과 그리고 무임승차에 대한 교훈들.
처음부터 조금 그랬었다. 이제 나이를 먹어서 그런지 몰라도, 1시간 정도만 같이 일을 해보면 이 사람이 나랑 맞을지 안 맞을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부분은 그 사람이 유능하냐 아니냐에 큰 상관이 없다. 스타일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만, 일단 세상에 나와 안 맞는 사람이 분명히 있긴 있다. 특히 이기적인 사람과 같이 일을 하면 확실히 피곤한 것은 사실이다. 이기적이다는 말은 개인적이다는 말과 약간 경계를 넘나들긴 하지만, 확!실!히! 이기적인 사람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험실 생활을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공동으로 해야하는 일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일은 누군가의 몫이고, 누군가의 시간을 빼앗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 일은 실험실이 원활하게 돌아가게끔 만드는 일이고, 꼭 해야하는..
2015.02.25 -
삼말년만화 - 포닥 제갈공명전 上
자신을 기초의학의 길로 들어서게 한 수경선생에게 찾아간 제갈양! 제갈양은 과연 정규직이 되어 자신의 원대한 꿈을 펼칠 수 있을 것인가? 뻘 만화를 그려보았습니다. 만화는 아무나 그리는게 아닌가 봅니다. 달랑 요것 그리는데도 삼십분이 넘게 걸리네요. 근데, 이말년 화백의 화풍을 따라하는게 아주 어렵지는 않은 것 같아요. 화백께서는 아마 발로 그리시던 것 같은데, 애석하게도 저는 손으로 그렸습니다. 그러고 보면, 이말년 화백은 정말 대단한 분이십니다. 이분의 작품 중, 제갈공명전은 꼭 보시기를 강추드립니다. 아래 링크 걸어드릴께요. 제갈공명전 上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6&weekday=wed 제갈공명전 中 http://co..
2015.02.24 -
어플리케이션소개 - Papers
어플리케이션 소개 - Papers 아무리 머릿속에 논문의 내용을 꾸겨 넣더라도 인간의 기억력은 휘발성이라, 금새 까먹고는 한다. 특히나, 급하게 어떤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관련된 논문을 어디에 두었는지조차 기억이 나지 않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런고로, 원하는 논문을 빠르게 찾고 원하는 정보를 취사선택하는 것은 연구자에게 굉장히 중요한 능력 중 하나다. 이러한 면에서 papers는 연구자들에게 굉장히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1. Library로의 기능 전자출판이 대중화 되면서 대부분의 저널들은 자신의 논문들을 pdf의 형태로 제공한다. 이 pdf는 굉장히 유용한 문서형식이라, 어떠한 환경에서도 종이에 프린트된 논문과 동일한 레이아웃으로 보여진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논문을 어떻게 보관하는지이다. ..
201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