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학자 (MD-PhD) 이야기(333)
-
논문작성법 (3) 단락의 구성 part I
자, 오늘부터는 단락의 구성에 대해서 같이 살펴보자. 단락의 구성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① 단락의 구성 ⓐ 주제문과 뒷받침문: 우선 조망한 뒤에 세부적으로 들어가라. ⓑ 단락구성의 일반적인 형식들 ⓒ 단락구성의 흔한 형식들 ② 연속성 ⓐ 핵심용어를 반복하라. ⓑ 핵심용어를 통해 특수용어와 범주형용어를 연결하라. ⓒ 연결어휘와 연결구, 연결절의 사용 ⓓ 순서를 일관되게 유지하라. ⓔ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라. ⓕ 대비되는 개념에는 대구법 ⓖ 단락의 소주제를 미리 알려라. ③ 중요한 점을 강조하라. ⓐ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날려버려라. ⓑ 중요한 정보는 중요한 위치에, 토 나올 정도로 반복해서 강조하라. 문장은 논문에서 사고의 최소단위이다. 이러한 문장들을 모아서 만든 단락은 기본적으로 하나..
2015.03.16 -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2)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두번째 시간 -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 오늘도 어김없이 약을 팔러 왔다. 오늘 같이 살펴볼 내용은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을 어떤 구조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거창하게 말하기는 했지만, 사실 크게 설명할 부분이 없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의 구조는 논문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은 논문과 동일한 구조로 만들면 된다. 끝. 다음시간에 만나요~ 날로먹은 포스팅. 데헷~♥ ...라고 쓰면, G1에게 혼나겠지? 여러분들 이 블로그의 주인장인 G1은 되게 무섭습니다. 호랑이같이 무서워요. 근데 곰돌이 푸우 닮은건 함정ㅋ 자, 다 아는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찬찬히 같이 공부해 보자. 1. 발표를 준비하기 전, ..
2015.03.12 -
삼말년만화 - 포닥 제갈공명전 中
과거 회상 중 현재 (하)에서 계속
2015.03.10 -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법 (1) 들어가면서
과학연구결과의 프리젠테이션 첫번째 시간연구자들의 주된 역할 중 하나는 자신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하게 되는 프리젠테이션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과학적 발견(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에 대한 제안형 프리젠테이션이다. 이 중 먼저 과학연구결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당신도 이 글을 읽고 나면, 이렇게 멋진 프리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 1. 과학연구결과 프리젠테이션에 흔히 하는 실수들사실 프리젠테이션 방법에 正道는 없다. 사람마다 고유의 발표 철학을 가지고 있게 마련이라, 잡스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빌게이츠처럼 발표하는 사람도 틀린 발표를 하고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과학연구결과를 프리젠테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 잘..
2015.03.09 -
논문작성법 (2) 문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part 3
① 주어와 동사, 목적어 및 보어군에 핵심 메시지를 표현하라. ②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 ③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 ④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 ⑤ 대비되는 개념은 대비되는 형태로 배열하라. 자 오늘도 어김없이 약을 팔러 돌아왔다.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명사의 과도한 연결을 피하라"와 짧은 문장을 사용하라"에 대해서 공부했다. 오늘은 문장 구성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같이 공부를 해보자. 영문 지적질 당하지 않는 그날 까지 열심히 공부하자. 그 전에 막 들이대고 그러면 안 된다. 4. 명확한 대명사를 사용하라. 대명사는 명사 단어이며, 당연히도 명사를 가르키는데 사용된다. "it", "that", "those", "this", "which" 등이 바로 그것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
2015.03.02 -
공동연구에 관한 생각과 그리고 무임승차에 대한 교훈들.
처음부터 조금 그랬었다. 이제 나이를 먹어서 그런지 몰라도, 1시간 정도만 같이 일을 해보면 이 사람이 나랑 맞을지 안 맞을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부분은 그 사람이 유능하냐 아니냐에 큰 상관이 없다. 스타일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만, 일단 세상에 나와 안 맞는 사람이 분명히 있긴 있다. 특히 이기적인 사람과 같이 일을 하면 확실히 피곤한 것은 사실이다. 이기적이다는 말은 개인적이다는 말과 약간 경계를 넘나들긴 하지만, 확!실!히! 이기적인 사람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험실 생활을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공동으로 해야하는 일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일은 누군가의 몫이고, 누군가의 시간을 빼앗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 일은 실험실이 원활하게 돌아가게끔 만드는 일이고, 꼭 해야하는..
2015.02.25